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한번도경험.jpg|400px|섬네일|가운데|한번도 경험 하지 못한 나라를 만들겠다]]
[[파일:한번도경험.jpg|400px|섬네일|가운데|한번도 경험 하지 못한 나라를 만들겠다]]
[[파일:고용쇼크.jpg|300px|섬네일|오른쪽|고용쇼크]]
[[파일:고용쇼크.jpg|300px|섬네일|오른쪽|고용쇼크]]
[[파일:실업쇼크1.jpg|300px|섬네일|오른쪽|고용쇼크]]
[[파일:실업쇼크1.jpg|300px|섬네일|오른쪽|고용쇼크]]<br><br>


=='''개요'''==
영어: meme


'Internet Meme', 줄여서 '[[Meme]](밈)'이라고 부른다. 인터넷의 주요 문화 요소와 유행하는 것들을 일컫는 말.
==인터넷 밈==
밈이란 사진이나 동영상에 특수한 효과와 클리셰를 넣어서 즐기는 문화이다. 한국어의 '짤방', '합필', '풍자'가 모두 포함된다.


본래 [[리처드 도킨스]]가 [[이기적 유전자]]라는 책으로 제시한 학술 용어 밈에서 파생된 개념이다. 본래 여기서의 밈은 종교와 같은 문화처럼 마치 인간의 유전자(gene)와 같이 "번식"하면서 대를 이어 전해져오는 문화 구성 요소의 의미였다.
'Internet Meme', 줄여서 '[[Meme]](밈)'이라고 부른다. 인터넷의 주요 문화 요소와 유행하는 것들을 일컫는 말. 그냥 인터넷에서 트렌드로 떠오른 무언가 자체를 '이건 밈이다' 라고 이해하면 된다. (≒유행물, 키워드, 파생 콘텐츠 등)
 
대체로 특정 요인에 따른 유행 전반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진 및 영상물뿐만 아니라 유행어 등 훨씬 더 포괄적이고 수많은 웹사이트의 통합적인 유행 요소 전체이다. 이와 같은 밈의 의미는 애초에 미국의 사이트인 4chan이라는 곳에서 비롯되었고, 2000년대를 이끌던 밈들도 십중팔구가 4chan에서 만들어졌다.
 
예를 들면 대통령의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나라를 만들겠다"라는 발언을 이용하여 여러 풍자나 해학을 담은 콘텐츠를 만들면 그것이 밈이 되는 것이다.
)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경제 정책을 보여주마" -> 기업을 옥죄며, 한편으로는 최저시급을 막무가내로 올려서 소득주도 성장을 하겠다는 황당한 경제정책 풍자.


2018년 11월 11일 방송된 KBS 도전 골든벨 평택여자고등학교 편 50번 마지막 문제의 정답으로 나왔으며 골든벨 우승자가 탄생하였다.
인터넷에 떠도는 기억하기 쉽고 중독성 있는 대상이라면 무엇이든지 밈으로 등극할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밈이 재조합되어 새로운 밈을 만들어내는 경우도 있다.


밈을 제작하거나 유포하는 사람을 '미머'(Memer)라고 하기도 한다.
한 번 유행했다가 식은 밈은 죽은 밈(dead meme)이라 부르고 특정 사람들 사이에서 계속 돌거나 지속적으로 올라오는 밈을 억지 밈이라 부른다. 이러한 억지 밈이 유행하는 밈이 되는 경우도 있는데 [[노잼]]이나 [[개꿀잼 드립]]이 대표적이다.


영어판 위키백과에는 밈을 모아둔 분류도 존재하는데, 2013년까지 무려 550개가 넘어가는 목록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밈 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트 'Know Your Meme'도 있다.


=='''상세'''==
한국의 경우 합성필수요소는 소스(source)라는 뜻이 있어서 밈이라 볼 수 없으나 이를 통해 만든 합필은 밈에 해당한다.


그냥 인터넷에서 트렌드로 떠오른 무언가 자체를 '이건 밈이다' 라고 이해하면 된다. (≒유행물, 키워드, 파생 콘텐츠 등)
3년 전에는 밈을 제작하거나 유포하는 사람을 '미머'(Memer)라고 했지만 현재는 '밈 로드'(meme lord)가 많이 쓰인다.


대체로 특정 요인에 따른 유행 전반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유행어와 비슷한 부분이 많은데, 굳이 단어라기보다는 사진이나 영상 등 다양한 미디어를 넘나들기 때문에 좀 차이가 있다.
===인터넷 밈 목록===
[[인터넷 밈/일람]]


예를 들면 대통령의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나라를 만들겠다"라는 발언을 이용하여 여러 풍자나 해학을 담은 콘텐츠를 만들면 그것이 밈이 되는 것이다.
===대안우파와의 관계===
)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경제 정책을 보여주마" -> 기업을 옥죄며, 한편으로는 최저시급을 막무가내로 올려서 소득주도 성장을 하겠다는 황당한 경제정책 풍자.
4chan을 중심으로한 인터넷 하위문화는 주로 이들에 의해 생성된다. 한국의 일베나 일본의 2chan도 거진 비슷하다. [[대중문화]]는 좌파가 잡고있지만 이 경우는 반대라 볼 수 있고 가끔 586이나 진보대학생이 작성한 밈이 올라오고 그중에는 재미있는 밈도 있지만, 대부분은 Liberals can't meme(좌파는 재미가 없어)라는 비아냥만 듣는다.


