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언론의 6․29 선언 분석 기사

1987년 6월 미국의 주요 언론들은 한국 상황을 연일 1면 머리기사로 보도하였다. 6․29 선언에 대한 분석기사도 많았는데 이들 중 2개를 영어 원문으로 소개한다.

           (영어원문)Carefully Timed U.S. Advice Played Role In South Korean Events


The four-engine U.S. Air Force jet was flying southeast toward Australia on Saturday morning, June 20, but Secretary of State George P. Shultz's discussion with his senior aide on Asia, assistant secretary Gaston J. Sigur, was about the crisis in South Korea, thousands of miles to the north.

Sigur had been up late the night before pondering U.S. embassy reports from Seoul that President Chun Doo Hwan had been seriously considering the use of massive force to stop nationwide demonstrations. Earlier that day, Chun had received a letter from president Reagan counseling restraint, but his course of action was uncertain.

In the front cabin, which was fitted out as an airborne meeting room, Sigur proposed that he leave Schultz's 12-day tour in Australia and fly to Seoul to deliver U.S. views in person and to obtain on-the-scene impressions. After telephone calls to Seoul and Washington from the plane, it was agreed that Sigur would make the trip.

The Sigur mission was the most visible feature of the Reagan administration's interaction with South Korea as the government, politicians and people of that country made a dramatic turn toward direct presidential elections and popular rule. Washington

officials are still savoring a result that seems to match Korea's economic miracle of recent years with a political miracle : "The damnedest thing I ever saw," in the words of a senior U.S. official.

As in the Philippines and Haiti early last year, the United States played a significant role when a friendly country was gripped with a crisis of authority. This time no U.S. plane whisked an authoritarian leader away to exile. The evolutionary change, rather than revolutionary change, is being hailed by American officials as a sign of South Korean political maturity - and of a more mature relationship between Washington and Seoul.

"We were listened in part, but we played at the margins," said a U.S. policy-maker of the carefully timed messages of advice which did not require any special national security council meetings because the broad lines of U.S. policy already had been established. "We were nudging (the Koreans) ; we can't force them," the policy-maker said.

This sensitivity toward a militarily and economically advanced Korean regime seems a far cry from the patron-client relationship of 1960, when Koreans cheered U.S. ambassador Walter P. McConaughy's automobile, with its U.S. flags flying, as he proceeded slowly down a main avenue in Seoul to tell then-president Syngman Rhee that further repression could not salvage his position and that it was time to leave. Rhee did.

Later U.S. efforts in times of political crisis were less successful. In 1961 strong statements from the U.S. embassy did not dissuade Gen. Park Chung Hee from carrying through military coup against the elected civilian government, though in 1963 U.S. pressure persuaded Park to go through with promised presidential elections rather than extend military rule.

The Nixon administration said little and did nothing as Park declared martial law and disbanded civil government in 1972 to keep himself in power beyond a third term. After Park was assassinated in 1979, the Carter administration was unable to prevent the seizure of power by Chun, then commanding general in the Seoul area, or his use of Korean army troops to suppress brutally an uprising in the southern city of Kwangju.

The recent crisis developed in large part because an opportunity : Chun's long-standing promise to step down in February 1988 and hand over power to an elected successor. The unanswered and controversial question was how the successor was to be picked.

In February this year,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year in prospect, Sigur laid out U.S. policies and preferences for peaceful change in unusual detail in a speech to the U.S.-Korean Society.

"The United States will continue to encourage all sides in Korea to work together to create a new political framework, " Sigur said. "We will provide positive support, not interference. We do not and shall not support any particular proposal by any Korean political party, but we shall continue to urge accommodation, compromise and consensu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opposition were deadlocked over the succession, and the opposition party was splintering when, on April 13 announcement, Chun suddenly barred further debate and declared that his successor would be named indirectly by a council of electors, which he could easily control. Chun's move generated immediate and expectable protests on campuses and elsewhere, followed by a police crackdown.

Two days before the April 13 announcement, Chun dispatched then-prime minister Lho Shin Yong to notify the U.S. embassy of his plans. Shultz was en route to Moscow to discuss arms control when the news came. State Department sources said that after conferences in Washington, U.S. ambassador James Lilley was sent back to see Lho with the message that "We didn't think this a good idea in view of our position on dialogue and compromise."

But in a decision that has drawn criticism from some Korea-watchers in the United States, Lilley was not told to say flatly that Chun should not cut off the debate, and the State Department made only bland public statements in the aftermath of Chun's bombshell.

The continuing discontent exploded in much larger and more serious demonstrations starting June 10, when Chun's ruling party named former general Roh Tae Woo, a military academy classmate and close friend of Chun, as its presidential candidate and thus Chun's likely successor. It was no surprise that the demonstrations were led by students, the traditional vanguard of dissent in South Korea.

