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커(Walker) 전 주한 미국대사의 김대중에 대한 회고

다음은 워커 前 주한 미국 대사의 회고록『KOREAN REMEMBRANCES』에서 김대중과 관련된 두 개의 장이다.


(한글번역) 김대중은 언론 보도의 중심에 있으려 애를 썼다.

1986년 10월 9일, 나의 친구인 제임즈 릴리가 내 후임으로 주한 미 대사에 지명된 뒤 의회의 비준을 기다리고 있을 무렵이었다. 워싱턴 D.C.의 한국인권연구소는 "우리는 이 기회에, 위기에 처한 우리 조국의 안정과 민주주의를 위해 헌신한 워커 대사에게 깊은 감사를 표하고자 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이 연구소의 이사장은 김대중이었다. 이 날 성명은 DJ는 정말 예측하기 어려운 인물이라는 나의 인식을 더욱 굳게 했다.

그의 대변인들은 주한 미국 대사로 5년이 넘는 나의 재임기간 동안 단 한시도 나를 편하게 놔두지 않았다. 김대중과 그의 동료들은 툭하면 나를 비난하곤 했다.

1979년의 12․12사태에 이은 정치적 격동기 동안 한국인권연구소는 미국에서 매우 왕성한 로비 활동을 펼쳤다. 그들은 “핫라인” 전화를 설치했고 전화만 걸면 여기서 한국 상황에 관한 김대중의 해석을 들을 수 있었다.

“KIM NEWS”라는 다이얼만 누르면 되었다. 대부분은 패리스 하비 목사가 진지한 목소리로 한국 사태를 설명해 주고 한국의 민주화에 관한 희망적 견해를 피력하곤 했다.

이런 활동은 김과 대부분이 재미교포인 그의 지지자들이 재정 지원을 했다. 나는 1980년과 1981년에 워싱턴에 머물 때 최근의 반정부 견해를 듣기 위해 자주 이 전화의 다이얼을 눌렀다. 김대중과 그의 동료들이 한국 정부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미국인들의 도움을 구하려 한 것은 확실하다.

(대사 부임을 앞두고) 1981년 5월과 6월 미 국무성에서 브리핑을 받는 동안 나는 “3김”을 연구했었다. 16년이 지났지만 이들에 대한 당시의 전반적인 평들은 아직도 유효하다. 물론 변한 점도 있지만, 그들의 인물됨은 여전한 것이다. 변덕스럽고 놀랄 정도로 수완이 비상한 김대중은 논쟁의 중심에서 벗어난 적이 없다. 그는 박정희, 전두환 그리고 노태우 대통령을 두루 비난했어도, 여러 면에서 그의 최대 정적은 1992년에 대통령에 당선된 김영삼이었다.

DJ는 29세 때인 1954년 개혁론자로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1]. 1961년 박정희의 쿠데타로 국회의원직을 잃었고, 그 이후 계속 야당이었다. 일부 한국인들은 그를 “만년 야당인”이라고 불렀다.

1971년 대통령 후보가 되어 46% 득표를 하여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그는 한국인이 독재적 스타일의 통치에 염증을 느끼고 있으며, 자신을 민주 투사로 부각시키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결론 내렸다. 이런 자기선전 캠페인으로 미국 지도자들의 지지를 바랬다. 한국에서 다년간 경험을 쌓은 국무성의 브리핑 담당자들은 김대중의 용기, 그가 견뎌 온 고난, 그리고 한국 대통령이 될 천명을 타고났다는 그의 확신을 강조했다. 그는 한국과 미국, 그리고 일본에서 재정 지원을 얻고 있었다. 그러나 김에 대해 말하는 분석가들은 유창하고 감동적인 스타일로 적당한 용어를 선택하여 군중을 사로잡는 능력과 충성심 강한 지지자들을 만들어 나가는 그의 능력을 강조했다. 대통령이 될 “천명”을 타고난 사람으로서, 그는 권위적인 데가 있었으며 최고 수준의 대우를 요구했다. 일부 한국인들은 그가 박이나 전 못지않게 독재적이라고 말한다.

