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청학련 사건은 1974년 4월 3일 서울대학교등 학생들이 조직적으로 박정희 정부에 대항하며 발생한 사건이다.
결국 1974년 5월 27일에 민청학련 사건 관련자 1,024명 중 235명이 구속하였고, 사건의 배후 세력으로 인민혁명당이 관련되었음이 밝혀졌다.
박정희 정부는 사건의 배후인 인민혁명당 재건위원회라는 조직이 있음을 밝혀내고 관련자 8명은 대법원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
다른 반국가 단체의 사건과 같이 이후 민변 단체 등이 주도하는 집행 절차등의 헛점을 문제삼아 재심 청구에서 혐의 없음으로 판결되었다.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사건을 다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등등에서도 똑같이 기술하고 있다.
여담
노무현 정부에서 만들어진 진실과화해위원회등이 진행하고 있는 역사 바로세우기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작업도 맥락을 같이 한다.#
근대화 과정에서 일어났던 뒤집힌 반국가적 사건들의 전말 대부분은 통일을 이루어 북한의 문서들이 공개되는 날까지는 잠정적인 결론일 수밖에 없는 사실이다.
노무현 때 만든 진실과 화해 위원회는 죄다 노골적 좌파 인사들로 구성된
과거 좌익사건들을 새로운 증거도 없이 재심을 신청해서
고문에 의한 자백 -> 절차상 문제를 시비 삼아 -> 무죄 간첩사건을 죄다 뒤집고 민주화 유공자를 만들어 주는 단체다.
이 당시는 조선시대 일제시대를 거쳐 적어도 80년대 까지는 관성적으로 고문이 자행 되었다는 시대적 상황을 알아야 한다.
간첩사건 외에도 경찰이 심문 과정에 폭행을 하거나 그런 경우가 많았다. 시대가 그랬다.
그렇다고 그걸 시비삼아 간첩사건을 죄다 뒤집고 있는 것이다. 좌익들은 이것 뿐만 아니라 미디어 영화나 드라마 등을 통해 옛날 간첩사건은 죄다 무고한 사람을 억울하게 조작한 거라는 식으로 선동한다. 그걸 실제로 믿고 간첩사건은 죄다 조작인 줄 아는 좌익들도 있다.
함께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