What was surprise both here and in Seoul was the unusually large size, boldness and persistence of the demonstrations and, especially, the strong indications of sustained middle class approval and support. Previously middle-class support for demonstrations had declined sharply after displays of violence or radical slogans.

"The common belief was that the Korean middle class, which had achieved so much in recent years, wouldn't risk much on political issues," said a Washington official. "It turned out the middle class didn't want to risk everything, but they were willing to risk a little. That jolted the Korean government. "

Reports reached Washington of private motorists and taxi drivers honking their horns in support of the students and other older people applauding or cheering. When student protesters holed up in the main Roman Catholic cathedral near the center of town, there were reports that about 25,000 dollars in small Korean bills was tossed onto the church grounds by passers-by in support of their cause.

After several days of the standoff with students in the cathedral, some factions in the Chun government were reported to be urging that police storm the sanctuary, arrest the students and take strong action against the political opposition. At that point the United States weighed in privately for the first time since June 10, with what is described as a strong plea for restraint and specifically against storming of the cathedral, delivered by ambassador Lilley June 13 to foreign minister Choi Kwang Soo. Instead of storming the cathedral, the Korean government removed the riot police the following day, and the students went home.

As the disorders continued to grow, the hooded, padded riot police were stretched to the limit. Pressures grew in Seoul to use the army to suppress the demonstrations. U.S. officials now say that Chun was reported to be "thinking very hard“ about massive suppression of the demonstrations on June 18 and 19. On June 19 the new prime minister, Lee Han Key, announced that the country was sinking toward "social chaos," which might require an specified "extraordinary decision."

The same day, Lilley delivered Reagan's letter To Chun. It called for restraint in handling the demonstrations, freeing of political prisoners, removing restrictions on the opposition and restarting the political dialogue with opponents. In other messages, private and public, the United States was warning that use of army under any form of martial law would create a more serious crisis.

Of greater importance than messages from Washington, U.S. officials say, was the message to Chun from senior members of the South Korean military that they opposed use of the army to put dow the demonstrations. Neither they nor Chun nor the Korean people have gotten over the deaths in 1980 of more than 200 people as army troops suppressed disorders in Kwangju touched off by Chun's takeover of power.

By June 22, as Sigur flew toward Seoul from the Shultz party in Australia, Washington was aware that the army leaders had rejected intervention. Nonetheless, the State Department issued an unusually direct statement that they urging "Korean military commanders" not to intervene. Officials say it was aimed not so much at top military leaders as middle-level officers who might have been tempted to consider seizing control of the situation, and of the government, in a coup. There was no hard evidence that a coup was brewing, but some officials noted worrisome gaps in the information available from operational levels of the army.

When Sigur walked into Chun's office in the Blue House, the Seoul equivalent of the White House, on June 24, he found a chastened leader who seemed convinced that sweeping political concessions would have to be made to solve the crisis. Sigur had heard much the same thing from Chun's friend and heir apparent, Roh, in a separate meeting and from other officials of the government and opposition.

Sigur would later say that he found "a sea change" in Seoul, with stunning shifts in the attitudes and positions of people he had seen there in the past. Another official pointed out that with demonstrations continuing, the riot police wearying, the army opposed to intervening and concern growing over the viability of the Seoul Summer Olympics next year, "Chun did not have a lot of opinions."

Sigur returned to Washington convinced that Roh and Chun would sponsor major conciliatory steps, in addition to the largely symbolic concessions already offered. After reporting to Reagan at the White House June 26, Sigur issued a statement calling for “further concrete positive moves" of more importance by the government, thus keeping up the pressure for what he believed would soon develop.

On Sunday night, June 28, Washington time, ruling party chairman Roh announced his support direct presidential elections, which was the main demand of the opposition, as well as amnesty for opposition leader Kim Dae Jung, political and press freedoms and a variety of other measures. It was clear that Chun would have to back him.

U.S. officials learned of this startling development by monitoring Roh's speech on Korean television. Though there had been much U.S.-Korean discussion of the issues over the previous weeks, months and years, Roh had not told Washington what he was going to say. <The Washington Post, July 5, 1987>



        (한글번역)Carefully Timed U.S. Advice Played Role In South Korean Events


6월 20일 토요일 아침 미 국무성 일행을 태운 4발(發)엔진 미 공군 제트기는 오스트레일리아를 향해 남동쪽으로 날고 있었지만 비행기 안에서는 국무장관 조지 슐츠와 아시아 담당 선임 보좌관인 개스턴 시거 차관보가 북쪽으로 수천 마일 떨어진 한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위기상황에 대해 토의하고 있었다.

