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번째 줄: 32번째 줄:
==북한 주장 [[단군릉|단군릉(檀君陵)]]==
==북한 주장 [[단군릉|단군릉(檀君陵)]]==


* [[단군릉|단군릉(檀君陵)]]
북한은 평양 중심부에서 동쪽으로 40 km 가량 떨어진 강동군 문흥리 대박산(大朴山)에 단군의 묘인 [[단군릉|단군릉(檀君陵)]]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 단군릉은 조선왕조 실록 등에도 나오며, 이 능이 위치한 대박산은 고종실록(1900년)에는 태백산(太白山)으로 나온다.<ref>[http://sillok.history.go.kr/id/kza_13701029_005 고종실록 40권, 고종 37년 1월 29일 양력 5번째기사 1900년 대한 광무(光武) 4년 : 의관 백호섭이 상소를 올려 사직을 청하다]</ref> 그렇게 전해오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단군의 릉일 가능성은 희박하며, 고구려 시대 고분일 가능성이 더 크다.
 
:평양 중심부에서 동쪽으로 40 km 가량 떨어진 강동군 문흥리 대박산(大朴山)에 있는 북한이 주장하는 단군의 묘이다. 단군릉이 있는 대박산은 고종실록(1900년)에는 태백산(太白山)으로 나온다.<ref>[http://sillok.history.go.kr/id/kza_13701029_005 고종실록 40권, 고종 37년 1월 29일 양력 5번째기사 1900년 대한 광무(光武) 4년 : 의관 백호섭이 상소를 올려 사직을 청하다]</ref>


==참고 자료==
==참고 자료==

2019년 10월 7일 (월) 13:06 판

단군신화(檀君神話)를 기록한 가장 오랜 문헌은 일연(一然, 1206~1289)삼국유사(三國遺事)이승휴(李承休, 1224~1300)제왕운기(帝王韻紀)이다. 여기에 나오는 신화의 무대는 (太伯山)이다.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서 이들 단군 기록의 원문과 번역문을 볼 수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의 단군 기록

삼국유사에는 단군신화의 무대 태백산(太伯山)이 묘향산(妙香山)이라 하고, 단군이 평양성(平壤城)에 도읍했다 했으므로 일부에서 주장하는 백두산(白頭山)과 어떤 관련도 찾아보기 어렵다.[1]


삼국유사의 단군신화 기록 번역문

제왕운기(帝王韻紀)의 단군 기록

제왕운기(帝王韻紀)에는 태백산(太白山)이 어딘지는 밝히지 않았다.


제왕운기의 단군신화 기록 번역문


여러 주장들

근래의 학자들은 태백산이 백두산이라고 하는 사람도 많으나, 근거는 명확하지 않다.[1] 근대까지도 그랬지만 더더구나 추정되는 단군의 시대에는 백두산 일대는 사람의 접근이 지극히 어려운 무인지경에 속했으므로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지기 어려운 곳이었다. 또 국내에는 단군의 전설이 전하는 지역도 많기 때문에 꼭 백두산이 단군신화의 무대라고 특정지을만한 근거를 찾기도 어렵다.

뿐만아니라 백두산은 고려의 영토 밖에 있었으므로 고려시대 사람들은 그 존재도 알지 못했고, 일연이나 이승휴도 백두산에 대해 알지 못했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따라서 일연이나 이승휴가 고려의 영토내에 있지도 않는 산을 우리 민족의 기원이 된 산으로 파악했을 가능성도 없고, 그렇게 기록하지도 않았다.

단군신화의 무대가 백두산이라는 주장의 출현 시기

동아일보사는 1921년에 민태원(閔泰瑗, 1894~1935) 등을, 1926년에 최남선(崔南善, 1890 ~ 1957) 등을 백두산 등정팀으로 파견하는데, 동아일보에 연재된 민태원이나[2] 최남선이[3] 당시 쓴 기행문에 단군신화의 무대가 백두산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특히 최남선의 기행문은 상당히 많이 알려졌는데 이로부터 백두산이 단군신화의 무대로 알려지게 된 것 같다.[4][5][6]


북한 주장 단군릉(檀君陵)

북한은 평양 중심부에서 동쪽으로 40 km 가량 떨어진 강동군 문흥리 대박산(大朴山)에 단군의 묘인 단군릉(檀君陵)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 단군릉은 조선왕조 실록 등에도 나오며, 이 능이 위치한 대박산은 고종실록(1900년)에는 태백산(太白山)으로 나온다.[7] 그렇게 전해오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단군의 릉일 가능성은 희박하며, 고구려 시대 고분일 가능성이 더 크다.

참고 자료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