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짤}} | {{짤}} | ||
사람 인간의 고기를 말한다. 먹이사슬에 정점에 있는 등 중금속 축적이 심할 것으로 보인다. | |||
사냥을 하는 육식동물도 인간을 주로 노리는 경우는 대부분 다쳐서 정상적인 사냥을 못하는 개체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 |||
인류역사에서 가뭄 등 극한의 상황에서는 인육이 거래 되기도 했다. | |||
특정부족은 가족이 죽으면 인육으로 먹는 전통이 있었는데 뭐 거기에 대한 논리는 가족을 들짐승이나 구더기의 먹이로 주지 않고, 조상을 기억하기 위해서 라는 논리라고 한다. | |||
중화 세계관의 보양식으로 인식됨. | 중화 세계관의 보양식으로 인식됨. | ||
[출처 :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8/07/2011080700324.html] | [출처 :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8/07/2011080700324.html] |
2023년 11월 27일 (월) 16:33 기준 최신판
×
사람 인간의 고기를 말한다. 먹이사슬에 정점에 있는 등 중금속 축적이 심할 것으로 보인다.
사냥을 하는 육식동물도 인간을 주로 노리는 경우는 대부분 다쳐서 정상적인 사냥을 못하는 개체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인류역사에서 가뭄 등 극한의 상황에서는 인육이 거래 되기도 했다.
특정부족은 가족이 죽으면 인육으로 먹는 전통이 있었는데 뭐 거기에 대한 논리는 가족을 들짐승이나 구더기의 먹이로 주지 않고, 조상을 기억하기 위해서 라는 논리라고 한다.
중화 세계관의 보양식으로 인식됨.
[출처 :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8/07/201108070032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