1981년 여름 내가 서울에 도착했을 때, 全은 김의 사형을 감형시킨 대가로 레이건 대통령을 처음으로 국빈 방문한 외국 지도자가 되었고 DJ의 형을 20년으로 더 감형시켰다. 미 대사관과 외부 관측통들은 김의 재판을 “笑劇”으로 여겼다. 미국무성은 공식적으로 그에게 붙여진 혐의를 “억지스럽다”고 평했다.

그러나 김대중은 감옥에 있었고 미국과 한국의 많은 단체, 특히 교회 지도자들은 미국인들에게 全정권이 그를 석방하도록 압력을 넣으라고 촉구했다. 주한 미국대사로 지낸 첫 1년 동안 나는 김대중 사건과 관련하여 미국으로부터 수많은 방문객과 서신과 전신을 받았다.

1982년 9월 23일 하오 3시에, 이희호(Mrs. KIm Dae-jung)가 유명한 여 변호사 이태영 그리고 미국 선교사이자 나의 좋은 친구인 소니아 스트론을 帶同하고 내 집무실을 찾아와서, 김이 신병 치료를 위해 석방되어 미국에 갈 수 있도록 도와 달라고 간청했다.

이태영씨는 -그녀의 아들 정대철씨는 당시 김의 지지자였다- 내가 이미 이 문제에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김대중의 처는 내가 김을 석방시키는데 도와준다면, 그가 다시는 정치에 관여하지 않도록 맹세하는 데 일조하겠다고 약속했다. 나는 그녀에게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나는 김씨 문제로 한국 정부와 상대하면서 정치적 자산의 많은 부분을 쏟아 붓고 있었다.

나에게는 다행스럽게도, 전두환 주변에는 김을 다루는 한국 정부의 방식이 국제적으로 명분을 얻기 어렵다는 것을 이해하는 개화된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나는 당시 내가 외무장관 이범석과 노신영 국가안전기획부 부장에게 가지고 있는 설득력을 이용했다. 이 두 사람은 나의 견해를 청와대에 전달했다. 또 청와대에서는 나의 오랜 친구인 함병춘이 김이 치료를 위해 미국으로 갈 수 있도록 전씨를 잘 설득했다. 1982년 12월 16일 DJ는 석방되어 서울대병원으로 이송되었다.

그날 나는 세 명의 친구와 전 대통령에게 그의 결정에 감사하는 편지를 보냈다. 전씨의 결정은 청와대 강경파들의 반대에 직면했었다. 청와대는 또한 외환관리법 규정보다 훨씬 많은 돈을 가지고 미국으로 가게 해달라고 요청해 온 DJ와의 까다로운 거래에 말려들었다. 나는 전과 김의 관계가 좋지 않음을 알았다. DJ에 대한 전 대통령의 적대감은 김대중 문제가 제기될 때마다 일그러지는 그의 표정에서 그대로 드러났는데 이 같은 적대감은 오래된 지역감정에 따른 고질적인 불신과 경멸감 때문에 더욱 강해진 듯했다. 이러한 전 대통령의 개인적 적개심은 나의 업무를 어렵게 만들었다. 아무튼 청와대의 몇몇 인사는 나의 고충을 이해했으며 조용한 외교를 펼친 노력을 높이 평가했다.

예를 들어 함병춘은 내가 보낸 편지에 답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청와대에서 대통령을 보좌하는 우리는 그의 관대한 결정에 큰 자부심을 느낍니다 … 김대중의 석방은 전적으로 그의 결정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를 놓고 몇 주전에 대사와 내가 나눈 대화가 대통령을 설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전해 주고 싶습니다."

