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현재 1차 번역을 마쳤으나, 편집상 몇 가지 수정 사항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작업 완료가 된 뒤(즉 이 메시지가 삭제된 뒤)에 수정해 주세요.



원문 파일

2021년 한반도 평화법 발의안

117th CONGRESS 제117회 미 의회

1st Session 회기 1차



=H. R. 3446=

미국 하원 3446호 법률 제출안


To review current restrictions on travel to North Korea, call for a formal end to the Korean War, and for other purposes.

현행 북한 여행 제한 조치 재검토 및 한국 전쟁 공식 종결 촉구와 기타 목적에 대한 법률

IN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May 20, 2021

2021년 5월 20일, 미합중국 연방 하원에
Mr. Sherman (for himself, Mr. Khanna, Mr. Kim of New Jersey, and Ms. Meng) introduced the following bill; which was referred to the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하원의원 브래드 셔먼 (및 뉴저지주 로 칸나, 앤디 김, 뉴욕주 그레이스 멩)은 아래 법안을 제출했으며, 이는 하원 외교위원회에 회부되었음.

A BILL 법안의 목적

To review current restrictions on travel to North Korea, call for a formal end to the Korean War, and for other purposes.
현행 북한 여행 제한 조치 재검토 및 한국 전쟁 공식 종결 촉구와 기타 목적에 대하여

Be it enacted by the Senate and House of Representativ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Congress assembled,
미국 상원과 하원 회기 중 이 법안이 제정되기를 요청하는 바이다.


SECTION 1. Short title. 1절. 법률의 약칭

This Act may be cited as th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ct"
이 법안의 약칭은 “한반도 평화법”으로 한다.


SEC. 2. Findings. 2절. 입법 근거

Congress makes the following findings: 이 법안은 다음과 같은 근거에 따른다

(1) On July 27, 1953, the commander in chief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signed an armistice agreement with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and the commander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aiming to “insure a complete cessation of hostilities and of all acts of armed force in Korea until a final peaceful settlement is achieved”.
1953년 7월 27일, 국제연합사령부 사령관은 북한 인민군 최고 사령관 및 중국 인민지원군과 휴전 협정을 맺었으며, 이는 “한국에서 궁극적인 평화 합의가 달성될 때까지 모든 적대적, 무력 행위를 완전히 중단할 것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었다.

(2) The armistice agreement neither formally ended the war nor represented a final peaceful settlement.
휴전 협정은 전쟁을 공식적으로 끝내는 것도 아니며, 동시에 궁극적인 평화 합의를 가리키는 것도 아니었다.

(3) On April 27, 2018, in Panmunjom, the leader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declared that “a new era of peace has begu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committed “to declare the end of war” on the Korean peninsula 65 years after the signing of the armistice agreement.
2018년 4월 27일, 판문점에서 남한과 북한의 지도자가 “새로운 평화의 시대가 한반도에서 시작되었다”고 선언하였고, 이어 휴전 협정에 조인한 지 65년만에 “종전 선언”을 할 것을 약속하였다.

(4) In its roll out of its policy towards North Korea, the Biden Administration expressed support for the Singapore framework, which identifies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s an objective of any future negotiat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대북 정책에 있어, 바이든 행정부는 한반도 평화를 향후 미북 협상의 목표로 삼는 싱가포르 조치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였다.

(5) The United States should pursue a sustained and credible diplomatic process to achieve an end to the Korean war, and every effort should be made to avoid military confrontation with North Korea.
미국은 한국 전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지속적이고도 신뢰할 만한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이 모든 노력은 북한과의 군사적 대치를 피하는 쪽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6) The persistence of a state of war does not serve the national interest of the United States and its allies.
전쟁 상태의 지속은 미국과 그 동맹국들의 이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7) One major consequence of the continuation of the Korean war is that the United States does not have formal relations with North Korea, which has prevented Korean Americans with relatives in North Korea from seeing their families. 한국 전쟁의 지속이 초래하는 주요한 결과는, 미국은 북한과 공식적인 관계를 맺을 수 없으며 이로 인해 북한에 친척을 둔 한국계 미국인들이 가족 상봉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8) Approximately 100,000 Americans have relatives living in North Korea.
북한에 친척을 둔 미국인은 약 10만 명 가량이다.

