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역대 국왕
제1대태조 제10대연산군 제19대숙종
제2대정종 제11대중종 제20대경종
제3대태종 제12대인종 제21대영조
제4대세종 제13대명종 제22대정조
제5대문종 제14대선조 제23대순조
제6대단종 제15대광해군 제24대헌종
제7대세조 제16대인조 제25대철종
제8대예종 제17대효종 제26대고종
제9대성종 제18대현종 제27대순종
고조선 · 부여 ·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 탐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일제 강점기 · 임시 정부 · 대한민국 · 북한
왕관 dark.png
세종
世宗
세종대왕 동상.jpg
덕수궁의 세종대왕 동상
지위
재위
1418년 9월 9일 ~ 1450년 3월 30일 (양력)
즉위식
경복궁 근정전

폐세자 제 (양녕대군)

왕세자 향 (문종)
재위
1418년 7월 6일 ~ 9월 9일 (양력)
이름
이도(李祹)
묘호
세종(世宗)
군호
충녕대군(忠寧大君)
시호
장헌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
(莊憲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
능호
영릉(英陵)[1]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왕대리 901-3
신상정보
출생일
1397년 5월 15일 (양력)
출생지
조선 한성부 준수방
사망일
1450년 3월 30일 (양력)
사망지
조선 한성부 영응대군 사저
부모
태종
원경왕후 민씨
배우자
소헌왕후 심씨
자녀
18남 4녀 (18남 7녀)

개요

조선(朝鮮)의 4대 군주.

행적

노비고소금지법 제정

1420년 예조판서 허조의 건의에 따라 노비고소금지법을 제정하였다. 내용은 노비가 주인을 관청에 고소하거나 고발하면 고소·고발 접수를 거부하고 즉시 사형시키는 법이다. [2] 이 법이 특히 잔인한 점은 노비가 주인을 고소했을 경우 평민인 노비의 배우자 또한 사형에 처했다는 점[3]이다. 이 법이 제정된 이후 주인들이 노비를 때려죽이는 일이 빈번[4] 했다. 어떤 부당한 대우를 받아도 노비가 주인을 고소할 수가 없게 되었기 때문이었다.

부민고소금지법 제정

1420년 예조판서 허조의 건의에 따라 노비고소금지법을 제정할때 부민고소금지법도 함께 제정[5]하였다. 부민고소금지법(部民告訴禁止法)이라 함은 억울한 일이 있어도 백성들이 고을 수령을 고소할 수 없게 하는 법이다. 이 법으로 인해 지방관들이 백성들을 착취하거나 부당한 지시를 하더라도 백성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따를 수밖에 없게 되었으며 백성들은 관리들의 노예가 되어갔다.

한글창제

한글을 창제하였다. 일반인의 상식과 달리 세종의 한글 창제목적은 자주적인 글자를 만들어 한국어를 제대로 표기하고자 함은 아니었다. 조선에서 쓰이던 한자음이 중국의 것과 너무나 달랐기에 중국 한자음을 조선에 도입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일종의 발음기호로서 만든 것[6]이었다.

총평

세종은 세간의 평가와는 달리 민본주의나 자주적 군주와는 거리가 멀고 유교적 가치에 충실하였던 임금이다. 외교관계에 있어서도 상국인 명나라에 대해 사대를 아끼지 않았으며 사회적으로도 관리의 권한을 확대하고 노비의 권리를 박탈하는 등 엄격한 신분제도를 도입하였다. 다만 이는 이미 조선의 건국부터 예견된 일이었다. 조선은 다원적 사회인 고려의 각종 사회질서를 배척하는 강경한 성리학자들에 의해 개국되었으며 건국 초기부터 그들에 의해 기초가 다져져 왔기에 국가체제가 공고해짐에 따라 성리학적 질서는 끊임없이 강화될 운명이었다. 다만 이러한 추세를 가속화한 인물이 세종인 것이다.

역사를 기록한 사관 또한 성리학자였다. 사대부 성리학자 입장에서는 세종은 성군이다. 하지만 일반 민중 민초 입장에서도 성군이었으냐 하면 그건 논란이 있을 것이다. 사대부 양반과 민중들간의 이해 관계가 충돌 할 때 예를 들어 종모법 같은 경우 대부분 사대부의 입장에 손을 들어 주었던 것이 세종이었기 때문이다. 사대관계나 노비문제 등등 조선시대 내내 크게 문제가 되는 것이 확립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게 세종이다.