시거 차관보는 전두환 대통령이 전국적인 시위사태를 종식시키기 위해 대규모 병력의 사용을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다는 주한 미대사관의 보고를 놓고 심사숙고 하느라 전날 밤을 꼬박 새웠다. 그날 아침 전 대통령은 자제를 촉구하는 레이건 대통령의 서한을 전달받았으나 이후 그가 어떤 행동을 취할지는 예측할 수 없었다.

기내회의실로 꾸며진 기체 앞 부분의 방에서 시거는 슐츠 장관에게 12일 예정의 오스트레일리아 방문 일정에서 벗어나 자기가 직접 미국의 견해를 전달하고 현장의 감(感)을 몸소 접해보기 위해 서울로 가겠다고 제안했다. 서울과 워싱턴에 번갈아 통화를 한 다음 시거가 서울에 들르기로 합의됐다.

시거의 파견은 한국 정부와 정치인 그리고 국민이 대통령직선제와 민선(民選)정치로 극적인 방향 전환을 하는 동안 이루어진 레이건 행정부와 한국간의 상호 접촉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사건이었다. 워싱턴의 관리들은 최근 몇 년간의 한국의 경제적 기적을 그에 상응하는 정치적 기적으로 이어줄 것으로 보이는 성과를 아직도 음미하고 있다. 미국의 한 고위 관리의 말을 빌면 그 성과는 “이제껏 목격한 것 가운데 최대의 성과라는 것”이다.

작년 초 필리핀과 아이티에서 그랬던 것처럼 미국은 이번에는 우방이 권위의 위기에 빠지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미국 비행기가 권위주의적 지도자를 망명지로 빼돌리지는 않았다. 미국의 관리들은 혁명적이기보다는 점진적이었던 이번 변화를 한국의 정치적 성숙과 보다 성숙한 한미관계를 나타내는 표시라고 찬양했다.

조심스럽게 때를 맞춘 충고의 메시지에 대해 한 미국의 정책결정자는 “우리의 권고가 부분적으로 경청되었을 뿐 직접적인 관여는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 권고의 메시지는 이미 미국의 대한(對韓)정책의 대략적인 기조(基調)가 확립되어 있었으므로 특별히 국가안보회의의 토의를 거칠 필요가 없었다. 이 정책결정자는 “우리는 넌지시 권고만 했다. 강요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라고 부연했다.

군사적으로 경제적으로 발전한 한국 정권에 대한 이토록 세심한 배려는 1960년 당시의 보호-피보호자적 관계와는 상당히 거리감이 있다. 이 때 한국인들은, 당시의 이승만 대통령에게 더 이상의 억압으로는 대통령의 지위를 유지시키지 못할 것이므로 이제 물러날 때가 됐다는 말을 전하기 위해 월터 매카나기 미국 대사가 서울의 중심가를 천천히 통과할 때 미국기가 펄럭이는 대사의 차를 향해 환호를 보냈었다. 이 승만은 물러났다.

그 이후 정치적 위기를 맞을 때마다 행해진 미국의 해결 노력은 이전에 비해 성공적이지 못했다. 1961년에는 미 대사관의 강경한 성명으로도 박정희 장군이 선거를 통해 구성된 민간 정부를 전복시키는 군사쿠데타를 강행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 그러나 1963년에는 미국은 압력을 통해 박 장군이 군정을 연장시키지 않고 공약한 대로 대통령선거를 치르도록 설득하는 데에 성공했다.

닉슨 행정부는 박정희가 세번째 임기를 넘어서까지 집권하기 위해 1972년 계엄을 선포하고 민선(民選)정부를 해산시켰을 때 별다른 논평을 하지도 않았다. 행동도 전혀 취하지 않았다. 1979년에 박이 암살된 후 카터 행정부는 당시 서울 지역에 있는 모(某)부대 사령관 전두환 장군의 권력 장악이나 그가 남부 도시 광주에서 일어난 봉기를 무자비하게 진압하기 위해 군 병력을 사용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

요즈음의 위기는 1988년 2월에는 대통령직에서 물러날 것이며 선거에 의해 뽑힌 후임자에게 권력을 이양하겠다는 오래 묵은 공약, 즉 민주화의 기회로부터 주로 기인한다. 어떻게 후임자를 뽑느냐라는 문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으며 논쟁의 소지도 많다.

시거 차관보는 내년의 중대성을 인식하고 지난 2월 한미협회에서 행한 연설을 통해 평화적 변화에 대한 미국의 정책과 권고안들을 보기 드물 정도로 자세하게 제시했다. “미국은 한국의 모든 세력들이 서로 협력해서 새로운 정치적 틀을 만들어내도록 계속 격려하겠다”고 시거는 말했다. “우리는 긍정적으로 지원을 보내되 간섭은 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화해와 타협 그리고 합의를 계속 촉구하겠다.”

