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봉쇄 정책(containment)은 적의 팽창을 막기 위한 지정학적 전략이다. 공산주의의 확장을 막기 위한 미국과 동맹국들의 냉전 외교 정책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정책은 냉전시대에 동유럽, 중국, 한국, 아프리카, 베트남, 남미 등에서 공산주의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소련의 움직임에 대한 대응으로서 실행되었다. 봉쇄 정책은 데탕트(detente; 긴장 완화)와 롤백(rollback)의 중간에 위치한다.
봉쇄 정책(containment)은 적의 팽창을 막기 위한 지정학적 전략이다. [[공산주의]]의 확장을 막기 위한 [[미국]]과 동맹국들의 냉전 외교 정책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정책은 냉전시대에 동유럽, [[중국]], [[한국]], [[아프리카]], [[베트남]], [[남미]] 등에서 공산주의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소련의 움직임에 대한 대응으로서 실행되었다. 봉쇄 정책은 데탕트(detente; 긴장 완화)와 롤백(rollback)의 중간에 위치한다.


==트루먼(Harry S. Truman; 1945-1953년)==
==트루먼(Harry S. Truman; 1945-1953년)==
1946년 선거에서 공화당이 의회를 장악한 뒤, 민주당 출신의 트루먼 대통령은 냉전의 시작을 알리는 매우 중요한 연설을 하였다. 1947년 3월, 그는 국회에게 공산주의 반란 세력과 싸우고 있던 그리스와 터키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4억 달러를 배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트루먼은 "무장한 소수 또는 외부 압력에 의한 굴복당할 위험에 저항하고 있는 자유 국민들을 지원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 선언이 소위 "트루먼 독트린"이다. 그는 이 문제를 "전체주의 정권"과 "자유 국민들" 사이의 충돌로 묘사하였고, 이 연설을 계기로 미국은 봉쇄 정책을 공식 정책으로 채택하였다.
1946년 선거에서 [[공화당(미국)|공화당]]이 의회를 장악한 뒤, [[민주당(미국)|민주당]] 출신의 [[해리 S. 트루먼|트루먼]] 대통령은 냉전의 시작을 알리는 매우 중요한 연설을 하였다. 1947년 3월, 그는 국회에게 [[공산주의]] 반란 세력과 싸우고 있던 [[그리스]]와 [[터키]]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4억 달러를 배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해리 S. 트루먼|트루먼]]은 "무장한 소수 또는 외부 압력에 의한 굴복당할 위험에 저항하고 있는 자유 국민들을 지원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 선언이 소위 "트루먼 독트린"이다. 그는 이 문제를 "전체주의 정권"과 "자유 국민들" 사이의 충돌로 묘사하였고, 이 연설을 계기로 [[미국]]은 봉쇄 정책을 공식 정책으로 채택하였다.


트루먼 독트린의 동기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쟁이 있었다. 그 중에서 Herbert Feis의 설명이 미국인들이 입장에서 가장 설득력 있어 보인다. 그에 따르면, 1945~1947년 사이에 소련이 폴란드, 이란, 터크 등에서 공격적으로 나오자 미국 국민들이 이것을 자유에 대한 새로운 위험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 후, 경제 문제로 곤란을 겪고 있던 영국이 미국에게 그리스에서 그들이 맡아온 역할을 해달라고 부탁을 하자, 국무부의 딘 애치슨(Dean Acheson)은 의회 지도자들에게 '미국이 영국의 역할을 맡지 않는다면, 소련이 3개 대륙에 깊히 침투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루먼 독트린의 동기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쟁이 있었다. 그 중에서 Herbert Feis의 설명이 미국인들이 입장에서 가장 설득력 있어 보인다. 그에 따르면, 1945~1947년 사이에 [[소련]]이 [[폴란드]], [[이란]], [[터키]] 등에서 공격적으로 나오자 [[미국]] 국민들이 이것을 자유에 대한 새로운 위험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 후, 경제 문제로 곤란을 겪고 있던 [[영국]]이 [[미국]]에게 [[그리스]]에서 그들이 맡아온 역할을 해달라고 부탁을 하자, [[미국 국무부|국무부]]의 딘 애치슨(Dean Acheson)은 의회 지도자들에게 '미국이 영국의 역할을 맡지 않는다면, 소련이 3개 대륙에 깊히 침투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루먼은 소련의 유럽에서의 영향력을 봉쇄하기 위해 구체적인 대책을 세우기 시작한다. 1948년의 마셜플랜(Marshall Plan; 유럽 복구 프로그램)과 1949년의 NATO(북대서양 조약기구)가 여기에 해당된다. 효과적인 봉쇄를 위해서는 공산주의자들의 움직임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필요했기 때문에, CIA(중앙정보국)의 중요성이 점차적으로 커졌다. 1949년에 소련의 핵 실험을 하자, 국가안보위원회는 기존의 안보 독트린을 새롭게 수정하여 1950년 4월에 NSC 68을 내놓았다. NSC 68은 소련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의 군사력 증강이 필요하다고 결론맺었다.
[[해리 S. 트루먼|트루먼]]은 [[소련]]의 유럽에서의 영향력을 봉쇄하기 위해 구체적인 대책을 세우기 시작한다. 1948년의 마셜플랜(Marshall Plan; 유럽 복구 프로그램)과 1949년의 NATO(북대서양 조약기구)가 여기에 해당된다. 효과적인 봉쇄를 위해서는 공산주의자들의 움직임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필요했기 때문에, [[CIA]](중앙정보국)의 중요성이 점차적으로 커졌다. 1949년에 [[소련]]의 핵 실험을 하자, 국가안보위원회는 기존의 안보 독트린을 새롭게 수정하여 1950년 4월에 NSC 68을 내놓았다. NSC 68은 소련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의 군사력 증강이 필요하다고 결론맺었다.