한국 정부 결정에 내가 영향력을 행사한 것을 당시에 시인했었다면 경솔하고 세련되지 못한 처사가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몇몇 한국 신문은 워커 대사와 함병춘 대통령 비서실장 간의 긴밀한 관계가 (김대중의 석방에) 영향을 주었음에 틀림없다고 보도했다. 우리는 전두환 정권이 좀 더 긍정적으로 비춰지도록 하기 위해서, 우리가 김씨에 대한 쇼나 다름없는 판결을 백지화하려 했던 우리의 노력을 감추려 하지는 않았다. 크리스마스 특사로 김을 석방한 조치는 국내외에서 환영을 받았다.

1주일 후 김대중씨 부부는 두 아들과 함께 워싱턴에 도착했는데, 거기서 김씨가 한 첫마디 말은 “나의 석방을 주선해준 데 대해 에드워드 케네디 미 상원의원에게 감사를 드린다”는 것이었다. 나는 내가 보수주의자로 여겨지고 있는 줄 알았으며, 또한 공화당 대통령이 임명한 대사였다. 그러나 우리는 공공연히 한국 내정에 간섭하기보다는 이른바 ‘조용한 외교’ 가 유효하다고 믿었다.

케네디 상원의원은 카터 미국 대통령과 그의 인권문제 차관보 패트리시아 데리안 시절에 성공적이지 못했던 방식의 상징이었다. 말할 것도 없이 케네디 의원은 김씨의 석방과 전혀 무관했는데, 그런 케네디에게 감사를 표시한 김씨에게 나는 애정을 느낄 수 없었다. 나의 집무실을 찾아 왔을 때의 이희호도 그랬고, 그녀의 남편의 지지자들도 여러 달 동안의 만남에서 DJ의 병세가 심각하여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서울대 병원의사들은 관절염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심각한 증상도 발견하지 못했다. 나는 그의 신체적 상태가 정말로 심각한 주의를 요한다는 간청을 받아들여 치료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 그러나 놀랍게도 한국의 저명한 야당인사가 미국에 도착한 이후 병원에 입원했다거나 치료를 받았다는 보도는 전혀 없었다. 김은 석방의 조건으로 정치에 관여하지 않겠다고 서약했다. 그러나 그는 미국 도착 즉시 순회 연설과 전두환 정권 타도를 목적으로 한 한국 교포지지 기반 구축에 나섰다.

그는 미국 전역에서 수많은 연설을 했다. 1983년 5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있은 세계문제위원회 연설에서 그는 민주주의에 필요한 핵심기관인 입법부, 사법부 그리고 언론이 모두 무력해졌고 “많은 경우에 있어, 자발적으로 독재의 走狗로 봉사하고 있다”고 말하면서 “박정희전두환의 독재”를 비난했다.

그 해 9월 대구 미국 문화원에서 폭발 사건이 발생하자 김은 미국 청중들에게 이 사건이 全정권을 지지하는 미국에 대한 “한국국민의 반미감정”의 한 표현이라고 말했다. 미국에 체류하는 동안, 김의 지지자와 한국의 군부를 혐오하는 많은 미국인들은 한국에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목적으로 상당한 규모의 활동가 조직망을 구축하는 데 일조했다.

김은 하버드 대학에서도 시간을 보냈는데 여기서 필리핀의 니노이 아키노와 그들 나라의 정부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에 대해 의견을 나누기도 했다. 일부 미국의 상․하원 의원들도 김대중 지지자가 되었다.

김대중이 1985년 2월 귀국한 후에, 이 그룹은 김을 개인 면담하라고 나와 우리 대사관에 압력을 가했다.사실, 全에 대한 반대와 학생운동이 늘어남에 따라 많은 미국 지도자들은 미 대사관이 좀 더 공개적인 입장을 취하기를 원했다. 그렇게 했으면 미국이 한국을 식민지로 지배하고 있다는 북한의 선전에 이용될 수 있었다. 케네디 의원의 민주당 동료인 존 커리 매사추세츠 상원 의원은 미국이 한국의 소요 사태를 다룰 특사를 파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가 보기에는, 내가 대사로 부적당한 것은 명확했다. 김대중과 그의 추종자들은 백악관 또는 미 국무성과는 별도로 독자적인 외교 정책을 추구하는 미국 정치인들을 매우 능숙하게 조종했다.미국 상․하원 의원들이 개인적 또는 정치적 이유로 정부의 정책을 반대하며 나름의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은 워싱턴 정치의 한 단면이다.