밈은 사진 및 영상물뿐만 아니라 유행어 등 훨씬 더 포괄적이고 수많은 웹사이트의 통합적인 유행 요소 전체이다. 이와 같은 밈의 의미는 애초에 미국의 사이트인 4chan이라는 곳에서 비롯되었고, 2000년대를 이끌던 밈들도 십중팔구가 4chan에서 만들어졌다.
==밈 이론(리처드 도킨스, 어원)==
본래 [[리처드 도킨스]]가 [[이기적 유전자]]라는 책으로 제시한 학술 용어 밈에서 파생된 개념이다. 본래 여기서의 밈은 종교와 같은 문화처럼 마치 인간의 유전자(gene)와 같이 "번식"하면서 대를 이어 전해져오는 문화 구성 요소의 의미였다.


인터넷에 떠도는 기억하기 쉽고 중독성 있는 대상이라면 무엇이든지 밈으로 등극할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밈이 재조합되어 새로운 밈을 만들어내는 경우도 있다.
어원은 그리스어로 발음은 리처드 도킨스 본인이 밈으로 정했다.


영어판 위키백과에는 밈을 모아둔 분류도 존재하는데, 2013년까지 무려 550개가 넘어가는 목록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밈 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트 'Know Your Meme'도 있다.
2018년 11월 11일 방송된 KBS 도전 골든벨 평택여자고등학교 편 50번 마지막 문제의 정답으로 나왔으며 골든벨 우승자가 탄생하였다.




[[분류:인터넷 용어]]
[[분류:인터넷 용어]][[분류:밈]][[분류:유행]]
[[분류:유행]]

2019년 7월 31일 (수) 10:02 판

한번도 경험 하지 못한 나라를 만들겠다
고용쇼크
고용쇼크



영어: meme

인터넷 밈

밈이란 사진이나 동영상에 특수한 효과와 클리셰를 넣어서 즐기는 문화이다. 한국어의 '짤방', '합필', '풍자'가 모두 포함된다.

'Internet Meme', 줄여서 'Meme(밈)'이라고 부른다. 인터넷의 주요 문화 요소와 유행하는 것들을 일컫는 말. 그냥 인터넷에서 트렌드로 떠오른 무언가 자체를 '이건 밈이다' 라고 이해하면 된다. (≒유행물, 키워드, 파생 콘텐츠 등)

대체로 특정 요인에 따른 유행 전반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진 및 영상물뿐만 아니라 유행어 등 훨씬 더 포괄적이고 수많은 웹사이트의 통합적인 유행 요소 전체이다. 이와 같은 밈의 의미는 애초에 미국의 사이트인 4chan이라는 곳에서 비롯되었고, 2000년대를 이끌던 밈들도 십중팔구가 4chan에서 만들어졌다.

예를 들면 대통령의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나라를 만들겠다"라는 발언을 이용하여 여러 풍자나 해학을 담은 콘텐츠를 만들면 그것이 밈이 되는 것이다. 예)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경제 정책을 보여주마" -> 기업을 옥죄며, 한편으로는 최저시급을 막무가내로 올려서 소득주도 성장을 하겠다는 황당한 경제정책 풍자.

인터넷에 떠도는 기억하기 쉽고 중독성 있는 대상이라면 무엇이든지 밈으로 등극할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밈이 재조합되어 새로운 밈을 만들어내는 경우도 있다.

한 번 유행했다가 식은 밈은 죽은 밈(dead meme)이라 부르고 특정 사람들 사이에서 계속 돌거나 지속적으로 올라오는 밈을 억지 밈이라 부른다. 이러한 억지 밈이 유행하는 밈이 되는 경우도 있는데 노잼이나 개꿀잼 드립이 대표적이다.

영어판 위키백과에는 밈을 모아둔 분류도 존재하는데, 2013년까지 무려 550개가 넘어가는 목록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밈 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트 'Know Your Meme'도 있다.

한국의 경우 합성필수요소는 소스(source)라는 뜻이 있어서 밈이라 볼 수 없으나 이를 통해 만든 합필은 밈에 해당한다.

3년 전에는 밈을 제작하거나 유포하는 사람을 '미머'(Memer)라고 했지만 현재는 '밈 로드'(meme lord)가 많이 쓰인다.

인터넷 밈 목록

인터넷 밈/일람

대안우파와의 관계

4chan을 중심으로한 인터넷 하위문화는 주로 이들에 의해 생성된다. 한국의 일베나 일본의 2chan도 거진 비슷하다. 대중문화는 좌파가 잡고있지만 이 경우는 반대라 볼 수 있고 가끔 586이나 진보대학생이 작성한 밈이 올라오고 그중에는 재미있는 밈도 있지만, 대부분은 Liberals can't meme(좌파는 재미가 없어)라는 비아냥만 듣는다.

밈 이론(리처드 도킨스, 어원)

본래 리처드 도킨스이기적 유전자라는 책으로 제시한 학술 용어 밈에서 파생된 개념이다. 본래 여기서의 밈은 종교와 같은 문화처럼 마치 인간의 유전자(gene)와 같이 "번식"하면서 대를 이어 전해져오는 문화 구성 요소의 의미였다.

어원은 그리스어로 발음은 리처드 도킨스 본인이 밈으로 정했다.

2018년 11월 11일 방송된 KBS 도전 골든벨 평택여자고등학교 편 50번 마지막 문제의 정답으로 나왔으며 골든벨 우승자가 탄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