전이 4월 13일 갑자기 더 이상의 개헌논의를 중단시키고 자신이 손쉽게 조종할 수 있는 선거인단에 의한 간접선거로 후임자를 뽑겠다고 선언했을 무렵에는 정부와 야권은 정권이양 문제에 대해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 있었고 야당은 분열하고 있었다. 전의 4-13조치는 이미 예상되었던 대로 학원가 등 각지에서 즉각적인 항의 사태를 몰고 왔고 경찰의 탄압이 뒤따랐다.

4․13조치 이틀 전 전은 당시의 노신영 국무총리를 미국 대사관에 급파하여 자신의 계획을 알렸다. 슐츠 장관은 이러한 소식이 전해졌을 때 군축협상을 위해 모스크바로 향하던 중이었다. 국무성 소식통에 따르면 원싱턴에서의 회의를 마치자 제임스 릴리 주한 미 대사는 한국으로 귀임하여 노 총리를 방문, “우리가 대화나 협상을 강조해 온 사실에 비춰볼 때 이러한 조치는 바람직하지 못하다”라고 의사를 전달했다.

그러나 미국 내에서 한국 사태를 지켜보던 일부 사람들로부터 비판을 받은 한 결정을 통해 릴리 대사는 전 대통령에게 개헌논의를 중단하지 말라고 명확히 전하라는 지시를 받지 않았으며 국무성은 전의 폭탄선언이 있은 후 고작 온건한 성명만을 발표했을 뿐이었다.

전의 집권당이 그의 육사 동기생이자 가까운 친구인 퇴역 장성 노태우씨를 차기 대통령 후보, 즉 유망한 후계자로 지명한 6월 10일부터 그 동안 지속되어 오던 불만이 보다 대규모적이고 보다 심각한 시위로 터져 나왔다. 이들 시위가 한국의 전통적인 반체제 전위대인 학생들에 의해 주도되었다는 것은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었다. 현지에서나 미국에서 다같이 놀라움을 자아냈던 점은 시위가 전례없이 대규모적이고 대담하고 장기적이었다는 것, 특히 중산층이 이러한 시위에 시종일관 찬성과 지지를 보내고 있다는 강력한 시사였다. 그 전까지 폭력과 급진적 구호가 남발된 이후 중산층의 시위에 대한 지지는 사그러들어 왔었다.

“상식적으로는 최근 몇 년 사이에 매우 많은 것을 성취한 한국의 중산층은 정치 문제 때문에 많은 위험을 감수하리라고 믿어지지 않았었다”고 워싱턴의 한 관리는 말했다. “중산층이 모든 위험을 무릅쓰려고 하지는 않겠지만 약간의 위험은 감수할 각오가 되어있음이 판명됐다. 이 점이 한국 정부에게 충격을 주었다.”

자가용 운전자와 택시 운전수들이 학생들에 대한 지지의 표시로 경적을 울렸고, 그 밖의 일반 시민들도 박수를 치거나 격려를 했다는 보도가 워싱턴에 전해졌다. 학생들이 중심가 부근에 있는 가톨릭 교회 본당에 갇히자 그들의 명분을 지지하는 일반 통행인들이 소액화폐로 약 2만 5천 달러를 성당 구내로 던져 넣었다는 보도도 있었다.

성당에 있는 학생들과 며칠간을 대치하게 되자 한국 정부의 일부 집단들은 경찰이 성역인 성당을 기습하여 학생들을 체포하고 야권에 대한 강경 조치를 취하도록 촉구한 것으로 보도됐다. 바로 그 때 미국이 6월 10일 이래 처음으로 비밀리에 개입하였는데 6월 13일 릴리 대사가 최광수 외무부장관에게 자제와 구체적으로 성당 기습을 하지 말 것을 강하게 촉구하는 형태의 의사를 전달했다. 성당을 기습하는 대신 다음날 한국정부는 폭동진압경찰을 철수시켰고 학생들은 귀가했다.

혼란이 점차 확산되자 헬멧과 보호복으로 무장한 경찰의 능력이 한계에 다다랐고 한국 정부 내에서는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군대를 사용하라는 압력이 증가했다. 전이 6월 18일, 19일 양일간의 시위를 대대적으로 진압할 것을 매우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미국 관리들이 이제서야 밝힌다. 6월 19일 이한기 신임국무총리는 구체적으로는 어떤 것이라고 밝히지 않았으나 "비상한 결단"이 필요할지도 모르는 “사회적 혼란”으로 한국이 빠져들고 있다는 성명을 냈다.

