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훈음: 쇠 금, 성 김
{{한자 정보


|훈음=쇠 금, 성 김
|부수= [[金]]
|나머지 획수= 0획
|총 획수=8획
|교육용=중학교
|어문회 급수=8급
|신자체=-
|일본어 음독=キン, コン
|일본어 훈독=かね, (かな), こがね
|간체자=-
|표준 중국어=jīn
}}
==개요==
==개요==
금이나 쇠를 의미하는 한자이다. 또는 성씨인 [[김해 김씨|김씨]]를 의미하는 한자어로도 쓰인다.   
'''金'''(쇠 금, 성 김)은 부수가 [[金]]로 자체 부수이며,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금이나 쇠를 의미하는 한자이다.  
 
교육용 한자는 중학교용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3급에 해당한다.
 
 
==성 김==
성씨인 [[김해 김씨|김씨]]를 의미하는 한자어로도 쓰인다.   


(대만 등에서는 한국인 중에 金씨가 많은 게 돈을 좋아하는 민족성 때문이라며 비웃기도 한다.)  
(대만 등에서는 한국인 중에 金씨가 많은 게 돈을 좋아하는 민족성 때문이라며 비웃기도 한다.)  


한국인 중 김씨가 많아서 일본어 성씨 중 원래 김씨였던 사람이 카네다(金田), 카네무라(金村), 카네모토(金本),  카네바야시(金林) 등등으로 통명이나 귀화한 성씨를 쓰기도 한다.
그래서 성씨에 카네가 들어가면 재일한국인 출신으로 의심하는 경우가 있다.
박(朴)씨도 하야시(林)로 쓰는 경우가 있어서 하야시 성도 일본에서 한국인으로 의심하는 성씨 중 하나이다.
(하야시 자체는 일본에서 꽤나 흔한 성씨다. 전체 성씨 중에는 18위 정도 되며, 외자 한자 성씨로는 1위다.
대만 등 중화권에서도 흔한 성씨이기도 하다 린. 박씨 외에도 당연하지만 임씨가 하야시가 된 경우도 있다. )
==쇠 금==
금요일을 의미하기도 한다.  
금요일을 의미하기도 한다.  


14번째 줄: 48번째 줄:
물론 킨이나 오우곤 등  황금이라는 말로도 쓴다.
물론 킨이나 오우곤 등  황금이라는 말로도 쓴다.


한국인 중 김씨가 많아서 일본어 성씨 중 원래 김씨였던 사람이 카네다(金田), 카네무라(金村), 카네모토(金本),  카네바야시(金林) 등등으로 통명이나 귀화한 성씨를 쓰기도 한다.
그래서 성씨에 카네가 들어가면 재일한국인 출신으로 의심하는 경우가 있다.
박(朴)씨도 하야시(林)로 쓰는 경우가 있어서 하야시 성도 일본에서 한국인으로 의심하는 성씨 중 하나이다.
(하야시 자체는 일본에서 꽤나 흔한 성씨다.)


여진족이 세운 나라 중에 金나라가 있었다. 누르하치는 명나라 말기에 후금
여진족이 세운 나라 중에 金나라가 있었다. 누르하치는 명나라 말기에 후금
27번째 줄: 54번째 줄:


kbs 사극인 서궁에서는 극중에서 당시 금나라를 후금이라고 하는데 고증 오류다.)을 건국했고, 청태종이 홍타이지는 금나라에서 국호를 청으로 바꿨다.
kbs 사극인 서궁에서는 극중에서 당시 금나라를 후금이라고 하는데 고증 오류다.)을 건국했고, 청태종이 홍타이지는 금나라에서 국호를 청으로 바꿨다.


==한국어==
==한국어==
*금속(金屬)
*금속(金屬)
*금어(金魚) 금붕어
*세금(税金)
==유의자==
*[[鐵]](쇠 철)
*[[鍂]](악기이름 편)
*[[鑫]](기쁠 흠)
*[[𨰻]](보/옥)
== 비슷한 한자==
*[[舍]](집 사)
*[[全]](온전할 전)


[[분류:한자/낱자]]
[[분류:한자/낱자]]
{{ㅂ |8획 |중학교용| 8급 한자|제부수 한자 |金||}}

2025년 4월 19일 (토) 20:41 기준 최신판


쇠 금, 성 김
 
나머지 획수
0획
8획
교육용
중학교
어문회 급수
8급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キン, コン
일본어 훈독
かね, (かな), こがね
간체자
-
표준 중국어
jīn

개요

(쇠 금, 성 김)은 부수가 로 자체 부수이며, 총 획수는 8획으로 이루어진 한자다. 금이나 쇠를 의미하는 한자이다.

교육용 한자는 중학교용 한자이고, 어문회 급수는 3급에 해당한다.


성 김

성씨인 김씨를 의미하는 한자어로도 쓰인다.

(대만 등에서는 한국인 중에 金씨가 많은 게 돈을 좋아하는 민족성 때문이라며 비웃기도 한다.)

한국인 중 김씨가 많아서 일본어 성씨 중 원래 김씨였던 사람이 카네다(金田), 카네무라(金村), 카네모토(金本), 카네바야시(金林) 등등으로 통명이나 귀화한 성씨를 쓰기도 한다.

그래서 성씨에 카네가 들어가면 재일한국인 출신으로 의심하는 경우가 있다.

박(朴)씨도 하야시(林)로 쓰는 경우가 있어서 하야시 성도 일본에서 한국인으로 의심하는 성씨 중 하나이다.

(하야시 자체는 일본에서 꽤나 흔한 성씨다. 전체 성씨 중에는 18위 정도 되며, 외자 한자 성씨로는 1위다.

대만 등 중화권에서도 흔한 성씨이기도 하다 린. 박씨 외에도 당연하지만 임씨가 하야시가 된 경우도 있다. )


쇠 금

금요일을 의미하기도 한다.

일본어에서는 카네 혹은 존경접두어 오를 붙혀 오카네라고 해서

금이라는 한자 그 자체를 '돈'이라는 의미로 널리 쓴다.

물론 킨이나 오우곤 등 황금이라는 말로도 쓴다.


여진족이 세운 나라 중에 金나라가 있었다. 누르하치는 명나라 말기에 후금

(여기도 국호는 금나라다. 후를 붙힌 건 후대의 역사학자가 구분하기 좋으라고 붙힌 것이다.

kbs 사극인 서궁에서는 극중에서 당시 금나라를 후금이라고 하는데 고증 오류다.)을 건국했고, 청태종이 홍타이지는 금나라에서 국호를 청으로 바꿨다.


한국어

  • 금속(金屬)
  • 금어(金魚) 금붕어
  • 세금(税金)


유의자


비슷한 한자

  • (집 사)
  • (온전할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