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즈에서의 D 드라이브


개요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의 OS에서 시스템 드라이브인 C 드라이브 다음으로 지정되는 저장소이다.

C 드라이브(C:)가 시스템운영체제가 설시되고 기타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설치되는 곳이다. D 드라이브(D:)는 주로 데이타 파일인 문서, 사진, 영상 등이나 설치 프로그램 파일등을 저장하는 곳으로 사용한다.

만일에 있을 바이러스의 공격으로 부터 데이타를 보호용할 목적으로 D 드라이브를 사용한다. 보통은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부팅을 못하게하기 위해서 C 드라이브의 부팅정보를 파괴하는데, C 드라이브가 부팅이 되지않더라도 D 드라이브는 살아 있어서 윈도우를 다시 설치하기만하면, 중요한 데이타고 있는 D 드라이브는 안전하다. 그래서 데이터 백업용 드라이브로도 많이 사용하는 곳이다.

상세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는 CD-ROM 드라이브로 주로 사용되었다. 이후 하드 디스크가 대용량화되면서 파티션을 두 개 이상으로 나누어 놓는 것이 대세가 되었고, 이에 따라 CD-ROM 드라이브는 E 드라이브 등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2010년대 중반 이후로는 CD-ROM 드라이브가 사장되고 SSD가 보편화되면서 C 드라이브는 SSD로, D 드라이브는 하드 디스크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C 드라이브가 운영체제 및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파티션이라면 D 드라이브는 문서, 영상, 사진 등, 여러 자료들을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파티션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귀찮다는 이유로 C 드라이브 용량을 먹는 다운로드 폴더에 자료를 저장하는 경우가 많다.

200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는 하나의 저장 장치를 C 드라이브와 D 드라이브로 분할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2010년대 중반 이후로는 SSD와 하드 디스크를 각각 C 드라이브와 D 드라이브로 파티션을 설정하여 사용한다. 주로 낮은 저장 용량(2 TB 이하)을 가진 SSD를 C 드라이브, 높은 저장 용량(3 TB 이상)을 지닌 HDD를 D 드라이브로 사용한다. 2020년대 이후로는 SSD를 여러 개 장착하거나 아예 SSD만으로 구성하는 경우도 흔하다.

자료를 D 드라이브로 저장한다면 백업이 쉬워진다. C 드라이브만 있다면 윈도우를 다시 설치하기 전에 자료들을 USB 드라이브나 외장 하드 디스크 등으로 백업해야 해서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귀찮아지지만 D 드라이브에 자료를 저장해놓는다면 이러한 백업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어진다. 다만 실수로 D 드라이브를 포맷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1] 만약 윈도우 설치 화면에서 실수로 파티션을 날려버렸다면, 절대로 D 드라이브가 있었던 하드 디스크를 건드리면 안 된다. 일단 D 드라이브의 파티션이 없는 상태에서 윈도우를 설치한 뒤, TestDisk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파티션을 복구할 수 있다. 만약 포맷을 해버렸다면 복구 가능성이 낮아지지만, 포맷을 할 때 빠른 포맷으로 진행했고 그 뒤에 다른 파일을 저장하지 않았다면 그나마 복구 가능성이 있다. 빠른 포맷이 아닌 일반 포맷으로 했거나[2] 다른 파일을 저장했다면 복구 가능성이 0%다. 그리고 SSD의 경우 TRIM 기능이 작동한 이후에는 복구가 불가능해지니 즉시 윈도우 PE등으로 부팅해서 복구를 해야 한다.

상당히 용량을 많이 잡아먹는 소프트웨어라면 저장 용량이 적은 C 드라이브 대신 D 드라이브로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게임, 신작 게임마다 수십 GB씩이나 잡아먹기 때문에[3] D 드라이브에 설치하기도 한다.



여담

C 드라이브는 운영체제가 들어가는 드라이브이므로 무조건 필요하지만, D 드라이브는 없어도 아무 문제가 없다[4]. 저장할 공간이 작은 C 드라이브 대신의 보조장치 역할만 하기 때문이다. D 드라이브는 주로 자료를 많이 담는 드라이브라 그런지 랜섬웨어들이 주로 노리는 드라이브이다. 컴퓨터 운영체제를 파괴하는 게 목적인 바이러스들과 해커들은 C 드라이브를 공격한다.


C 드라이브에 윈도우 설치가 된 것은 경로의존성에 의해서 그리 된 것이다. 원래 컴퓨터는 저장매체를 하드디스크가 아닌 테이프나 플로피 디스크를 썼다. A, B에는 원래 플로피 디스크를 할당했다. 초창기에는 하드디스크는 매우 고가에 장비였고, 채용된 컴퓨터도 당연히 별로 없었다. A, B에 플로피 디스크를 할당하고, C 드라이브에 하드디스크를 할당한게 굳어져서 플로피디스크 자체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현재에도 C드라이브가 마이크로소프트 도스나 윈도우에 한해서 윈도우가 설치된 드라이브가 된 것.

문자 할당을 않하는 리눅스나 맥에서는 물론 해당되지 않는다. 옛날에는 도스 대신 자체 독자규격의 컴퓨터를 밀었던 일본의 PC98등에서도 C 대신 설치 드라이브는 A 문자를 썼다.


각주

  1. 윈도우 설치 화면에서는 D 드라이브가 첫 번째 파티션으로 오고 C 드라이브가 두 번째 파티션으로 오는 경우가 있으며, 물리적인 드라이브가 3개 이상이면 순서가 뒤섞이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혼동하기 쉬워 데이타를 날리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위도우 사용시 평소에 데이타 드라이브 이름을 설정해 두는 것이 좋다.(예: C: 부트 디스크, D: 데이타 디스크) 더 안전한 방법은 별도의 HDD인 경우 윈두우 설치한 후 데이타가 있는 하드디스크를 연결하는 것이다.
  2. 윈도우 설치 화면에서 포맷을 하면 빠른 포맷으로 된다.
  3. 예를 들자면 오버워치나 배틀필드, 콜 오브 듀티 같은 FPS 게임들.
  4. 용량 관련 문제만이 존재할 수도 있지만 선택 사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