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 명령문 또는 매직워드는 미디어위키에 내장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문입니다.
변수는 틀의 기능을 더욱더 확장시켜 주는 기능을 하며, 특정한 값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합니다. 틀에서 {{{변수}}}처럼 양옆에 중괄호 세개가 붙어있는 것입니다.
매개변수의 종류는 두가지가 있으며, 하나는 숫자로된 {{{1}}}, {{{2}}} 등과 같이 되어있고, 다른 하나는 {{{바탕색}}}, {{{글자색}}} 등과 같이 문자열이 들어가 있습니다.
그리고 변수에 값이 있는지 체크하는 기능을 하는것이 에서 내용없음 의 역할입니다. 여기서 문자열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틀 {{if}}가 있는데 이것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if | {{{1|}}} | {{{1}}} | {{{2}}} }}
첫번째 인자 {{{1|}}}에서 문자열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합니다. 그래서 {{{1|}}}의 값이 있으면 두번째 칸의 인자값 {{{1}}}을 실행하고, 없으면 세번째 칸 {{{2}}}를 실행합니다.
우리는 여기에서 매개변수가 있는 틀을 만들 때 if 의 값을 체크하는 {{{1|}}} 오른쪽에 {{{1|AAA}}}와 같이 할 수 있다. 그러면 매개변수 1의 값이 없으면 디폴트 값인 AAA가 실행되며 그러면 문자열이 있는것이기 때문에 2번인자의 값이 실행된다.
이러한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틀에서 사용하는 변수로는 {{{1|}}} , {{{2|}}} 처럼 생긴 숫자변수이다.
다음은 1번변수 값에 대한 결과이다.
입력 | 결과
|
---|---|
{{{1}}} | {{{1}}} → 문서에서 넘어온 변수값 "1=" 이 그대로 표시됨. |
{{{1|}}} | → 1번인자 값이 없으므로 표시안됨. |
{{{1|red}}} | red → 1번인자가 없으면 | 뒤의 값 red(기본값) 표시됨. |
다음은 틀 if의 조건으로 사용한 예이다. 물론 문서에서 이 틀을 호출하며 1번 매개변수(1번인자) 값을 설정하면 1번변수 값이 실행될 것이다.
입력 | 결과
|
---|---|
{{ if | {{{1|}}} | 사이다 | 고구마}} | 고구마 → 1번인자 값이 없으므로 거짓값 실행됨. |
{{ if | {{{1|@}}} | 사이다 | 고구마}} | 사이다 → 기본값 "@"이 있어 참값 실행. |
{{ if | {{{1|red}}} | {{{1|red}}} | }} | red → 숫자변수 1에 값이 없어 기본값 red 실행됨. 매개변수 1=yellow 가 설정되었다면 참값인 {{{1|red}}}가 실행되고 변수1이 yellow이므로 yellow가 실행됨. 이 예는 틀 {{대학 정보}}등 배경색을 기본값으로 사용하고, 문서에서 배경색값을 바꿀 수 있어 유용하다. |
또한 다음의 틀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더 많은 사용방법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하세요.
변수는 특정한 값을 출력하는 명령문으로, {{변수}} 처럼 양옆에 중괄호 {{ 와 }} 의 2개의 쌍으로 되어있습니다.
틀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표시방법이 협정 세계시와 현지 시각으로 나뉩니다.
