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봉학(安鳳學, 安奉學, 1909~1937)은 만주의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 제2군의 1사장(4사장)이었다가 1936년 9월 30일 일본군에 귀순한 인물이다.

개요

1935년 12월 20일자 위증민(魏拯民, 1909~1941)의 보고서에 나오는 안봉학의 약력.

안봉학은 처음에 만주의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 제1사의 제1단장(團長)이 되었다가 1936년 4월 동북항일연군으로 개편되면서 제2군의 군장(軍長) 왕덕태(王德泰, 1907~1936)가 1사장(師長) 자리를 안봉학에게 넘겨 주었다. 이후 제2군이 제1군과 함께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으로 편성되면서 2군의 제1사장은 제4사장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2군의 1, 2, 3사는 1군의 1, 2, 3사와 혼동을 피하기 위해 4, 5, 6사로 명칭을 변경함.) 1936년 9월 30일 일본군에 투항하였다.[1][2][3][4][5]

아래는 1935년 12월 20일자로 위증민(魏拯民, 1909~1941)이 모스크바의 코민테른 중공 대표부에 제출한 보고서에 나오는 안봉학의 약력이다.

『안봉학, 고려인, 1930년 입당, 빈농, 26세, 용감 적극, 중국어를 할 줄 안다. 유격대원 출신이고, 현재 〈민생단〉이라는 진술은 없다. 비교적 세심하고 유격대운동을 한 경험이 있다. 정치문제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많지않다. 충실하다.』

安凤学, 高丽人, 1930年入党, 贫农, 26岁, 勇敢 积极, 会说中国话, 游击队员出身, 现在没民生团的口供, 比较还细心, 有游击运动的经验, 政治问题知道的不多, 忠实。

동북항일연군의 안봉학

당시 북한 김일성도 2군 소속으로 안봉학보다 낮은 직급에 있었지만 제2사 소속이라서 제1사의 안봉학과는 직속의 상하관계는 아니었다.

동북항일연군의 제1군과 제2군을 묶어 제1로군(第一路軍)을 편성하면서 제2군의 제1, 2, 3사(師)는 제1군의 제1, 2, 3사(師)와 혼동을 피해 제4, 5, 6사(師)로 명칭이 바뀌며, 안봉학은 제4사장(師長)이 된다.

안봉학 부대의 출몰과 양민 약탈 기록

武裝 共產黨(무장 공산당)이 敦化 朝鮮村 襲擊(돈화 조선촌 습격) 1936.01.29 동아일보 2면
共産軍이 突現 同胞三名을 拉去 生牛와 正租도 奪去 조선중앙일보[朝鮮中央日報(여운형)] 1936년 01월 29일 2면 7단
안봉학 부대의 소행으로 나옴.
江界 精米所 襲擊(강계 정미소 습격)한 人民軍(인민군)에 無期言渡(무기언도) 1936.04.29 동아일보 2면

안봉학의 일본군 투항 : 1936년 9월 30일

동북항일연군 제2군 제1사장이었던 안봉학은 1936년 9월 30일 연길(延吉) 헌병대에 귀순하였다. 고려대도서관 경성지방법원 검사국 컬렉션에 관련 자료들이 다수 올라 있다.

p.300 : 管內鮮人ノ匪害及保護ニ關スル狀況其他送付ノ件 : 昭和十一年十月一日∼十月十日
p.302 : 間琿地方共匪賊被害情況 / (一) 공비 안봉학 귀순
pp.403~404 : 昭和十一年十月中 間島(琿春縣ヲ含ム)及接壤地方治安情況 / 一. 間島地方共匪ノ情況
9월 30일 제2군 제1사장 안봉학이 연길 헌병대에 귀순


p.173 : 昭和十一年中 間島(琿春縣ヲ含ム)及接壤地方治安情況報告ノ件 100-009. 간도영사관 정보철
p.198 : 昭和十一年中 間島(琿春縣ヲ含ム)及接壤地方중요治安사항월별표
10월 : 제1사장 안봉학 9월 30일 귀순
p.231 : 一. 間島及接壤地方共匪ノ行動情況
9월 30일 제2군 제1사장 안봉학이 연길 헌병대에 귀순
p.38 : 1936년 9월 30일 東北抗日聯軍第二軍第一師長 安鳳學 귀순

안봉학이 귀순한 배경

제2군 정치위원 위증민(魏拯民)이 5군 군장 주보중(周保中) 등에게 보낸 1936년 12월 27일자 서신에 안봉학이 탈주하여 일본군에 투항하게 된 배경이 나온다.[6]

魏拯民给周保中 并转五军党委、吉东省委的信 —— 关于一、二军活动情形 及主要干部损失等问题

(一九三六年十二月二十七日)

.............

2군 제1사의 안봉학 사장은 제1단장의 여자(老婆)와 성적 관계 발생으로 인하여 제1단장과 충돌했는데, 비난을 두려워한 결과 총칼을 들고 도주한 것은 대단히 부끄러운 일이다.