많은 경우 이런 행동은 합법적이며 미국의 이익을 둘러싼 사심없는 의견차 수준에 머물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의도를 지닌 외국 정치인들의 꾐에 넘어 가거나 그들의 방해 공작에 영향받은 예도 있었다. 김의 특수 상황을 곰곰 따져볼 때 나는 아이러니를 느꼈다. 김대중의 지지자들은 한국 내정에 미국이 개입한다고 비난하면서도 실제로는 DJ가 "민주" 후보가 될 수 있도록 미국의 지지를 구하고 있었다.

당시 미국 내 김 지지 그룹은 내가 김을 면담할 것을 요구하는 편지 공세를 폈다. 나는 1986년 4월 21일, 데이비드 램버트슨 부대사에게 김영삼을 점심에 초대하도록 했다. 우리는 두 시간 동안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한국의 정치적 난국을 해소하는 최선의 방법을 논의했다.

이후 램버트슨 부대사가 김대중을 점심식사에 초청하자, DJ는 미 대사가 자신을 만나고 싶으면 집으로 찾아오라면서 거절했다. 미 대사관을 미국에서 직접 관장해야 한다고 설득당한 몇 몇 미 의원들의 행동은 우스꽝스럽기조차 했다. 한 상원의원은 내가 카톨릭교도인 김대중과 친한 김수환 추기경을 만나지 않았다고 비난했다.

나는 김 추기경을 명동성당으로 찾아간 적이 있을 뿐 아니라, 김 추기경이 조지 부시 당시 미국 부통령을 위한 만찬을 비롯해 미 대사관에서 열린 수많은 모임에 참석했다는 메시지를 그 상원의원에게 보냈다. 미국 내 김대중 지지자들은 나를 언론을 통한 공격의 표적으로 삼기도 했다. 일부 미국의 좌익 성향 신문이 이에 동조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1985년 2월 23일「네이션」지는 그 해 4월로 예정된 전 대통령의 방미를 반대하는 다음과 같은 사설을 실었다.


이 나라는 미국 의원을 마구 대하며 화나게 만든 사람을 환영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워커씨는 자신을 주미 한국대사로 여기고 있기 때문에 워싱턴으로 당장 소환해야 한다. 우리는 (미국인에게도) 이런 식으로 행동하는 미국의 종속 정권이라면 한국인은 더욱 험하게 다룰 것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김대중은 고립된 상태에서 자신의 운명을 기다리고 있다. 그의 고립은 워커 대사와 그를 주한 미 대사로 지명함으로써 한국민을 모욕한 사람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강한 연대 의식에 힘입어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김대중이 관련될 때면 항상 말썽이 뒤따랐다. 이런 말썽은 미국으로까지 확대됐다. 다행히도 네이션 지의 보도를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미국인은 거의 없었는데, 우리는 김 그룹 일부를 제외하고는 이런 방식이 좋은 것이라고 생각할까 의아해 했다.

나는 한국인권연구소가 내놓은 놀라운 성명을 소개하면서 김대중에 대한 이 글을 시작했다. 내가 이 성명을 충격적으로 받아들인 이유는 쉽게 납득하리라 생각한다. 어쩌면은 놀랄 일이 아닌 지도 모른다.

1986년에 DJ 캠프는 내가 모교인 드류 대학 졸업식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을 때 무례하기 짝이 없는 행동을 했다. 그들은 내게 간접적인 사과를 해야 한다고 느낀 듯했다. 나는 정치를 하지 않겠다는 그의 지켜지지 않는 약속과 성명을 수없이 목격해 왔다. 지금 그는 생애 4번째로 대통령 후보에 나섰는데, 이는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는 항상 매스컴의 중심에서는 놀라운 능력을 과시해 왔다. 그는 확실히 나의 이목을 오랫동안 끌어 왔다.