(9) At the Hanoi Summit in February 2019,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discussed formally ending the Korean war and the exchange of diplomatic liaison offices, however these discussions did not advance due to a stalemate on nuclear and missile issues.
2019년 2월 하노이 정상 회담에서 미국과 북한은 한국 전쟁의 공식적인 종결과 외교 연락 사무소 설치를 논의하였으나, 이는 핵과 미사일 문제의 교착 상태로 인해 더 이상 진전되지 못했다.

(10) The ongoing nuclear- and ballistic-missile-related activities of North Korea continue to pose a threat to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북한의 핵과 탄두 미사일 관련 행위가 계속되면, 이는 국제 평화와 안보에 대한 끊임없는 위협이 될 것이다.


SEC. 3. Humanitarian considerations regarding visiting North Korea. 3절. 북한 방문에 관한 인도적 고려

(a) Sense Of Congress.—It is the sense of Congress that the current restrictions barring United States nationals traveling to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warrant review by the Secretary of State.
의원 결의: 현재 취해진 미국민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DPRK) 여행 제한 조치에 대해, 국무장관은 이를 재검토해야 한다.

(b) Review.—The Secretary of State shall conduct a full review of the restrictions in place conditioning the travel of United States nationals to the DPRK. Such review shall include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검토안: 국무장관은 미국민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행을 규제하는 제한 조치를 전면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고려 사항을 포함한다.

(1)	The Department of State’s guidance as to the nature of travel to the DPRK that qualifies as “in the national interest” of the United States, including whether the scope of travel qualifying as such should be adjusted. 
국무장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의 여행이 그 성격상 미국의 “국익을 위해서” 이루어져야 하며, 여기에는 이와 같은 여행 자격 범위의 조정 여부가 포함되어 있다는 지침을 내린다.


(2)	The “compelling humanitarian considerations” that qualify a United States national for travel to the DPRK, including whether the scope of travel permissible under such considerations should be adjusted. 
미국민에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행 자격을 부여하는 “강렬한 인도주의적 고려”가 있어야 하며, 여기에는 이 고려 사항이 여행 허가 범위 문제에 있어서 조정 가능하다는 점이 포함된다.


(3)	Whether, and if so, to what extent and under what conditions, travel to the DPRK for the purposes of attending to or witnessing funerals, burials, or other religious and family commemorations of relatives of United States nationals in the DPRK does or should qualify as “compelling humanitarian considerations” meriting issuance of Special Validation Passports to such nationals. 
이에 따라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거주하는 친척을 둔 미국민들이 그 친척들의 임종이나 장례, 또는 기타 종교 및 가족 기념일에 참석하려는 목적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여행하고자 할 때, “강력한 인도주의적 고려”에 따라 특별 여권의 발급의 자격을 부여해주어야 한다.


(c) Report.— 보고서 제출

(1) IN GENERAL.—Not later than 180 days after the date of the enactment of this Act, the Secretary of State shall submit to the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and the Committee on Foreign Relations of the Senate a report detailing the review conducted under subsection (b). Such report shall include a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the Department of State’s consideration of all matters described in paragraphs (1), (2), and (3) of such subsection, including, as applicable, any related policy changes and the rationale behind the Department’s decision to make or refrain from making policy changes relating to such matters. 
국무장관은 이 법안이 제정된 날로부터 통상 180일 이내에 하원과 상원의 외교위원회에, 위의 (b)조(條)에서 명시한 바에 따라 검토한 상세 보고서를 제출한다. 이 보고서는 위 (1), (2), (3)항에서 기술한 모든 문제를 세밀하게 다루어야 하며, 여기에는 관련 정책이 변화하거나 국무부의 정책 실행 및 중지 결정의 근거가 변화할 때에 적용되는 사항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2) FORM.—The report required under paragraph (1) shall be submitted in unclassified form but may contain a classified annex. 
보고서의 형식: 위 (1)항에서 요구한 보고서는 기밀 문서 첨부가 가능한 형태의 비(非)기밀 문서로 제출하도록 한다.



