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就집 == 개요 == '''취'''업 + 시'''집'''의 합성어이다. 남자의 재력을 보고 결혼하는 일을 말한다.<ref>돈이 전부는 아니지만 고대부터 결혼은...)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취'''업 + 시'''집'''의 합성어이다. 남자의 재력을 보고 결혼하는 일을 말한다.<ref>돈이 전부는 아니지만 고대부터 결혼은 여성의 신분상승 역할이 있었다. 이것이 경제난으로 불가능해지자 남자를 국가로 치환한게 페미니즘이다.</ref>
'''취'''업 + 시'''집'''의 합성어이다. 남자의 재력을 보고 결혼하는 일을 말한다.<ref>돈이 전부는 아니지만 고대부터 결혼은 여성의 신분상승 역할이 있었다. 이것이 경제난으로 불가능해지자 남자를 국가로 치환한게 페미니즘이다.</ref>
== 각주 ==
[[분류:용어해설]]

2019년 7월 23일 (화) 15:44 기준 최신판

就집

개요

업 + 시의 합성어이다. 남자의 재력을 보고 결혼하는 일을 말한다.[1]

각주

  1. 돈이 전부는 아니지만 고대부터 결혼은 여성의 신분상승 역할이 있었다. 이것이 경제난으로 불가능해지자 남자를 국가로 치환한게 페미니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