(영어원문) Kim DJ Tried to Put Himself at Center of Media Attention

On Oct. 9, 1986, at the time my friend and successor James R. Lilley was being confirmed as ambassador to the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Institute for Human Rights, a small organization in the Washington, D.C. area, issued a statement which said, "We would like to use this opportunity to express our deep appreciation to Ambassador Richard Walker for his dedicated efforts to bring about stability and democracy to the troubled land of our heritage, Korea." The chairman and president of the institute was Kim Dae-jung. It confirmed for me that DJ was indeed unpredictable.

His spokesmen had not given me an easy time during more than five years as ambassador. In fact, he and his colleagues all too frequently denounced me.

In the period following the Dec. 12, 1979 incident and the uncertain political turmoil, the Korean Institute for Human Rights had been remarkably active in its lobbying activities in the United States. They set up a special "hot line" phone where callers could get Kim Dae-jung's interpretations of events in Korea.

All they had to do was dial KIM-NEWS. Most of the time the earnest voice of Rev. Pharis Harvey would read an account of events and editorialize about hopes for democracy in Korea. This operation was financed by Kim and his supporters, many of them Korean-Americans. When in Washington in 1980 and 1981, I frequently tuned in to hear the latest dissident line. It was clear that Kim Dae-jung and his colleagues were hoping to enlist American help to effect changes in the Korean government.

During briefings at the State Department in May and June 1983, I had time to study the "Three Kims."

Now, sixteen years later, many of the generalizations made then are still valid.

Obviously there have been changes, but the personalities remain the same.

The volatile and amazingly resourceful Kim Dae-jung has never been far from the center of controversy. Though he has roundly condemned President Park, Chun and Roh, sometimes with good reason, in many respects his major opponent has been Kim Young-sam who succeeded in gaining the presidency in 1992.

In 1954, DJ was elected to the National Assembly as a "young Turk" at the age of 29. Park Chung-hee's coup in 1961 deprived him of his seat, and since then he has been in opposition. Some Koreans have termed him "a life-long oppositionist."

Kim's run for the presidency in 1971 brought him international attention when he garnered 46 percent of the vote against Park.

He concluded that the Korean people were tired of authoritarian style rule, and that his best chances were in selling himself as the champion of democracy. In this public relations campaign he hoped to enlist the support of American leaders.

My briefers, many with years of experience in Korea, stressed Kim Dae-jung's unassailable valor, the hardships he endured, and his conviction that he was ordained to be the Korean president.

He has been able to recruit financial support in Korea, the U.S. and Japan. But most analysts who talked about Kim stressed his ability to sway crowds, his electrifying capacity to choose the right terms in fluent emotional style and his talent at developing a group of loyal supporters.

As one "ordained" to be president, he had the aura of authority and demanded top level treatment. Some Koreans say that he is every bit as authoritarian as Park or Chun.

When I arrived in Seoul in the summer of 1981, Chun, who had commuted Kim's death sentence and as a result was the first foreign leader to make a state visit to the Reagan White House, further reduced DJ's sentence twenty years. American Embassy and outside observers had considered Kim's trial a staged farce. The State Department officially called the charged against him "far-fetched."

But Kim Dae-jung was in prison and a number of groups in the U.S. and Korea, especially church leaders, were calling for the Americans to put pressure on the Chun government to get him released. During my first year as ambassador, numerous visitors from the U.S. and much correspondence and cable traffic were devoted to the Kim case - and that continued throughout my tenure.

At 3:00 p.m. on Sept. 23, 1982, Lee Hee-ho(Mrs. Kim Dae-jung) accompanied by the well-known woman lawyer, Lee Tae-young, and my good American missionary friend Sonia Strawn, came to my office to plead for my help in getting Kim released to go to the U.S. for medical attention.