같은 날 릴리 대사는 전에게 레이건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했다. 이 서한에서 레이건 대통령은 시위 사태를 다루는 데에 있어 자제할 것, 정치범의 석방, 야권에 대한 제한의 철폐, 정적들과의 대화를 재개할 것을 요청했다. 그 밖의 공적이거나 사적인 메시지를 통해 미국은 어떤 종류이든 계엄령 아래 군대를 동원하는 것은 더 심각한 위기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워싱턴으로부터의 메시지보다 더욱 중한 영향력을 가졌던 것은 군부 고위장교들이 전에게 시위를 진압하기 위한 군대의 사용을 반대한다는 의사를 표시했다는 점이었다고 미국의 관리들은 전했다. 고위장교와 대통령, 한국민들은 모두 전의 권력장악으로 촉발된 1980년의 광주사태를 군대가 진압함으로써 발생한 200여 명의 사망이라는 상처로부터 아직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시거 차관보가 오스트레일리아의 슐츠 장관 일행과 헤어져 한국으로 향하던 6월 22일에는 워싱턴도 육군의 고위급들이 군부의 개입을 거부했다는 것을 알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무성은 ‘한국의 군 지휘관들’에게 개입하지 말 것을 촉구하는 매우 노골적인 성명을 발표했다. 미국 관리들에 따르면 이 성명은 최고위급 군 지도자보다는 쿠데타를 통해 현 상황을 장악하고 나아가 정권의 장악을 고려해 볼 유혹을 받고 있었을지도 모른 중간급의 장교들을 대상으로 했다는 것이다. 쿠데타 음모가 진행중이라는 뚜렷한 증거는 없었지만 일부 미국 관리들은 육군 작전부대급으로부터의 정보에 우려할 만한 불일치가 존재함을 지적했다.

6월 24일 시거 차관보가 서울의 백악관 격인 청와대의 대통령 집무실에 들어섰을 때, 전은 누그러져 있었고 위기를 해결하려면 전격적인 정치적 양보가 행해져야 한다고 확신하는 듯이 보였다. 시거는 전의 친구이자 후계자인 노씨와 따로 만났을 때에도 거의 같은 얘기를 들었고 정부와 야당의 다른 관계자들도 마찬가지였다.

시거 차관보는 나중에 그와 구면인 사람들의 태도와 입장이 기절초풍할 정도로 바뀌는 등 서울에서 ‘엄청난 변화’를 목격했다고 말할 정도였다. 다른 미국 관리들의 말에 따르면 시위는 계속되고, 폭동진압경찰은 기진맥진하고, 군부는 개입하길 거부하고, 내년 서울 올림픽의 개최 가능성 여부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전은 달리 뾰족한 수가 없었다.”

시거는 노씨와 전이 이미 제시한 대체로 상징적인 양보에 덧붙여 중대한 화해 조치를 취할 것으로 확신하면서 워싱턴으로 돌아왔다. 6월 26일 백악관에서 레이건 대통령에게 보고한 뒤 시거는 한국정부가 더 큰 중요성을 지닌 보다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하는 성명을 발표함으로써 그는 곧 드러날 것으로 믿어지는 사태 발전을 위해 압력을 계속 가했다.

워싱턴 시간으로 6월 28일 일요일 밤에 집권당 대표 노씨는 야권 지도자 김대중의 사면, 정치과 언론의 자유 등 여러 가지 조치뿐만 아니라 야권의 가장 주된 요구였던 대통령직선제 개헌에 대한 그의 지지를 선언했다. 전이 노씨의 선언을 밀어주리라는 것은 분명했다.

미국 관리들은 이 놀라운 진전을 한국 텔레비전을 통한 노씨의 연설을 시청함으로써 알게 됐다. 지난 몇 주간, 몇 달, 몇 해를 두고 노는 그 날 무엇을 말할지 미국 측에 언질을 준 바 없었다.



    (영어원문)Fury and Turmoil : Days that Shook Korea
                            By CLYDE HABERMAN
                        Special to The New York Times


On Friday, June 19, after a night of violent demonstrations that saw riot policemen lose control of the streets to anti-Government protesters, President Chun Doo Hwan was ready to call troops into Seoul and other embattled cities.

Orders to move were issued that day to army units, and some began to take up positions outside the capital, knowledgeable politicians and foreign diplomats say.

They discussed the military threat in describing the events that ultimately produced the startling announcement last Monday in which Roh Tae Woo, the chairman of the ruling party, altered the face of South Korean politics.


" Very Close " to Using Troops.

