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건국의 아버지들 패러디.jpg

[1]

딥스테이트(Deep state)는 직업관료군 내지는 기득권세력을 뜻하는 말로 선출되지않는 직업공무원 중 상위직으로 선출된 대통령에 의해 임명되는 장 차관이 아니라 정권이 바뀌어도 바뀌지않는 정부의 고위관료들의 속성을 뜻하는 말로 정권의 성격에 휘둘리지않고 정부를 지배하는 관료 내지 관료세력을 말한다.긍정적인 측면으로는 나라의 국가정체성을 유지하는 성격을 띠지만 부정적인 의미로는 선출된 위정자들의 정치철학을 공유하지 않아 개혁의 걸림돌로 작용되는 기득권세력을 뜻한다. 민주주의의 발전이 오래된 나라일수록, 정치와 국민의 일상이 유리되어 국민들의 정치불감증이 높아질수록 딥스테이트의 영향력은 높아진다. 그러나 이것은 상징적인 용어로 구체적 실체를 특징지을 수 없다


금융계 엘리트가 "글로벌리스트(요즘 서구에서는 좌익으로 분류)"인 이유

<금융계 엘리트가 "글로벌리스트(요즘 서구에서는 좌익으로 분류)"인 이유>[2]

지금 조지 프리드먼(George Friedman)의 <Flashpoints> 번역을 끝낸 원고를 교정작업을 하고 있는데 눈에 띄는 구절이 있어서 공유한다.

<금융계 엘리트가 "글로벌리스트(요즘 서구에서는 좌익으로 분류)"인 이유> <안미경중('안보는 미국과, 경제는 중국과)이 개소리인 이유>를 잘 보여준다.


노벨 경제학 수상자 노먼 에인절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투자와 무역에서 국가들이 상호의존하는 정도가 매우 높아지면 전쟁은 불가능해진다고 믿는 이들이 있다. 특히 금융계 엘리트들이 그렇다. 그들은 자신들이 역사의 주인이 되고 자신들의 이익이 역사를 결정짓는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거미줄처럼 얽히고설킨 관계망을 형성해 원초적이고 군사적인 본능으로부터 세계를 보호하는 게 자신들의 역할이라고 믿는다. 그들에게는 돈이 전부이고 돈만 벌도록 해주면 전쟁은 일어나지 않는다고 믿는다."

조지 프리드먼에 따르면, "그러나 , 두 나라가 경제적 이익을 공유하게 되면 한 쪽이 자기의 입지를 이용하거나, 그 관계를 철회하고 다른 이와 협력하거나, 합의를 이행하지 않을지 모른다는 우려가 늘 존재한다. 국가들의 상호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상대편이 약속을 지키는지, 극단적인 경우 협박을 하지 않을지 분명히 하려고 애쓴다. 이러한 불신이 강해지면 국가들은 상대방보다 우위에 서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수단을 확보하려고 하고 이따금 전쟁으로 귀결되기도 한다. 상호의존성은 안보를 강화하기도 하지만, 불안감을 조성해 전쟁을 야기하기도 한다."



참고

  • 국민 세금으로 부-권력 누리는 사람들이… 우리 국익을 위해 일하지 않는다[3]




적폐청산

적폐청산에서 다룸

각주

  1. https://www.weeklystandard.com/hannah-yoest/angry-kitsch
  2. https://www.facebook.com/permalink.php?story_fbid=153661042685989&id=100041262829413 금융계 엘리트가 "글로벌리스트(요즘 서구에서는 좌익으로 분류)"인 이유
  3. http://www.newdaily.co.kr/site/data/html/2019/11/25/2019112500063.html 국민 세금으로 부-권력 누리는 사람들이… 우리 국익을 위해 일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