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한국한자: 知訥 ==개요== '''지눌'''은 고려 중기~후기의 승려이다. 분류:승려)
 
잔글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개요==
==개요==
'''지눌'''은 고려 중기~후기의 승려이다.
'''지눌'''은 고려 중기~후기의 승려이다.
돈오점수를 주창했는데 깨달음은 단번에 이루어지만, 단번에 깨달았어도 수행은 점진적으로 계속 해 나가야 한다는 주장인데
성철은 돈오돈수를 주장했는데 단번에 깨닫고 깨달은 것이 더 수행할 거리가 없는 수준이어야 말로 깨달은 것이다 라는 주장인데 성철은 조계종의 시조라고 할 수있는 지눌과 돈오점수에 대해 강도 높게 비판했다. 


[[분류:승려]]
[[분류:승려]]

2022년 1월 19일 (수) 05:56 기준 최신판

한국한자: 知訥

개요

지눌은 고려 중기~후기의 승려이다.

돈오점수를 주창했는데 깨달음은 단번에 이루어지만, 단번에 깨달았어도 수행은 점진적으로 계속 해 나가야 한다는 주장인데

성철은 돈오돈수를 주장했는데 단번에 깨닫고 깨달은 것이 더 수행할 거리가 없는 수준이어야 말로 깨달은 것이다 라는 주장인데 성철은 조계종의 시조라고 할 수있는 지눌과 돈오점수에 대해 강도 높게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