What was contemplated on June 19, the politicians and diplomats said, was not martial law but a lesser action known as a garrison decree. It would have authorized the use of soldiers to maintain order, but would also have left the Government and all its agencies in civilian hands.

The country, several well-informed people said, had come much nearer to military intervention than most South Koreans realized at the time. " We were very close " a diplomat said.

But a few hours before troops were set to move, Mr. Chun suddenly shifted direction, as he often had done in his seven years in power. His instinct is to deal quickly and forcefully with dissent, people familiar with his thinking say. But he is also prepared to sheath his temper, they add, if that seems the wiser course.

From moderates within his Governmen and ruling party, Mr. Chun heard warnings that military action would jeopardize the 1988 Summer Olympic Games in Seoul, would anger the United States and other countries important to South Korea, and perhaps would even have made it impossible for the President to transfer power next February, as planned, to his hand-picked successor, Mr. Roh.

Besides, several officials said, many commanders did not want to get involved, in the belief that the military's reputation had been sullied whenever it was called out against South Koreans in the past.

Instead of immediate action, Mr. Chun pulled back and settled for a stern warning. On the night of June 19, his figurehead Prime Minister, Lee Han Key, went on television to threaten unspecified " extraordinary measures if the protests did not end.


Drastic Compromises

That decision, well-placed analysts said, may have turned the tide in South Korea's political crisis, for it affirmed the Government's commitment to seek a political solution to end the most sustained street violence in seven years. It led senior officials and ruling party leaders to consider drastic compromises that they had rejected out of hand before.

Ultimately - although it took 10 days - it produced the decision by Mr. Roh Tae Woo to capitulate to major opposition demands for direct presidential elections, release of political prisoners and restoration of civil rights to dissidents, including the best-known political figure, Kim Dae Jung. Two days later, on July 1, Mr. Chun gave his approval.

Suddenly, Mr. Roh must run for a presidency that he had expected to have handed to him. Just as suddenly, the opposition is forced to prepare not only for an election that had seemed improbable but also for the possibility that it might actually take office next year.

How Mr. Roh reached his decision is still not fully clear. Although he said in an interview on Saturday that he had discussed the political situation with many Koreans of varied backgrounds, he made his intentions known only to close advisers.

Even before then, pressure for decisive action had been building within the governing Democratic Justice Party. Still, when his final announcement was made to the party's executive council, it was a true bombshell.

He was looking, Mr. Roh said in the interview, for "sweeping, epoch-making, bold measures".

It appears that he had no face-to-face meetings with President Chun between June 24, when he says he made up his mind, and June 29, when he publicly disclosed his plans. In the interview, Mr. Roh would not directly discuss any conversations that may have taken place at the Blue House, the presidential residence.


A Pair of Old Allies, But Sometimes Also Political Rivals

But party officials and diplomats say they believe that Mr. Roh kept Mr. Chun fully informed through third parties about his thinking. The President may not have known in advance about every detail of what would become an eight-point plan, these officials said, but he understood the critical details, especially those involving direct presidential elections and political freedom for Kim Dae Jung, a man openly loathed in the Blue House.

"Mr. Roh knew the President's mind," a National Assembly member from the Democratic Justice Party said.

Some analysts also discerned a calculated attempt to enhance Mr. Roh's political stature, which had begun to wilt in the crisis. This maneuvering was not without complications.

On one hand, Mr. Chun and Mr. Roh are old allies, fellow graduates of the Korea Military Academy, class of 1955, and partners in a mutiny of generals that brought them to power in late 1979. But they have also fallen into rivalry on occasion. This may have been one of those times, political analysts said.

Mr. Chun had announced publicly that he was leaving all political matters to Mr. Roh, concentrating himself on defense, economics and national security. As the crisis wore on, some analysts said, the President grew increasingly irritated with his friend.

There were reports that Mr. Roh might even be sacrificed as his party's presidential candidate, the hope being that would be enough of a conciliatory gesture to the opposition to ease tensions. At one point, Mr. Roh himself implied that he was prepared to give up his ambitions for higher office if that was what it would take.

But when the decision was finally reached to offer concessions, several knowledgeable people said, it was also agreed to protect the Roh candidacy. Only the boldest possible move would work, Mr. Roh and his advisors believed.

Among Mr. Roh's problems was that many South Koreans regarded him as a phlegmatic carbon copy of the President. During recent protests, some of the attacks were brutal.

“By taking these steps he shatters his image as an indecisive man," a diplomat said of Mr. Roh. "My hunch is that they agreed in principle to some sort of dramatic gesture to establish a break with Chun."

