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李燦, 1910년 1월 15일 ~ 1974년 1월 14일)은 일제 시기와 해방 후 북한에서 활동한 시인이다. 몇 편의 희곡도 썼다. 개명전의 이름은 이무종(李務鍾)이고, 일제시기 아오바 가오리(靑葉薰)라는 창씨명도 썼다. 1946년 북한에서 국가처럼 가장 중요하게 불리는 <김일성 장군의 노래>를 작사했다. 그는 해방 전에는 일제에 협력하는 친일 작가로, 해방 후에는 김일성을 찬양하는 어용 문인으로 굴절된 삶을 살았다.

이찬(李燦, 1910 ~ 1974)이 1944-01-19 매일신보에 실은 친일시 〈송출진학도(送∙出陣學徒)〉

생애

친일 시문

이찬이 지은 친일 시문으로 아래와 같은 것들이 알려져 있다.[1]

이찬(李燦, 1910 ~ 1974)의 「전사(餞詞) - 징용(徵用)된 벗에게」
「전사(餞詞) - 징용(徵用)된 벗에게」 요지(要旨)

우리가 현재 활동하고 봉공한다는 사실은 정히 떳떳한 일임에 틀림업네. 문자 그대로 전고(前古) 미증유(未曾有)의 인류 새 세기, 방가(邦家)의 새 역사가 실로 신비적인 속도로 창조되면서 있는 위대한...... 우리가 이를 체험하고 우리 또한 나아가 적던 크던 그 일역(一役)을 맡아 할 수 있다는 것은...... 국민되었던 보람이 이에 더할 자가 있지 않을 것이 아닌가.

더욱 君은 징용일세. 제일선 용사에게 못지 않은 중책과 영예를 지고 국토방위, 전력증강의 핵심에 서는 것일세. 말할 것도 없이 君의 열성, 君의 노력은 직접 격멸 귀축(鬼畜) 미영(米英)[2]의 항공기로 탄환으로 함선으로 결정될 것일세(하략).

친일 희곡

이찬(李燦)이 일제시기에 쓴 희곡으로 아래 4편이 알려져 있다.[3]

  • <세월>(『조광』, 1943.5~6)
  • <보내는 사람들>(『신시대』, 1944.8)
  • <이기는 마을>(『춘추』, 1944.10)
  • <사랑의 전선을 넘어서[愛線を越 へて]> 『조광』 5․6월 합병호 (1945년 6월 발간) : 창씨명 아오바 가오리[靑葉薰]로 발표

해방 후

1946년 이찬(李燦) 작사, 김원균(金元均) 작곡의 《김일성 장군(金日成將軍)의 노래》[4]. 북한에서 가장 중요하게 불리는 노래이다. 애국가는 모르는 사람도 많지만, 이 노래를 모르는 사람은 없다.
p.75 : 이찬(李燦), 《藝術領域의 審査問題와 그뒤에오는 것》
p.114 : 이찬(李燦), 《승리의 기록(勝利의 記錄)》
李燦篇 = p.13 / 대지의 찬가 = p.15 / 승리의 기록 = p.19 / 비력(悲歷)의 종언 = p.21
p.16 : 이찬(李燦) 작사, 《김일성 장군(金日成將軍)의 노래》
pp.20~21 : 이찬(李燦), 《찬 김일성 장군(讚金日成將軍)》
《환영·김일성 장군(歡迎·金日成將軍)》 : [pp.105~107]

장군이 오시는 것은 아아무도 몰렀으나
장군이 오신 것은 누구나 알었다.
장군은 가릴 수 없는 우리의 빛!
장군은 감출 수 없은 우리들의 태양!
....
누구나 장군은 젊다한다
그렇다 장군은 젊다 (우리의 장군이 늙어서야 되랴!)
만고풍상 혈전혈투의 과거가 그렇고
오매에도 못잊든 개선조국의 오늘을 더욱 -
.....
장군은 바쁘다 바뻐야 한다
(긔억하자!) 장군은 우리만의 장군이 아니요
장군은 남조선도 빛일 남조선도 빛어야할
아아 삼천리 완강토의 위대한 태양!

1946. 4. 20 어 함흥 於 咸興

참고 자료

각주

  1. 親日派群像 > 豫想登場人物 親日派 群像(上) > 二. 自進協力者와 威脅에 依한 被動協力者⑤ > 3. 言論界, 文人界, 演藝界 關係 人物② > 李燦(시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 귀축(鬼畜) 미영(米英) : 미국과 영국을 귀축(鬼畜)이라 칭한 것임.
  3. 윤진현, 일제 말 조선인을 위한 차선의 모색과 그 한계 - 해방 전 이찬의 시와 희곡 민족문학사연구 2016, vol., no.60, pp. 359-404 (46 pages)
  4. 『우리의 太陽 : 김일성장군 찬양특집(金日成 將軍 讚揚特輯)』, ([平壤] : 北朝鮮藝術總聯盟, 1946. 8.15) : 국립중앙도서관  : p.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