二军第一师安师长凤学 因和第一团长老婆发生性的关系, 被第一团长碰着, 恐受批评, 结果很可耻的拐枪拐刀逃跑。

당시 2군 1사의 제1단장은 최현(崔賢)이며, 그의 여자와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항일연군의 남녀대원들은 결혼할 경우 따로 거처를 마련해줄 형편이 되지 않아 정식의 결혼생활은 허용되지 않았지만, 서로 내연관계를 맺는 것은 다반사였으며 묵인해주었다.

안봉학 투항 후의 후임 4사장

  • 2군 4사장이 된 주수동(周樹東)은 1937년 4월 24일에 전사한다.
  • 주수동(周樹東)의 후임으로 한인 전주인(全住仁)이 사장 취임.
100-009 間島領事館情報綴 (1936-1937) 고려대 : 間島領事館情報綴 (1936-1937) - 국회
昭和十二年五月中 間島(琿春縣ヲ含ム)及接壤地方治安狀況報告ノ件
pp.429~430(537~538) : 1936년 10월 20일경 무송현 소탕하에서 만주군 토벌대에 2군 군장 왕덕태 전사, 위증민 후임 군장 취임
p. 430(538) : 주수동(周樹東)의 전사와 전주인(全住仁)의 사장 취임.
標題:東亜局第二課関係/第七章 支那及満州ニ於ケル共産運動 (昭和 12年 (1937년) 12月 1日) :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B02130117600、執務報告 昭和十二年度東亜局第二課及第三課(東亜-3)(外務省外交史料館)」
pp.48~49 : 1936년 겨울 2군 군장 왕덕태 사망. 정치위원 위증민이 군장 대리 겸임. 오성륜(전광)이 정치부주임 취임. 4사장 전주인(全住仁).

안봉학이 이시카와 류우키치(石川隆吉) 소장을 사살했나?

성경시보(盛京時報) 1936년 10월 15일자의 이시카와 류우키치(石川隆吉) 상교(上校) 전사 기사.

안봉학의 부대가 전투 중 일본군 이시카와 류우키치(石川隆吉) 소장(少將)을 사살했다는 주장이 많으나, 정확히는 그의 전사는 안봉학과는 관계가 없다. 또 이시카와 류우키치(石川隆吉)는 일본인이기는 하지만 전사 당시 일본군 아닌 만주군 소속이었다.

이시카와 류우키치(石川隆吉)는 일본 육사 23기 보병과 졸업생으로,[7] 1934년 일본군 중좌로 진급하고 1936년 8월 예편한 후[8] 만주군에 들어가 만주군 상교(上校, 대령급)로 되었는데 1936년 10월 10일에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 제2군 제4사와의 전투에서 전사한 것은 맞으며, 사후에 1계급 특진한 소장(少將) 계급을 추서받았다. 그러나 그가 전사한 날은 1936년 10월 10일로 제4사장 안봉학이 9월 30일 일본군에 투항한지 10일 후이므로, 그의 죽음은 안봉학과는 무관하고, 안봉학의 후임자가 지휘하던 부대와 전투 중 전사한 것이다.

전사할 당시 이시카와 상교(石川上校)의 직책은 만주군 제2군관구(第二軍管區) 소속의 군사교관(軍事教官)이었다.[9]

1942년 간행된 만주국경찰사(滿洲國警察史)의 이시카와 상교 전사 기록은 아래와 같다.[10]

[1936년] 10월 10일에 일본군과 협력하여 돈화지구의 비적을 토벌하던 만주국군 보병 이시카와 상교(石川 上校) 부대는 돈화 남쪽 동청구 부근에서 공비 붕학(鹏学)의 잔당 200여명과 맞닥뜨려 큰 전투를 치러 격퇴시켰는데, 이 전투에서 이시카와 상교(石川 上校)는 장렬히 전사했다.

10月10日, 与日军协力在敦化地区讨匪的国军步兵石川上校部队, 在敦化南东清沟附近与共匪鹏学的残匪200人遭遇, 予以很大操作将其击退,本次战斗石川上校壮烈战死

붕학(鹏学)은 봉학(鳳学)의 오기인 듯하며, 붕학의 잔당은 열흘 전 9월 30일에 일본 헌병대에 귀순해버린 안봉학(安鳳學)의 잔당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 측에서는 제2군 1사(4사) 사장(師長) 안봉학이 귀순한 후 중국인 주수동(周樹東, 1918~1937)이 후임 사장이 되었으며, 그가 만주군 제2군관구 제10려 제10단( 第2军官区 第七旅 第十团)과의 전투를 지휘하여 이시카와 류우키치(石川隆吉)를 죽였다고 한다.[11] 중국측 기록에는 주수동의 상관인 2군 군장(軍長) 왕덕태(王德泰)[12]가 이시카와를 사살한 전투의 지휘관이라는 것도 많다.[13] 그러나 2군 군장 왕덕태도 불과 며칠 후인 11월 7일 무송현(撫松縣)에서 벌어진 만주군 기병 제7단(騎兵第七團)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14][15]

서대숙은 안봉학 부대가 1936년 10월 10일 일본군 이시카와 시게하루(石川重治) 소장을 살해했다고 했고,[16] 몇몇 인명사전의 "안봉학" 항목에도 같은 말이 나오나[17][18] 이 역시 잘못된 주장이다.