Lee Tae-young, whose son, Cheong Dae-chul was then a Kim supporter, knew that I was already working on this. Kim's wife promised me that if I could help secure his release, she would join him in pledging that he would never again engage in politics. I told her I was doing all I could. In fact, I was expending a great amount of my political capital with the ROK government on the Kim case.

I was fortunate that Chun Doo-hwan had around him a group of modernizers who understood that the treatment of Kim was not a winning cause internationally.

I used what persuasive powers I had with Foreign Minister Lee Bum-suk and with then NSP director, Lho Shin-young, both of whom began to carry my suggestions to Chong Wa Dae. But in the Blue House, my long-time friend Hahm Byong-choon was to prove especially helpful in persuading Chun to let Kim go to the U.S. for medical treatment. On Dec. 16, 1982, DJ was released to go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at day I addressed letters to all three of my friends and President Chun in appreciation for his decision, which went against the counsel of some Blue House hardliners. The Blue House was also involved in hard bargaining with DJ, who demanded that he be allowed to leave Korea with a far greater some of money than regulations permitted.

I knew that relations between Chun and Kim were strained.

President Chun's personal animosity toward DJ was visible in his facial reactions when the issue of Kim Dae-jung was raised and this physical expression was probably reinforced by the traditional mistrust and disdain regional rivalries had fueled over the years.

This did not make my diplomatic job any easier. At least some in the Blue House understood the problem and appreciated my efforts at quiet diplomacy.

For example, Hahm Byong-choon replied to my letter saying:

"We who serve the President here at Chong Wa Dae are greatly proud of his magnanimous decision… the decision to let Kim out of prison was absolutely his and his alone. However, I did want you to know, Dixie, that the discussion you and I had a few weeks ago on the subject did have an important bearing up on the recommendations presented to the President."

At the time it would have been clumsy and imprudent of me to admit that I had been involved in trying to influence a decision by the Korean government, but several newspapers stated that Amb. Walker's close relations with Secretary General Hahm must have played some part. We had made no secret of our desire for doing away with the show trial verdicts in order that Chun's government could be viewed in a more positive light. Kim's release was part of a Christmas amnesty which was welcomed in Korea and abroad.

A week later, when Kim Dae-jung and his wife arrived with their two sons in Washington, the first thing he said was, "I want to thank Senator Edward Kennedy for arranging my release." I knew that I was regarded as a conservative, and I was a Republican president's appointee, but we believed in what was termed "quiet diplomacy" rather than trying to intrude openly into Korean domestic affairs.

Senator Kennedy was the symbol of an approach which had proved so unsuccessful under president Carter and his assistant secretary for human rights, Ms. Patricia Derian. Needless to say, DJ's thanks to Kennedy, who was not involved in his release, did not endear him to me.

Kim's wife, when she visited my office, and her husband's supporters in talks over many months, had stressed DJ's need for immediate serious medical attention.

The doctors at SNU Hospital had not found anything too serious; Kim suffered from an arthritic condition. But accepting the pleas that his physical condition did indeed require specialized attention, my representations dwelt on medical concerns. Surprisingly, there were no reports about any hospital or medical attention once Korea's famed oppositionist arrived in the United States.

Kim had pledged not to engage in politics as a condition of his release. Once in the U.S. he embarked on a campaign of speaking tours and organizing Korean-American support for toppling the Chun government.

He gave numerous speeches throughout the U.S. In a talk to the World Affairs Council of San Francisco in May 1983, he denounced the "the dictatorships of Park Chung-hee and Chun Doo-hwan." saying that the key institutions necessary for democracy - the legislature, the judiciary and the news media - had become powerless and "in many instances, voluntarily have served as lackeys of dictatorship."

In September, after the bombing of the U.S. Cultural Center in Taegu, Kim informed an American audience that this was an expression of "anti-American sentiments of the Korean people" for their support of the Chun government.

During his stay in the United States, Kim's supporters and many Americans who shared his distaste for the armed services, helped build a substantial network of activists dedicated to bringing change in Korea.

Kim spent time at Harvard University where he and the Philippine dissident, Ninoy Aquino, shared views about how to change their governments. U.S. congressmen and senators were enlisted into the Kim Dae-jung circle of supporters and admirers.

