아래과 같이 하면 지역년, 지역월, 지역일이란 틀을 불러와서 문서에 보여준다.

{{지역년}}년 {{지역월}}월 {{지역일}}일 


그런데 아래과 같이 하면 지역년, 지역월, 지역일이란 틀 앞에 안전풀기를 녛으면 현재에 해당하는 수치를 불러와서 문서에 저장한다. 다시 문서를 편집모드로 열면 숫자로 바껴있는 것을 알수 있다.

{{안전풀기:지역년}}년 {{안전풀기:지역월}}월 {{안전풀기:지역일}}일 



틀을 만들 때의 고려사항

풀어넣기를 이용해 틀을 쓰면 틀 안에 포함된 다른 틀이나 특수 명령문[위키백과][*]의 코드가 그대로 문서에 쓰여진다. 코드 대신 실행 결과가 문서에 쓰이게 하려면 틀을 만들 때 풀기:를 사용하면 됩니다. 단, 틀을 편집하면서 풀기:를 그대로 쓰면 편집과 동시에 목적 틀이 풀려버리기 때문에 곤란하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풀기:를 includeonly 위키태그로 감싸서 <includeonly>풀기:</includeonly>와 같이 쓰는 방법이 있고, 매개변수 형식을 이용해서 {{{|풀기:}}}처럼 쓰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A틀을 불러오는 틀을 만들고 이 틀을 다른 문서에서 풀어 쓰면 A틀의 결과가 문서에 쓰여진다.

{{{{{|풀기:}}}A}}

이렇게 실행 결과가 풀어지도록 만든 틀은 풀어 쓰지 않고 끼워넣어 썼을 때는 해당 부분이 실행되지 않고 {{풀기:A}}처럼 문자열 그대로 출력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려면 풀기: 대신 안전풀기:를 쓰면 됩니다. 안전풀기:를 위와 같은 방식으로 쓰면, 끼워넣어 썼을 때는 실행되고 풀어서 썼을 때는 실행 결과가 풀어진다.

틀 안에 또다른 틀·기본 틀·특수함수를 넣는 방식, 그리고 그 틀을 불러오는 방식에 따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틀 내부에 쓰인 방식 틀을 끼워넣었을 때의 결과 틀을 풀어넣었을 때의 결과
끼워넣기 실행됨 코드가 풀림
{{{|풀기:}}}, <includeonly>풀기:</includeonly> 문자열 그대로 출력 결과가 풀림
{{{|안전풀기:}}}, <includeonly>안전풀기:</includeonly> 실행됨 결과가 풀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