입력 | 결과 | 설명 |
---|---|---|
{{현재년}}
|
2023 | 현재의 서기년도를 출력합니다. |
{{현재월}}
|
01 | 현재의 달을 숫자로 출력합니다. 만약, 한 자릿수 달(1~9월)일 때에는 숫자 앞에 0이 붙습니다. |
{{현재월1}}
|
1 | 현재의 달을 숫자로 출력합니다. {{현재월}} 와 달리 한 자릿수 달일 때에 0이 붙지 않습니다.
|
{{현재월이름}}
|
1월 | 현재의 달을 이름으로 출력합니다. 한국어는 달에 이름이 없기 때문에, 숫자+'월'로 출력됩니다. |
{{현재월이름소유격}}
|
1월 | 현재의 달을 소유격 이름으로 출력합니다. 한국어는 달에 이름이 없기 때문에, {{현재월이름}} 과 똑같이 출력됩니다.
|
{{현재월이름약자}}
|
1 | 현재의 달을 약어로 출력합니다. 한국어는 달에 이름이 없기 때문에, {{현재월1}} 과 똑같이 출력됩니다.
|
{{현재일}}
|
28 | 현재의 날짜를 출력합니다. |
{{현재일2}}
|
28 | 현재의 날짜를 출력합니다. {{현재일}} 과 달리, 한 자릿수 날짜(1~9일)일 때에는 숫자 앞에 0이 붙습니다.
|
{{현재요일}}
|
토요일 | 현재의 요일을 출력합니다. |
{{현재요일숫자}}
|
6 | 현재의 숫자로 요일을 출력합니다. 일요일이 0이고, 토요일이 6입니다. |
{{현재시분}}
|
06:14 | 현재의 시각을 24시간제 '시:분'으로 출력합니다. (00:00 ~ 23:59) |
{{현재시}}
|
06 | 현재의 시각을 24시간제 '시'로 출력합니다. (00 ~ 23) |
{{현재주}}
|
4 | 현재의 주차를 출력합니다. (1 ~ 53) |
{{현재타임스탬프}}
|
20230128061417 | 현재의 시각을 '년도월일시분초'로 출력합니다. |
입력 | 결과 | 설명 |
---|---|---|
{{지역년}}
|
2023 | 현재의 서기년도를 출력합니다. |
{{지역월}}
|
01 | 현재의 달을 숫자로 출력합니다. 만약, 한 자릿수 달(1~9월)일 때에는 숫자 앞에 0이 붙습니다. |
{{지역월1}}
|
1 | 현재의 달을 숫자로 출력합니다. {{지역월}} 와 달리 한 자릿수 달일 때에 0이 붙지 않습니다.
|
{{지역월이름}}
|
1월 | 현재의 달을 이름으로 출력합니다. 한국어는 달에 이름이 없기 때문에, 숫자+'월'로 출력됩니다. |
{{지역월이름소유격}}
|
1월 | 현재의 달을 소유격 이름으로 출력합니다. 한국어는 달에 이름이 없기 때문에, {{지역월이름}} 과 똑같이 출력됩니다.
|
{{지역월이름약자}}
|
1 | 현재의 달을 약어로 출력합니다. 한국어는 달에 이름이 없기 때문에, {{지역월1}} 과 똑같이 출력됩니다.
|
{{지역일}}
|
28 | 현재의 날짜를 출력합니다. |
{{지역일2}}
|
28 | 현재의 날짜를 출력합니다. {{지역일}} 과 달리, 한 자릿수 날짜(1~9일)일 때에는 숫자 앞에 0이 붙습니다.