세종의 가계도

세종은 1명의 왕비와 5명의 후궁을 두었으며, 자녀는 18남 4녀로 적자녀는 8남 2녀이고, 서자녀는 10남 2녀이다.

제3대 태종
정안대군(방원)
원경왕후 민씨



소헌왕후 심씨 제4대 세종 영빈 강씨 신빈 김씨 혜빈 양씨 숙원 이씨 상침 송씨



제5대 문종 현덕왕후 권씨 화의군 계양군 한남군 정안옹주 정현옹주


제7대 세조 의창군 수춘군


안평대군 제6대 단종 정순왕후 송씨 밀성군 영풍군


임영대군 익현군


광평대군 영해군


금성대군 담양군


평원대군


영웅대군


정소공주


정의공주



부모

본관 생몰년 부모 비고
  부   태종대왕
太宗大王
전주 1367년 - 1422년 태조대왕
太祖大王
신의왕후 한씨
神懿王后 韓氏
제3대 국왕
원경왕후 민씨
元敬王后 閔氏
  후덕왕대비 厚德王大妃  
여흥 1365년 - 1420년 여흥부원군 민제
驪興府院君 閔霽
  삼한국대부인 여산 송씨  
三韓國大夫人 礪山 宋氏
원경왕태후 元敬王太后[7]


왕비

정비 시호 본관 생몰년 부모 비고
   소헌왕후 심씨   
昭憲王后 沈氏
청송 1395년 - 1446년 청천부원군 심온
靑川府院君 沈溫
  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  
三韓國大夫人 順興 安氏

후궁

작호 본관 생몰년 부모 비고
신빈 김씨 慎嬪 金氏 청주 1406년 - 1464년 김원 金元
삭녕 고씨 朔寧 高氏
혜빈 양씨 惠嬪 楊氏 청주   ?   - 1455년 양경 楊景
이씨 李氏
세조 1년(1455년) 교수형에 처해짐[8]
숙종 38년(1712년) 신원됨[9]
영빈 강씨 令嬪 姜氏 진주       ?   - 1483년[10] 미상
귀인 귀인 박씨 貴人 朴氏
장의궁주 莊懿宮主
밀양 생몰년 미상 박강생 朴剛生
파평 윤씨 坡平 尹氏
귀인 최씨 貴人 崔氏
명의궁주 明懿宮主
전주 최사의 崔士儀
순천 박씨 順天 朴氏
숙의 숙의 조씨 淑儀 曺氏 미상 미상
소용 소용 홍씨 昭容 洪氏   ?   - 1452년
숙원 숙원 이씨 淑媛 李氏 생몰년 미상 성종 21년(1490년) 이후 사망[11]
상침 상침 송씨 尚寢 宋氏 1396년 - 1463년
사기 사기 차씨 司記 車氏       ?   - 1444년[12]

