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火災)란 인간이 의도하지 않은, 또는 고의로 물체의 연소에 의해서 불을 낸 것을 의미한다.

화재의 종류

화재의 분류 명칭 소화기 색상 주요 가연물 소화방법 비고
A급 화재 일반 화재 백색 목재, 종이, 합성섬유등의 일반 가연물 물로 소화 가능 연소 후 재가 남는다. 발생빈도 및 피해액이 가장크다.
B급 화재 유류 화재 황색 가연성 및 인화성 액체를 포함한 유류 공기차단, 벨브류를 잠금, 토사나 소화기로만 효과있음. 연소성이 좋기 때문에 매우 위험, 연소후 재가 남지 않는다.
C급 화재 전기 화재 청색 각종 전기, 전자 기기, 접촉불량, 과부하 질식소화, 특수소화기 사용 물을 사용할 경우 감전의 위험
D급 화재 금속 화재 회색/은색 철분, 마그네슙, 칼륨, 나트륨, 지르코늄등 금속물질에 의한 화재 마른모래, 피복효과, 알킬알루미늄은 팽창질식, 특수소화기 이용 물을 사용할 경우 폭발의 위험
K급 화재 주방 화재 식용유, 동물성 지방 질식 소화 화염차단 후에도 주방기기 자체온도가 낮아지지 않아 재발화 가능성 높음


화재시 행동요령

  • 유류화재 시는 주위의 유류를 제거한 후 소화한다.
  • 가스화재 시는 가스 공급원을 차단한 후 소화한다.
  • 전기화재 시는 전기찬단기를 내린 후 소화한다.
  • 주방화재시는 주방화재용 소화기를 사용해 소화한다.
  • 초기 소화 실패 시 지체없이 대피한다.


화재시 대피 요령

  • 화재 발견시 "불이야!!!" 외친다.
  • 화재 경보 비상벨을 누르거나 119에 신고한다.
  • 아래층 대피가 불가할 경우는 옥상으로 대피한다.
  • 불길 속을 통과할 때는 물에 적신 담요나 수건으로 몸과 얼굴을 보호
  • 낮은 자세로 짤게 숨쉬며 이동.
  • 방문을 열기전 문손잡이를 만져 뜨겁지 않으면 조심스럽게 열고 나가기
  • 실내에 갇혀 있을 때는 연기가 방안에 들어오지 못하게 물에 적신 옷이나 이불로 틈을 막고 구조를 기다림
  • 안전한 곳으로 대피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현위치에서 구조 요청


소화할 수 있는 경우

  • 불이 작아 위험이 덜한 경우
  • 위급 시 바로 탈출이 가능할 경우
  • 출입문 쪽에서 소화기를 작동할 수 있을 경우
  • 소화에 실패하더라도 충분히 대피할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 소화할 자신이 없을 때에는 소화르 시도하지 말고 신고 후 신속히 대피해야 한다.


소화기 사용법

소화기사용법

1. 소화기를 가져와서 몸통을 단단히 잡고 안전핀을 뽑는다.

2. 노즐을 잡고 불쪽을 향해 가까이 이동한다.

3. 손잡이를 꽉 움켜쥔다.

4. 분말이 골고루 불을 덮을 수 있도록 쏜다.


화재 현장에서 생존 확률 높이는 방법


함께보기

소화기

화재 관련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