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 계산 논쟁이란 1920~30년대에 루드비히 폰 미제스,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오스카르 랑게, 존 테일러 등이 사회주의사회에서도 경제계산, 즉 합리적인 자원배분이 가능한가를 둘러싸고 전개한 논쟁이다. 계산 논쟁은 존 로머에 말에 따르면 5단계로 발전된 논쟁과정이라고 한다.

논쟁의 발단

1단계

사회주의 계산 논쟁이 시작하기 전 전시공산주의를 두고 세 가지 주장이 있었다.

  • 사회주의자들은 가격이 사회주의 하에서 경제적인 계산을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오토 노이라트(Otto Neurath)는 경쟁적 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이라는 공통척도의 도움 없이도 실물 형태의 계산만으로 정확하게 계획경제가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 노동량과 에너지량을 가지고 공통의 가치척도로 사용할수 있다는 주장이 이었었다.


논쟁을 촉발한 미제스는 자유시장경제체제 아래에서는 시장가격이 수요공급을 조정하는 지표로서 자원을 합리적으로 배분하지만, 사회주의 사회에서는 생산재에 관한 경쟁시장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시장가격이 성립하지 않으며, 따라서 합리적인 자원배분을 위한 계산 수단이나 선택의 지표도 없다고 주장하였다. 미제스는 자원에 대한 시장 가격에 의해 제공되는 안내가 없으므로 사회주의 아래에서 중앙 계획가들이 경쟁적인 사업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고려하도록 사회주의 생산사업들을 계획할 수 없을 것이라고도 지적했다.

이에 대해 오스카르 랑게는 중앙 계획가들이 자원들에 대해 '가격들(Prices)'를 임의로 고지할 수 있고 사회주의 생산 관리자들에게 그들이 해당 생산계획들을 세울 때 이 자원 가격들을 사용하라고 지시할 수 있다고 하면서 미제스의 문제 제기에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