|
{{지역요일}}
|
토요일 | 현재의 요일을 출력합니다. |
{{지역요일숫자}}
|
6 | 현재의 숫자로 요일을 출력합니다. 일요일이 0이고, 토요일이 6입니다. |
{{지역시분}}
|
15:14 | 현재의 시각을 24시간제 '시:분'으로 출력합니다. (00:00 ~ 23:59) |
{{지역시}}
|
15 | 현재의 시각을 24시간제 '시'로 출력합니다. (00 ~ 23) |
{{지역주}}
|
4 | 현재의 주차를 출력합니다. (1 ~ 53) |
{{지역타임스탬프}}
|
20230128151417 | 현재의 시각을 '년도월일시분초'로 출력합니다. |
입력 | 결과 | 설명 |
---|---|---|
{{사이트이름}}
|
우남위키 | 위키 사이트의 이름을 출력합니다. |
{{서버}}
|
https://www.unamwiki.org | 위키 사이트의 도메인 URL을 출력합니다. |
{{서버이름}}
|
www.unamwiki.org | 위키 사이트의 서브도메인과 도메인의 이름을 출력합니다. |
{{명령검토}}
|
| 불명. DIRMARK, DIRECTIONMARK로도 사용 가능 |
{{스크립트경로}}
|
/w | 위키 사이트의 스크립트경로를 출력합니다. |
{{스타일경로}}
|
/w/skins | 위키 사이트의 스타일경로를 출력합니다. |
{{현재버전}}
|
1.31.14 | 위키 사이트가 사용하는 미디어위키의 버전을 출력합니다. |
{{기본언어}}
|
ko | 위키 사이트에서 설정한 기본 언어를 출력합니다. |
입력 | 결과 | 설명 |
---|---|---|
{{문서번호}}
|
12565 | 해당 문서의 문서번호(PAGE ID)를 출력합니다. |
{{PAGELANGUAGE}}
|
ko | 해당 문서의 언어판을 출력합니다. 우남 위키에서는 확인필요한 명령문입니다. |
{{보호수준:행동}}
|
해당 문서에서 행동(편집, 이동)에 따른 보호수준((없음), 준보호, 보호)을 출력합니다. | |
{{PROTECTIONEXPIRY:action}}
|
해당 문서에서 action[행동](edit[편집], move[이동])에 따른 보호수준의 만료기간(20150416205130, infinite[무한대])을 출력합니다. | |
{{계단식원본}}
|
불명. CASCADINGSOURCES로도 사용 가능 |
입력 | 결과 | 설명 |
---|---|---|
{{판번호}}
|
108725 | 해당 문서 최신판의 판번호를 출력합니다. 편집할 때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
{{판일}}
|
28 | 해당 문서 최신판의 수정 날짜를 출력합니다. |
{{판일2}}
|
28 | 해당 문서 최신판의 수정 날짜를 출력합니다. {{판일}} 과 달리, 한 자릿수 날짜(1~9일)일 때에는 숫자 앞에 0이 붙습니다.
|
{{판월}}
|
07 | 해당 문서 최신판의 수정 월을 출력합니다. 만약, 한 자릿수 달(1~9월)일 때에는 숫자 앞에 0이 붙습니다. |
{{판월1}}
|
7 | 해당 문서 최신판의 수정 월을 출력합니다. {{판월}} 과 달리, 한 자릿수 달일 때에 0이 붙지 않습니다.
|
{{판년}}
|
2022 | 해당 문서 최신판의 수정 년도를 출력합니다. |
{{판타임스탬프}}
|
20220728222112 | 해당 문서 최신판의 수정 시각을 '년도월일시분초'로 출력합니다. |
{{판사용자}}
|
Rlakk00 710 | 해당 문서를 최신판으로 수정한 사용자의 이름을 출력합니다. 문서를 편집할 때에는 편집하는 사용자의 이름이 나옵니다. |
{{판크기}}
|
21304 | 해당 문서 최신판의 문서 크기를 출력합니다. |
입력 | 설명 |
---|---|
{{보일제목:제목}}
|
문서에 보이는 제목을 바꾸는 명령문입니다. noerror와 noreplace는 불명. |
{{기본정렬:정렬 키}}
|
해당 문서의 정렬 키를 바꾸는 명령문입니다. 이는 [[분류:분류|정렬 키]]와 동일하지만, 해당 명령문은 문서에 지정된 모든 분류에 적용됩니다. |
위키의 통계를 출력합니다. 끝에 ':R'을 붙이면, 1000 단위마다 있는 쉼표를 없앱니다.