왕자

작호 이름 생몰년 생모 배우자 비고
1 문종대왕 文宗大王 향 珦 1414년 - 1452년 소헌왕후 심씨 현덕왕후 권씨 顯德王后 權氏 제5대 국왕
2 세조대왕 世祖大王
수양대군 首陽大君
유 瑈 1417년 - 1468년 정희왕후 윤씨 貞熹王后 尹氏 제7대 국왕
3 안평대군 安平大君 용 瑢 1418년 - 1453년 부부인 연일 정씨 府夫人 鄭氏 육종영 중 한사람
단종 1년(1453년) 사사됨[13]
4 임영대군 臨瀛大君 구 璆 1420년 - 1469년        의령 남씨 宜寧 南氏
제안부부인 전주 최씨 齊安府夫人 崔氏
부부인 안동 안씨 府夫人 安氏
연산군폐비 신씨의 외조부
중종단경왕후의 외증조부
5 광평대군 廣平大君 여 璵 1425년 - 1444년 영가부부인 평산 신씨 永嘉府夫人 申氏
6 화의군 和義君 영 瓔 1425년 -   ?   영빈 강씨 군부인 밀양 박씨 郡夫人 朴氏 육종영 중 한사람
성종 20년(1489년) 이후 사망[14]
7 금성대군 錦城大君 유 瑜 1426년 - 1457년 소헌왕후 심씨 완산부부인 전주 최씨 完山府夫人 崔氏 육종영 중 한사람
세조 3년(1457년) 사사됨[15]
8 계양군 桂陽君 증 璔 1427년 - 1464년 신빈 김씨     정선군부인 청주 한씨 旌善郡夫人 韓氏[16]
9 평원대군 平原大君 임 琳 1427년 - 1445년 소헌왕후 심씨 강녕부부인 남양 홍씨 江寧府夫人 洪氏
10 의창군 義昌君 공 玒 1428년 - 1460년 신빈 김씨 양원군부인 연안 김씨 梁源郡夫人 金氏
11 한남군 漢南君 어 𤥽 1429년 - 1459년 혜빈 양씨 안동군부인 안동 권씨 安東郡夫人 權氏 육종영 중 한사람
12 밀성군 密城君 침 琛 1430년 - 1479년 신빈 김씨 풍덕군부인 여흥 민씨 豊德郡夫人 閔氏
13 수춘군 壽春君 현 玹 1431년 - 1455년 혜빈 양씨 영천군부인 연일 정씨 榮川郡夫人 鄭氏
14 익현군 翼峴君 련 璭 1431년 - 1463년 신빈 김씨 김제군부인 평양 조씨 金堤郡夫人 趙氏
15 영응대군 永膺大君 염 琰 1434년 - 1467년 소헌왕후 심씨     대방부부인 여산 송씨 帶方府夫人 宋氏[17]
춘성부부인 해주 정씨 春城府夫人 鄭氏
연성부부인 연안 김씨 延城府夫人 金氏
영흥대군 永興大君
역양대군 歷陽大君
16 영풍군 永豊君 전 瑔 1434년 -   ?[주 1] 혜빈 양씨     군부인 순천 박씨 郡夫人 朴氏[18] 육종영 중 한사람
17 영해군 寧海君 당 瑭 1435년 - 1477년 신빈 김씨 임천군부인 평산 신씨 林川郡夫人 申氏
18 담양군 潭陽君 거 璖 1439년 - 1450년 미혼

왕녀

작호 생몰년 생모 배우자 비고
1 정소공주 貞昭公主 1412년 - 1424년 소헌왕후 심씨
2 정의공주 貞懿公主 1415년 - 1477년 연창위 延昌尉 안맹담 安孟聃
3 정현옹주 貞顯翁主 1425년 - 1480년 상침 송씨 영천위 鈴川尉 윤사로 尹師路
4 정안옹주 貞安翁主 1441년 - 1461년 숙원 이씨 청성위 靑城尉 심안의 沈安義
- 옹주[19]   ?   - 1426년     신빈 김씨[20]          
- 옹주[21]   ?   - 1429년
- 옹주[22] 1430년 - 1431년 사기 차씨



각주

각주

  1. 조선 세종의 릉
  2. 세종실록 9권, 세종 2년 9월 13일 무인 4번째기사 1420년
  3. 이영훈, 《세종은 과연 성군인가》[Ebook], 백년동안, 2018
  4. 세종실록 64권, 세종 16년 6월 8일 계축 5번째기사
  5. 세종실록 9권, 세종 2년 9월 13일 무인 4번째기사 1420년
  6. 이영훈, 《세종은 과연 성군인가》[Ebook], 백년동안, 2018
  7. 세종실록》 9권, 세종 2년(1420년 명 영락(永樂) 18년) 8월 24일 (경신)
  8. 세조실록》 2권, 세조 1년(1455년 명 경태(景泰) 6년) 11월 9일 (경진)
    양씨 등은 교수형에 처하고, 홍이로 등은 관노에 정속할 것을 명하다
  9. 숙종실록》 51권, 숙종 38년(1712년 청 강희(康熙) 51년) 4월 28일 (경진)
    혜빈 양씨 및 그 아들 영풍군 이전의 관작과 봉호를 회복시킬 것을 명하다
  10. 성종실록》 150권, 성종 14년(1483년 명 성화(成化) 19년) 1월 20일 (계축)
    의금부에서 이영이 외방 종편하는 일에 대하여 아뢰다
    의금부(義禁府)에서 아뢰기를,