==한국==
==한국==
미국은 봉쇄 정책에 따라 북한 공산주의자들의 침략으로부터 남한을 지키기 위해 한국전에 개입하였다. 그러나, 인천상륙작전이 성공을 거두자, 미국과 U.N.은 롤백 전략으로 선회하여 북한 공산주의를 무너뜨린 다음 U.N. 감시 하에 전국 총선거를 실시하려고 하였다. 이에 따라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연합군을 38선 이북으로 진격시켜 거의 승리가 눈앞에 있는 듯했다. 그러나 이때 중국이 참전함으로써 연합군은 다시 38선 이남으로 밀려내려오고, 이런 상황에서 다시 봉쇄 정책이 힘을 받게 되었다. 결국, 한국 전쟁은 1953년 휴전협정으로 일단락되었다.
[[미국]]은 봉쇄 정책에 따라 [[북한]] 공산주의자들의 침략으로부터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한국전]]에 개입하였다. 그러나, 인천상륙작전이 성공을 거두자, [[미국]]과 [[UN]]은 롤백 전략으로 선회하여 [[북한]] [[공산주의]]를 무너뜨린 다음 [[UN]] 감시 하에 전국 총선거를 실시하려고 하였다. 이에 따라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연합군을 38선 이북으로 진격시켜 거의 승리가 눈앞에 있는 듯했다. 그러나 이때 [[중국]]이 참전함으로써 연합군은 다시 38선 이남으로 밀려내려오고, 이런 상황에서 다시 봉쇄 정책이 힘을 받게 되었다. 결국, [[한국 전쟁]]은 [[1953년]] 휴전협정으로 일단락되었다.


==쿠바==
==쿠바==
1962년에 쿠바 미사일 사태(Cuban Missile Crisis; 소련이 쿠바에 핵 미사일을 배치한 사건)가 일어나자, 미국의 고위 관료들은 소련의 핵 미사일을 제거하기 위해 롤백 정책을 쓸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러나 미소 간의 협상 결과, 소련은 쿠바에 배치한 모든 핵 미사일을 공개적으로 제거하기로, 그리고 미국은 쿠바를 침공하지 않기로 하는 한편 터키에 배치한 미사일을 은밀히 제거하기로 합의하였다. 이때 케네디 대통령에 의해 시작된 쿠바에 대한 봉쇄 정책은 2015년까지 계속되었다.
1962년에 [[쿠바 미사일 사태]](Cuban Missile Crisis; 소련이 쿠바에 핵 미사일을 배치한 사건)가 일어나자, [[미국]]의 고위 관료들은 [[소련]]의 핵 미사일을 제거하기 위해 롤백 정책을 쓸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러나 미소 간의 협상 결과, [[소련]]은 [[쿠바]]에 배치한 모든 핵 미사일을 공개적으로 제거하기로, 그리고 [[미국]]은 [[쿠바]]를 침공하지 않기로 하는 한편 [[터키]]에 배치한 미사일을 은밀히 제거하기로 합의하였다. 이때 [[존 F. 케네디|케네디]] 대통령에 의해 시작된 쿠바에 대한 봉쇄 정책은 2015년까지 계속되었다.