SEC. 4. Calling for a formal end to the Korean War. 4절. 한국 전쟁 종전 공식화 요청

(a) Sense Of Congress.—It is the sense of Congress that given the commitment of the leader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Panmunjom on April 27, 2018, to actively promote meetings involving the United States “with a view to replacing the Armistice Agreement with a peace agreement and establishing a permanent and solid peace regime”, the Secretary of State should pursue serious, urgent diplomatic engagement with North Korea and South Korea in pursuit of a binding peace agreement constituting a formal and final end to the state of war between North Korea,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의원 결의: 2018년 4월 판문점에서 남북한의 지도자들 간의 합의에 따라 “휴전 협정을 평화 협정으로 대체하고 항구적이며 굳건한 평화 체제 구축에 대한 관점”에서 미국을 포함한 회담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국무장관은 북한과 남한 및 미국 사이의 전쟁 상태를 공식적, 궁극적으로 종식시킬 평화 협정을 성사시키기 위해 노력하며 북한과 남한에 진지하고도 긴급히 외교적으로 개입해야만 한다.

(b) Report.— 보고서 제출

(1) IN GENERAL.—Not later than 180 days after the date of the enactment of this Act, the Secretary of State shall submit to the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and the Committee on Foreign Relations of the Senate a report that describes a clear roadmap for achieving a permanent peace agre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국무장관은 이 법안이 제정된 날로부터 통상 180일 이내에 하원과 상원의 외교위원회에, 한반도에 영구적인 평화 협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분명한 로드맵을 작성, 제출한다.


(2) CONTENTS.—The report required under paragraph (1) shall—
보고서의 내용: 이 보고서는 위 (1)항에 따라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A) contain an accounting of the steps necessary to enter into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o conclude a binding peace agreement;
북한 및 남한과의 협상에 있어서 구속력 있는 평화 협정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필요한 단계들에 대한 설명
(B) identify the key stakeholders involved in such negotiations; and
이 협상에 있어서 중요한 이해 당사자의 규정,
(C) describe the challenges concerning the ability of the United States to achieve a binding peace agreement constituting a formal and final end to the state of war between North Korea,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북한과 남한 및 미국 간의 전쟁 상태의 궁극적 종결을 공식화시키는 내용으로 구성된 구속력 있는 평화 협정을 달성할 수 있는 미국의 역량을 저해하는 요인에 대한 설명
(4) FORM.—The report required under paragraph (1) shall be submitted in unclassified form but may contain a classified annex.
보고서의 형식: 위 (1)항에서 요구한 보고서는 기밀 문서 첨부가 가능한 형태의 비(非)기밀 문서로 제출하도록 한다.



SEC. 5. Establishing liaison offices. 5절. 연락 사무소 설치

It is the sense of Congress that given the joint statement signed by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in Singapore on June 12, 2018, which included an agreement to “establish new U.S.-DPRK rel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desire of the peoples of the two countries for peace and prosperity”, the Secretary of State should seek to enter into negotiations with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North Korea (DPRK) to establish liaison offices of the DPRK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respective capitals of each such country.
2018년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서명한 미국과 북한 간의 공동 성명은 “미국과 북한은 평화와 번영을 향한 두 나라의 국민들의 염원에 부합하며 새로운 북미 관계를 수립할 것”에 합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무장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미국에 각각 연락사무소를 설치하는 데 대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협상에 돌입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