    "전일 성상께서 이영(李瓔, 화의군)의 어머니 강씨(姜氏)가 나이 많아 죽을 날이 얼마 남지 않았고 또 이영이 이미 종편(從便)하였다 하여 특별히 이영에게 그 어머니가 죽을 때까지 기한하여 서울에 살면서 효도를 다하게 하였는데,

    이제 강씨가 죽어 장사를 이미 마쳤으니, 청컨대 영을 보내어 외방 종편(外方從便) 하게 하소서." 하였는데, 명하여 상제(喪制)를 마친 뒤에 외방 종편하게 하였다."

  11. 성종실록》 241권, 성종 21년(1490년 명 홍치(弘治) 3년) 6월 7일 (무자)
    의금부에서 심언의 일에 연루된 윤호 · 봉보부인 등에 대해 아뢰다
    의금부(義禁府)에서 아뢰기를,

    "심언(沈漹)이 공초(供招)하기를,

    외조모 숙원 이씨(淑媛 李氏)가 봉보부인에게 편간을 청하여 영돈녕(領敦寧) 윤호(尹壕)에게 보내고 사복 판관(司僕判官)을 삼도록 요구하였습니다.’ 하였는데,

    (중략)

  12. 세종실록》 105권, 세종 26년(1444년 명 정통(正統) 9년) 7월 10일 (정사)
    연생전에 벼락이 떨어져 궁녀가 죽다
  13. 단종실록》 8권, 단종 1년(1453년 명 경태(景泰) 4년) 10월 18일 (신축)
  14. 성종실록》 228권, 성종 20년(1489년 명 홍치(弘治) 2년) 5월 9일 (병인)
    화의군 이영이 자기 서자를 종적에 편입시켜 줄 것을 상소하다
  15. 세조실록》 9권, 세조 3년(1457년 명 천순(天順) 1년) 10월 21일 (신해)
  16. 한확의 둘째 딸이자 인수대비의 언니
  17. 단종정순왕후의 고모
  18. 박팽년의 딸
  19. 세종실록》 31권, 세종 8년(1426년 명 선덕(宣德) 1년) 3월 6일 (경자)
    왕녀가 졸하다
  20. 세종실록》 84권, 세종 21년(1439년 명 정통(正統) 4년) 1월 27일 (병오)
    소의 김씨를 귀인으로 삼다
    소의 김씨(昭儀 金氏)를 귀인(貴人)으로 삼았다.

    (중략)

    "소의(昭儀)가 6남 2녀를 낳았으나 딸은 다 죽고 아들은 다 살았는데, 술수하는 자의 말을 비록 믿을 수는 없지만, 모두가 말하기를,

    ‘여섯 아들이 다 수(壽)할 것이다. ’고 하였다 하니,

    내가 정궁(소헌왕후)에 아들이 많으니 소의의 자식을 자랑할 것은 없지만, 그러나 여섯 아들이 다 오래 산다는 것은 사람으로는 할 수 없는 것이요, 실로 하늘이 시키는 것이니 또한 소의의 명(命)은 귀한 것이다.

    고금으로 궁인의 세계(世系)에 본래 귀천이 없는 것이었다.

    (중략)

    내가 빈(嬪)이나 귀인으로 승격시키고자 하니 어떻겠느냐."
  21. 세종실록》 43권, 세종 11년(1429년 명 선덕(宣德) 4년) 2월 21일 (정유)
    왕녀가 졸하니 상장의 예절을 의논하여 올리게 하다
    왕녀가 졸(卒)하므로 예조에 명하여 상장(喪葬)의 예절을 의논하여 올리게 하였다. 왕녀는 궁인(宮人)의 소생이었다.
  22. 세종실록》 53권, 세종 13년(1431년 명 선덕(宣德) 6년) 7월 6일 (무진)
    사기 차씨의 소생인 왕녀가 죽다
    왕녀가 죽었다. 나이가 두 살인데 사기 차씨(司記 車氏)의 소생이다.

주해

  1. 영풍군의 사망년도에 관한 기록은 없다.
    다만 1458년 영풍군의 아내를 그 가족에게 보내고 노비는 몰관하게 하였다는 기록을 보아 이 무렵에 사망한 것으로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