==베트남==
==베트남==
1964년 미국 대선에서 공화당 후보였던 배리 골드워터는 봉쇄 정책을 비판했다. 이에, 민주당 후보였던 린든 존슨은 롤백 정책을 선택한다면 핵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 선거에서 압승한 존슨 대통령은 베트남 전쟁에서 봉쇄 정책을 철저히 고수하였다. 라오스로 진격해서 공산주의 세력의 공급망을 차단하자는 윌리어 웨스트모어랜드 장군의 제안을 거절한 존슨은 The Wise Men이라는 원로 정치인 모임을 만들어서 강경한 입장에 대응하였다.
1964년 미국 대선에서 [[공화당(미국)|공화당]] 후보였던 [[배리 골드워터]]는 봉쇄 정책을 비판했다. 이에, [[민주당(미국)|민주당]] 후보였던 [[린든 존슨]]은 롤백 정책을 선택한다면 핵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 선거에서 압승한 [[린든 존슨|존슨 대통령]]은 [[베트남 전쟁]]에서 봉쇄 정책을 철저히 고수하였다. [[라오스]]]로 진격해서 공산주의 세력의 공급망을 차단하자는 윌리어 웨스트모어랜드 장군의 제안을 거절한 [[린든 존슨|존슨]]은 The Wise Men이라는 원로 정치인 모임을 만들어서 강경한 입장에 대응하였다.


1969년 존슨 대통령의 뒤를 이은 닉슨 대통령은 자신의 외교 정책을 데탕트(détente), 즉 '긴장 완화' 정책이라 하였다. 여전히 소련은 제지하는데 목표를 두었으나, '전략 무기 제한 회담'(Strategic Arms Limitation Talks)이라는 핵무기 관한 '회담'에 주력하였다. 닉슨은 베트남에서도 '베트남화'(Vietnamization; 베트남 전쟁의 베트남화) 정책을 취하여 공산주의자들의 진격을 억제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병력만 남기고 미군을 철수하였다. 그후, 반전 여론이 더욱더 확산함에 따라, 1963년에는 Case-Church Amendment이 통과 발효되어 베트남에 진주한 미군을 완전히 철수시키게 되고, 그 결과,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는 공산화되었다.
1969년 [[린든 존슨|존슨]] 대통령의 뒤를 이은 [[리처드 닉슨|닉슨]] 대통령은 자신의 외교 정책을 데탕트(détente), 즉 '긴장 완화' 정책이라 하였다. 여전히 [[소련]]은 제지하는데 목표를 두었으나, '전략 무기 제한 회담'(Strategic Arms Limitation Talks)이라는 핵무기 관한 '회담'에 주력하였다. [[리처드 닉슨닉슨]]은 [[베트남]]에서도 '베트남화'(Vietnamization; 베트남 전쟁의 베트남화) 정책을 취하여 [[공산주의]]자들의 진격을 억제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병력만 남기고 미군을 철수하였다. 그후, 반전 여론이 더욱더 확산함에 따라, 1963년에는 Case-Church Amendment이 통과 발효되어 [[베트남]]에 진주한 미군을 완전히 철수시키게 되고, 그 결과,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는 공산화되었다.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
1977년에는 지미 카터 대통령이 취임하여, 인권 외교를 내걸었다. 그러나, 1979년에 소련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자, 봉쇄 정책이 다시 부각되었다. 1980년의 카터 독트린은 트루먼 독트린을 많이 닮아 있었다. 그러나 1980년에 롤백 정책의 옹호자인 로널드 레이건이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미국의 대소 정책은 일대 전환기를 맞는다. 레이건은 아프가니스탄, 앙골라, 캄보디아, 니카라과의 반공산주의 반군을 군사적으로 지원하는 방법으로 공산주의 정부에 대항하였다.
1977년에는 [[지미 카터]] 대통령이 취임하여, 인권 외교를 내걸었다. 그러나, 1979년에 [[소련]]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자, 봉쇄 정책이 다시 부각되었다. 1980년의 카터 독트린은 트루먼 독트린을 많이 닮아 있었다. 그러나 1980년에 롤백 정책의 옹호자인 [[로널드 레이건]]이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미국의 대소 정책은 일대 전환기를 맞는다. [[로널드 레이건|레이건]]은 [[아프가니스탄]], [[앙골라]], [[캄보디아]], [[니카라과]]의 반공산주의 반군을 군사적으로 지원하는 방법으로 [[공산주의]] 정부에 대항하였다.
 
[[분류:외교]]
[[분류:냉전]]
[[분류:세계사]]

2020년 11월 26일 (목) 21:49 기준 최신판

봉쇄 정책(containment)은 적의 팽창을 막기 위한 지정학적 전략이다. 공산주의의 확장을 막기 위한 미국과 동맹국들의 냉전 외교 정책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정책은 냉전시대에 동유럽, 중국, 한국, 아프리카, 베트남, 남미 등에서 공산주의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소련의 움직임에 대한 대응으로서 실행되었다. 봉쇄 정책은 데탕트(detente; 긴장 완화)와 롤백(rollback)의 중간에 위치한다.