There is no evidence that Mr. Roh cleared his proposals with senior military officers, to check whether the prospect of a wide-open presidential campaign would make them nervous. Twice in the past -Park Chung Hee in 1961 and Mr. Chun in 1979 - South Korean generals have stepped in when free-for-all politics became too disorderly to their liking.

Still, as a former general, Mr. Roh is widely presumed to have taken informal soundings from the army. Several politicians said they had heard that he had help in this effort from his brother-in-law, Kim Bok Dong, also retired military man. The purpose, they said, was not so much to obtain the army's approval as to determine if there was active disapproval.

For his part, Mr. Roh said in the interview that "consulting with active-duty military officers on this political subject would be inappropriate. " Nevertheless, he added, "I also felt quite confident that the military would fully support my proposal."

<The New York Times, July 6, 1987>



         (한글번역)Fury and Turmoil : Days that Shook Korea

전날 밤의 과격한 시위에서 전투경찰의 반정부시위자들에 대한 통제능력이 한계에 달한 것으로 판명된 그 다음날인 6월 19일 금요일, 전두환 대통령은 서울과 그밖의 시위 발생 도시들에 군대를 파견할 준비를 갖추고 있었다.

이 날짜로 이동 명령이 군부대에 하달되었으며 몇몇 부대는 수도외각에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고 정통한 정치가와 외교관들은 말한다.

이들은 한국의 정치 정세를 근본적으로 바꿔놓은 지나 월요일의 노태우 여당 대표의 놀라운 선언이 가져온 일련의 사태를 설명하는 가운데 이같은 군사적 위협에 대해 논의하고 있었다.


“임박했던” 병력동원.

6월 19일에 검토되었던 것은 계엄령이 아니라 그보다 한 급 아래의 조치인 위수령이었다고 이들 정치인과 외교관은 말했다. 위수령은 치안유지를 위한 병력동원은 허용하되 정부와 정부 산하기관은 모두 민간인에게 맡기는 것을 말한다.

한국은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그 당시에 알고 있었던 것보다 훨씬 더 절박한 군부의 개입 가능성에 직면하고 있었다고 일부 정통한 소식통은 전했다. “ 우리는 매우 아슬아슬했다 “ 고 한 외교관은 말했다.

그러나 군부대가 움직이기 몇 시간 전에 전씨는 집권 7년 동안에 종종 그랬던 것처럼 돌연 방향을 바꾸었다. 그는 본능적으로 반대자들을 신속하고 거칠게 다루는 성향을 지니고 있다고 그의 사고방식을 잘 아는 사람들은 말한다. 그러나 그는 그것이 보다 현명한 길이라고 여겨지면 자신의 기질을 잘 숨기기도 한다고 그들은 덧붙인다.

전씨는 정부와 여당내의 온건론자들로부터 군사적 조치는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위태롭게 할 것이며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을 분노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내년 2월 그가 직접 뽑은 노태우 대표에의 대통령직 이양마저도 계획대로 진행하게 만들지 모른다는 경고를 들었다.

더구나 많은 군 지휘관들은 과거에 국민들의 뜻에 반하여 군이 개입했을 때마다 군의 평판이 저하되어 왔다는 생각 때문에 (사태에) 개입하고 싶어하지 않았다고 일부 관리들이 전했다.

전씨는 직접적인 조치를 취하는 대신 한 걸음 물러나 단호한 경고 조치를 취하기로 결 정했다. 6월 19일 밤, 이한기 국무총리는 TV를 통해 시위가 종식되지 않으면, 구체적으로 명시되지는 않았지만, “ 비상한 ”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극적인 타협

정통한 분석가들에 따르면, 그와 같은 결정은 한국의 정치 위기의 흐름을 바꾸어 놓았다. 그것은 정부가 7년 동안 계속되어온 가두폭력을 종식시키기 위해 정치적 해결을 모색하겠다는 뜻을 확인해 준 것이기 때문이다. 고위관리와 여당의 당직자들은 종래에는 단호히 거부했던 극적인 타협을 고려하기 시작했다.

결국 10일이 걸리긴 했지만, 직선제와 정치범의 석방 및 가장 잘 알려진 김대중 씨를 포함한 재야인사들의 사면, 복권이 주요 사항인 야당의 요구에 굴복한 노태우의 결정이 이루어졌다. 이틀 후인 7월 1일, 전은 동의하였다.

갑자기 노태우 씨는 자신에게 이양될 것으로 예상되었던 대통령직에 출마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야당도 역시 갑자기 선거 준비를 서둘러야 할 뿐 아니라, 내년의 실질적인 정권 인수 가능성을 준비해야만 하게 되었다.

