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어: Utopia
理想鄕(이상향)

개요

유토피아라는 단어는 없다라는 뜻의 그리스어 u와 장소를 뜻하는 그리스어 topos가 결합된 말로 "어디에도 없는 장소"라는 뜻으로 지명처럼 쓰고 있다. 즉, 유토피아는 '현실에는 결코 존재하지 않는 이상적인 사회'를 일컫는 말이다. 토머스 모어의 저서 이외에도 이상향(理想鄕)이라는 뜻에서 자주 쓰인다. 영국의 사상가 토머스 모어가 1516년에 만들어낸 말로, 처음에 라틴어로 쓰인 그의 저작 유토피아에서 유래되었다.

반의어는 디스토피아다.

유토피아가 묘사된 작품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

토머스 모어의 저서 유토피아(도서)에서 묘사되는 상상의 섬의 이름이 바로 '유토피아'이다. 이 섬에는 10만 명의 사람들이 살고 있다. 주민들은 가족 단위로 편성되는데, 50가구가 모여서 하나의 집단을 이루고 '시포그란트'를 선출한다. 이 시포그란트들이 모여 '평의회'를 이루고 네 후보 가운데 하나를 '왕'으로 선출한다. 일단 임금으로 선출되면 평생 자리를 지킬 수 있지만, 만일 전제 군주가 되면 퇴위를 당할 수도 있다. 전쟁에 대비하여 이 섬나라는 '자폴렛'이라는 용병을 두고 있다. 그 병사들은 전투 중에 적들과 함께 죽게 되어있기 때문에 군사 독재는 생겨나지 않는다.

유토피아 섬에는 화폐가 없다. 주민들은 각자 시장에 가서 자기가 필요로 하는 만큼 물건을 가져다 쓰면 된다. 집들은 모두 똑같고 문에는 자물쇠가 없다. 주민들은 누구나 타성에 젖지 않도록 10년마다 이사를 하도록 되어 있다.

누구나 일을 하기 때문에 하루 노동 시간을 여섯 시간으로 줄일 수 있다. 무료 시장에 농산물을 공급하기 위해 누구에게나 2년 농사를 지을 의무가 있다. 간통을 하거나 섬에서 탈출하려고 기도한 자는 자유인의 권리를 잃고 '노예'가 된다. 그렇게 되면 그는 일을 훨씬 더 많이 해야 하고 같은 시민이었던 옛 동료들에게 복종하여야 한다.

유토피아에서는 하루에 총 6시간 일을 한다. 먼저 3시간 일을 하고 식당에서 점심밥을 먹은 다음, 다시 3시간 일을 한다. 일을 한 다음에는 문화센터에 가서 자신에게 맞는 맞춤 강좌를 듣는다.

프랑수아 라블레의 가르강튀아

1534년 프랑스아 라블레는 가르강튀아에 묘사된 텔렘 수도원을 통해 자기가 생각하는 유토피아를 제시했다. 프랑수아 라블레의 유토피아는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와 달리 통치 기구가 없다. 라블레는 '자기 자신도 다스릴 줄 모르는 자는 남을 다스릴 자격도 없다'고 생각했다. 통치자가 없으므로 수도원의 공동생활자들은 자기가 바라는 바에 따라서 행동한다. 거주자들은 각자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하루를 보낸다. 마찬가지로 화폐가 없고, 심지어 시계도 없으므로 시간의 흐름은 없다. 일어나고 싶을 때 일어나고 먹고 싶을 때 먹는다. 힘든 일은 수도원 밖에 사는 종복들과 장인(匠人)들이 맡는다.

텔렘 수도원은 거주자들을 선별해서 받아들인다. 혈통 좋고 정신이 자유롭고 교양 있고 고결하고 아름다운 선남선녀들만이 그곳에 들어갈 수 있다. 여자들은 열살, 남자들은 열두 살 때 들어간다.

가르강튀아에서, 이 수도원은 루아르 강변의 포르 위오 숲에 건설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방은 9천 3백 32개이며 성벽은 없다. 각 건물은 7층 높이로 지어지고, 모든 하수도는 강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서관이 여러 곳에 있고, 중앙에는 연못이 있으며, 미로 모양의 포도(鋪道)를 갖춘 공원도 있다.

라블레는 자기의 이상적인 수도원이 언젠가는 하찮은 것을 얻기 위한 터무니없는 주장과 선동과 불화 때문에 붕괴되고 말 것임을 내다보고 있었다. 그럼에도 그것의 건설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그는 확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