{{모든문서수:R}}
: 26093입력 | 결과 | 설명 |
---|---|---|
{{모든문서수}}
|
26,093 | 위키에 있는 모든 문서의 개수를 출력합니다. |
{{문서수}}
|
9,319 | 위키에 있는 일반 문서의 개수를 출력합니다. |
{{파일수}}
|
5,764 | 위키에 업로드된 파일의 개수를 출력합니다. |
{{편집수}}
|
115,866 | 위키에서 일어난 총 편집 횟수를 출력합니다. |
{{사용자수}}
|
480 | 위키에 가입한 계정의 개수를 출력합니다. |
{{관리자수}}
|
2 | 위키에 있는 관리자 계정의 개수를 출력합니다. |
{{활동중인사용자수}}
|
0 | 위키에서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계정(활동중인 사용자)의 개수를 출력합니다. |
{{분류문서수:분류}}
|
1 1 |
분류에 포함되는 문서, 하위분류, 파일의 개수를 출력합니다. |
{{분류문서수:분류|문서}}
|
0 | 분류에 포함되는 문서의 개수를 출력합니다. |
{{분류문서수:분류|하위분류}}
|
1 | 분류에 포함되는 하위분류의 개수를 출력합니다. |
{{분류문서수:분류|파일}}
|
0 | 분류에 포함되는 파일의 개수를 출력합니다. |
{{권한별사용자수:그룹}}
|
9 | 특정 그룹에 포함되는 계정의 개수를 출력합니다. 예시에서는 bureaucrat를 적용했습니다. (한국어는 안 되는 듯) |
{{이름공간문서수:이름공간 코드}}
|
특정 이름공간을 사용하는 문서의 개수를 출력합니다. 처음에는 비활성화되어 있습니다. |
문서의 제목을 출력합니다.
입력 | 결과 | 설명 |
---|---|---|
{{전체문서이름}}
|
위키문법/특수 명령문2 | 해당 문서의 이름공간과 이름을 모두 출력합니다. |
{{문서이름}}
|
위키문법/특수 명령문2 | 해당 문서의 이름만 출력합니다. |
{{상위문서이름}}
|
위키문법/특수 명령문2 | 해당 문서의 상위문서 이름을 출력합니다. 예) 가/나/다 문서에서 사용하면, 가/나가 출력 |
{{하위문서이름}}
|
위키문법/특수 명령문2 | 해당 문서의 하위문서 이름을 출력합니다. 하위문서가 없으면, {{문서이름}} 의 결과와 같습니다.
|
{{본문서이름}}
|
위키문법/특수 명령문2 | 해당 문서의 본문서 이름을 출력합니다. 예) 토론:가 문서에서 사용하면, 가가 출력 |
{{토론문서이름}}
|
토론:위키문법/특수 명령문2 | 해당 문서의 토론 문서 이름을 출력합니다. |
{{최상위문서이름}}
|
위키문법/특수 명령문2 | 해당 문서의 최상위문서 이름을 출력합니다. 예) 도움말:가/나/다 문서에서 사용하면, 가가 출력 |
문서의 이름공간을 출력합니다.
입력 | 결과 | 설명 |
---|---|---|
{{이름공간}}
|
해당 문서의 이름공간을 출력합니다. | |
{{이름공간수}}
|
0 | 해당 문서의 이름공간 ID값을 출력합니다. |
{{본문서이름공간}}
|
해당 문서의 본문서 이름공간을 출력합니다. 예) 틀토론:가/나/다 문서에서 사용하면, 틀이 출력 | |
{{토론이름공간}}
|
토론 | 해당 문서의 토론 문서 이름공간을 출력합니다. 예) 분류:가/나/다 문서에서 사용하면, 분류토론이 출력 |
{{이름공간E}}
:{{이름공간:우남 위키:현관}}
처럼 인자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름공간:우남 위키:현관}}
>>입력 | 결과 | 설명 |
---|---|---|
{{!}}
|
| | 틀에서 수직선(|)을 입력해야 할 때 사용합니다. 단, 이 때의 수직선은 표를 만들 때 사용하는 수직선입니다. 그냥 문자로 입력해야 할 때에는 | 를 사용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