노태우 씨의 결정이 어떤 과정을 거쳐 내려졌는지는 아직도 분명하지 않다. 비록 그가 토요일의 기자회견에서 각계 각층의 인사들과 정치정세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다고 말했지만, 그는 자신의 의도를 측근 보좌관들에게만 알렸다.

이보다 훨씬 앞서 집권 민정당의 내부에서도 결정적인 조치를 취하라는 압력이 고조되고 있었다. 그가 당의 중앙집행위원회에서 최종 선언을 했을 때 그것은 실로 폭탄 선언이었다.

그는 기자회견에서 자신은 “전면적이고 획기적이며 대담한 조치”를 모색해 왔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이 결심을 했다고 말한 6월 24일부터 자신의 계획을 공식 발표한 6월 29일 사이에 전 대통령과 직접 면담하지는 않은 것 같다. 기자회견에서 노태우씨는 대통령이 거주하는 청와대에서 있었을지도 모르는 어떠한 대화에 대해서도 직접 언급하려고 하지 않았다.


오래된 동지, 그러나 때로는 정치적 경쟁자

그러나 당 간부나 외교관들은 노씨가 자신의 생각을 제3자를 통해 전씨에게 알렸을 것으로 믿는다고 말한다. 그들은 대통령이 8개항의 계획을 사전에 자세히 알고 있지는 못했어도 주요 항목, 특히 대통령 직선제와 청와대에서 공개적으로 기피해온 김대중의 정치적 자유 등은 알고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씨는 대통령의 마음을 알고 있었다”고 민정당의 한 의원은 말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노태우 선언을) 위기 상황에서 약화되기 시작했던 노씨의 정치적 입장을 강화시키기 위한 계산 된 시도로 해석하기도 했다. 이러한 책략에는 복잡한 문제가 얽혀 있다.

전씨와 노씨는 한편으로는 오래된 동지이자 1955년에 육군사관학교를 같이 졸업한 동 기생이며, 1979년 말 그들의 권력 장악을 가져온 장군들의 군사반란의 동반자였다. 그러나 그들은 때때로 경쟁관계에 놓이기도 하였다. 최근의 예는 그러한 경쟁관계의 한 예일지도 모른다고 정치 분석가들은 말했다.

전씨는 자신은 국방과 경제 및 국가 안보에 전념하고 정치는 노씨에게 모두 위임한다고 공개적으로 선언해 왔다. 위기가 계속됨에 따라 대통령은 동지에게 점점 더 심하게 짜증을 냈다고 몇몇 분석가들은 말했다.

노씨의 대통령 후보직 사퇴가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야당에게 쓸수 있는 회유 제스추어로 충분하리라는 기대아래 노씨가 희생양이 될 가능성마저 있었다는 보고도 있었다. 한때 노씨는 상황이 요구한다면 대통령직에 대한 야망을 포기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뜻을 밝힌 적이 있었다.

그러나 (야당측 요구에) 양보하기로 최종적인 결정이 내려졌을 때 노씨의 후보직을 보호한다는 점에 대해서도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몇몇 정통한 소식통은 말했다. 노씨와 그의 자문역들은 오직 대담무쌍한 움직임만이 사태를 풀 수 있다고 믿었다.

노씨가 안고 있는 문제들 가운데 하나는 많은 국민들이 그를 대통령의 무기력한 복사판이라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최근의 저항 운동 가운데서 몇몇의 공격은 무자비할 정도다.

“이러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그는 우유부단한 사람이라는 자신의 이미지를 산산이 부수고 있다”고 한 외교관은 노씨에 대해 말했다. “나의 예감은 그들이 전씨와의 단절을 꾀하려는 일련의 극적인 제스처에 원칙적으로 동의하고 있다는 것이다”라고 그는 덧붙였다.

노씨가 공개적인 대통령 선거전이 고위 군장성들을 자극할 것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자신의 계획을 그들에게 밝혔다는 증거는 없다. 과거 두 번에 걸쳐 - 1961년의 박정희, 그리고 1979년의 전씨에 의해 - 한국군 장성들은 누구나 뛰어드는 정치가 무질서해져서 자신들의 구미에 맞지 않을 때 전면에 나섰던 경험이 있다.

퇴역 장성인 노씨는 여전히 군으로부터의 비공식적인 의견들을 듣고 있을 것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몇몇 정치인들은 그가 자신의 처남이자 퇴역 장성인 김복동으로부터 도움을 받는 것으로 들었다고 말했다. 그 목적은 군부의 승인을 얻기 위해서가 아니라 군부로부터 적극적인 반대가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서라고 그들은 말했다.

노씨는 기자회견에서 “정치적인 문제에 대해 현역 군장성의 의견을 묻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나는 또한 군이 전적으로 나의 제안을 신뢰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The New York Times, July 6,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