동북항일연군 제4군 군장 이연록(李延祿)은 2군이 왕덕태(王德泰) 군장과 위증민(魏拯民) 정치위원의 지도아래 1936년 쌍십절(双十節, 10월 10일) 기념 당일날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일본간도제2군구부사령(日本間島第二軍區副司令) 이시카와 시게요시(石川重吉) 소장(少將)을 죽였다고 주장했다.[19]

이시카와 류우키치(石川隆吉) 관련 참고자료

1936년 10월 10일 소장에 진급했다고 나오나, 이날은 그가 전사한 날이므로 사후에 특진한 것을 가리키는 듯함.

함께 보기

각주

  1. 昭和十一年十月中 間島(琿春縣ヲ含ム)及接壤地方治安情況 / 一. 間島地方共匪ノ情況 100-008. 간도 정보철 -2 pp.408~409: 고려대도서관 경성지방법원 검사국 컬렉션
  2. 昭和十一年中 間島(琿春縣ヲ含ム)及接壤地方治安情況報告ノ件 / 昭和十一年中 間島(琿春縣ヲ含ム)及接壤地方重要治安事項月別表 : 十月 100-009. 간도영사관 정보철 p.199 : 고려대도서관 경성지방법원 검사국 컬렉션
  3. 昭和十一年中 間島(琿春縣ヲ含ム)及接壤地方治安情況報告ノ件 / 一. 間島及接壤地方共匪ノ行動情況 100-009. 간도영사관 정보철 p.231 : 고려대도서관 경성지방법원 검사국 컬렉션
  4. 간도와 접경지방 항일연군의 행동정황(間島及接壤地方共匪ノ行動情況) : 간도[훈춘현 포함] 및 접경지방 치안 정황 보고[1936년중] p.3
  5. 滿洲に於ける共産主義運動の推移と最近の情勢槪況 (사상휘보 제14호, 1938-03-01) p.38
  6. 中共延边州委党史研究所编, 《东满地区革命历史文献汇编 (上)》, (中共延边州委会党史研究室, 2000年) p.723
  7. 陸軍士官学校・步兵 23期卒業:石川隆吉 : 【官報. 1911年05月31日】明治44年 p.6/18 (일본 국회 도서관) : 오른편 2단에 石川隆吉이 나옴. 기병(騎兵) 23期卒業 朝鮮學生 金顯忠은 김경천(金擎天, 1888 ~ 1942)이다.
  8. 1931년 4월 15일, 8월 15일과 1933년 2월 1일자 이시카와 류우키치(石川隆吉) 소좌(少佐) 소속부대 기록
  9. 國軍石川上校 壯烈戰死, 晉級少將優恤遺族 성경시보(盛京時報) 1936년 10월 15일자 11면
  10. 滿洲國警察史, (治安部警務司, 1942) : 원문은 일본어임; 滿洲國警察史 (吉林省公安廳公安史硏究室, 1990, 중국어 번역본) p.517
  11. 抗战时牺牲的最年轻将领,19岁的东北抗联四师政委、师长周树东 每日头条(每日頭條) 2018-01-20
  12. 东北抗日联军第二军军长——王德泰 中國共産党长春歷史网
  13. 历史上的今天 10月10日 抗日战争纪念网
  14. 蘭星會編, 『滿洲國軍』 (東京, 滿洲國軍刊行會 1970) p. 350
  15. 間島領事館情報綴 (1936-1937) 고려대 : 昭和十二年五月中 間島(琿春縣ヲ含ム)及接壤地方治安狀況報告ノ件 pp.429~430(537~538) : 1936년 10월 20일경 무송현 소탕하에서 만주군 토벌대에 2군 군장 왕덕태 전사, 위증민(魏拯民, 1909~1941)이 후임 군장 취임.
  16. 서대숙 저, 서주석 역,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 (청계연구소, 1989) p.20.
  17. 안봉학(安奉學)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18. 안봉학(安奉學, ?~1937); 한국 사회주의 운동 인명 사전 (강만길, 성대경 엮음, 창작과 비평사, 1996) p.267
  19. 外事警察報 第百七十七号 昭和十二年四月(1937년 4월) p.128 (67) 하단.
  20. 標題:満洲駐箚第2師団の帰還並退営状況の件 昭和8年2月15日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04011514400、満洲駐箚第2師団の帰還並退営状況の件(防衛省防衛研究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