After Kim Dae-jung returned to Korea in February 1985, this group began pressure on me and our Embassy to meet with Kim personally.

In fact, given the growing dissent and student activism Chun was facing at the time, many American leaders wanted a more overt program of action on our part. This would have played right into the hands of the North Koreans, who maintained that the U.S. ruled the Republic of Korea as colony.

Senator John Kerry, Kennedy's Democratic colleague from Massachusetts, proposed that the United States send a special envoy to deal with the growing unrest in Korea. Obviously, to him I was inadequate as ambassador.

Kim Dae-jung and his organizers were very good at manipulating U.S. political personalities who wanted to pursue their own foreign policies independent of the White House or State Department.

It is often part of the domestic political dance in Washington that congressmen and senators, for a variety of personal or political reasons, oppose specific official U.S. government policies or promote their pet projects.

Many times, these actions are legitimate and honest differences regarding U.S. foreign political interests. At times, though, these genuine efforts are seduced or sabotaged by foreign political personalities who have their own agendas. In this particular situation, the irony, from my point of view, was that while Kim Dae-jung's supporters criticized U.S. interference in Korean politics, they were, in fact, working to promote U.S. interference in Korean domestic politics by seeking American support for DJ as the "democracy" candidate.

The Kim group in the United States then started a campaign of letters and messages to me demanding that I meet with Korea's most famous dissident. I had arranged for our Deputy Chief of Mission, David Lambertson, to invite Kim Young-sam to lunch on April 21, 1986. We had a very cordial and interesting two-hour talk about how best to loosen up the Korean political system.

When Lambertson then invited Kim Dae-jung for lunch, DJ declined saying that if I the ambassador wanted see him he would have to visit him at his home. As members of Congress were persuaded to try to run the U.S. Embassy from Washington, some of their activities were almost humorous. One senator denounced me for not having met with Cardinal Kim Soo-hwan, a friend of Catholic Kim Dae-jung.

I sent a message to the senator saying that not only had I been to visit the Cardinal at the Myongdong Cathedral, but that Kim Soo-hwan had been a frequent dinner guest at my residence, including meals when Vice President Bush was there on an official visit. Some of the pro-Kim activists in the United States decided to make me a high priority public relations target. Naturally, some of our own left-wing publications rallied to the cause. On Feb. 23, 1985 The Nation editorialized against a visit by President Chun which was to take place in April. It stated:

This country is not obliged to welcome a man who roughs up American Congressmen. And since Walker regards himself as Korean ambassador to the United States, he should be recalled to Washington. Above all, it must be borne in mind that a client regime that treats its this way is capable of far worse against its own citizens. Kim Dae-jung waits, in imposed isolation, to see what his fate will be. The physical isolation can be qualified, even negated, by acts of solidarity and concerns which will have to be sustained in spite of, and without, the contemptible Ambassador Walker and those who insulted the Korean people by appointing him.

Controversy was never far away when Kim Dae-jung was involved. Obviously it even extended from Korea to America. Fortunately, very few in the United States took The Nation seriously, and we wondered who besides some of the Kim group might find this a rewarding approach.

I began this account of some dealings with Kim Dae-jung with that surprise statement from The Korean Institute for Human Rights. It is easy to see why, for me, it was a shock. Maybe it should not have been.

In 1986, the DJ camp behaved outrageously when I was given an honorary degree at a commencement ceremony at my alma mater, Drew University. Perhaps they thought they owed me an indirect apology.

I have witnessed Kim's numerous unkept pledges and statements not to enter politics again.

Now, not surprisingly, he is back for the fourth time as a presidential candidate. He has shown a remarkable capacity for putting himself at the center of media attention. He certainly caught my attention over many years.


각주

  1. 편집자 주:워커 대사의 착오. 김대중은 1954년 선거에 목포에서 처음 출마 낙선했다. 김대중이 당선된 것은 1961년 보궐선거가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