트루먼(Harry S. Truman; 1945-1953년)

1946년 선거에서 공화당이 의회를 장악한 뒤, 민주당 출신의 트루먼 대통령은 냉전의 시작을 알리는 매우 중요한 연설을 하였다. 1947년 3월, 그는 국회에게 공산주의 반란 세력과 싸우고 있던 그리스터키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4억 달러를 배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트루먼은 "무장한 소수 또는 외부 압력에 의한 굴복당할 위험에 저항하고 있는 자유 국민들을 지원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 선언이 소위 "트루먼 독트린"이다. 그는 이 문제를 "전체주의 정권"과 "자유 국민들" 사이의 충돌로 묘사하였고, 이 연설을 계기로 미국은 봉쇄 정책을 공식 정책으로 채택하였다.

트루먼 독트린의 동기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쟁이 있었다. 그 중에서 Herbert Feis의 설명이 미국인들이 입장에서 가장 설득력 있어 보인다. 그에 따르면, 1945~1947년 사이에 소련폴란드, 이란, 터키 등에서 공격적으로 나오자 미국 국민들이 이것을 자유에 대한 새로운 위험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 후, 경제 문제로 곤란을 겪고 있던 영국미국에게 그리스에서 그들이 맡아온 역할을 해달라고 부탁을 하자, 국무부의 딘 애치슨(Dean Acheson)은 의회 지도자들에게 '미국이 영국의 역할을 맡지 않는다면, 소련이 3개 대륙에 깊히 침투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루먼소련의 유럽에서의 영향력을 봉쇄하기 위해 구체적인 대책을 세우기 시작한다. 1948년의 마셜플랜(Marshall Plan; 유럽 복구 프로그램)과 1949년의 NATO(북대서양 조약기구)가 여기에 해당된다. 효과적인 봉쇄를 위해서는 공산주의자들의 움직임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필요했기 때문에, CIA(중앙정보국)의 중요성이 점차적으로 커졌다. 1949년에 소련의 핵 실험을 하자, 국가안보위원회는 기존의 안보 독트린을 새롭게 수정하여 1950년 4월에 NSC 68을 내놓았다. NSC 68은 소련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의 군사력 증강이 필요하다고 결론맺었다.

한국

미국은 봉쇄 정책에 따라 북한 공산주의자들의 침략으로부터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한국전에 개입하였다. 그러나, 인천상륙작전이 성공을 거두자, 미국UN은 롤백 전략으로 선회하여 북한 공산주의를 무너뜨린 다음 UN 감시 하에 전국 총선거를 실시하려고 하였다. 이에 따라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연합군을 38선 이북으로 진격시켜 거의 승리가 눈앞에 있는 듯했다. 그러나 이때 중국이 참전함으로써 연합군은 다시 38선 이남으로 밀려내려오고, 이런 상황에서 다시 봉쇄 정책이 힘을 받게 되었다. 결국, 한국 전쟁1953년 휴전협정으로 일단락되었다.

쿠바

1962년에 쿠바 미사일 사태(Cuban Missile Crisis; 소련이 쿠바에 핵 미사일을 배치한 사건)가 일어나자, 미국의 고위 관료들은 소련의 핵 미사일을 제거하기 위해 롤백 정책을 쓸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러나 미소 간의 협상 결과, 소련쿠바에 배치한 모든 핵 미사일을 공개적으로 제거하기로, 그리고 미국쿠바를 침공하지 않기로 하는 한편 터키에 배치한 미사일을 은밀히 제거하기로 합의하였다. 이때 케네디 대통령에 의해 시작된 쿠바에 대한 봉쇄 정책은 2015년까지 계속되었다.

베트남

1964년 미국 대선에서 공화당 후보였던 배리 골드워터는 봉쇄 정책을 비판했다. 이에, 민주당 후보였던 린든 존슨은 롤백 정책을 선택한다면 핵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 선거에서 압승한 존슨 대통령베트남 전쟁에서 봉쇄 정책을 철저히 고수하였다. 라오스]로 진격해서 공산주의 세력의 공급망을 차단하자는 윌리어 웨스트모어랜드 장군의 제안을 거절한 존슨은 The Wise Men이라는 원로 정치인 모임을 만들어서 강경한 입장에 대응하였다.

1969년 존슨 대통령의 뒤를 이은 닉슨 대통령은 자신의 외교 정책을 데탕트(détente), 즉 '긴장 완화' 정책이라 하였다. 여전히 소련은 제지하는데 목표를 두었으나, '전략 무기 제한 회담'(Strategic Arms Limitation Talks)이라는 핵무기 관한 '회담'에 주력하였다. 리처드 닉슨닉슨베트남에서도 '베트남화'(Vietnamization; 베트남 전쟁의 베트남화) 정책을 취하여 공산주의자들의 진격을 억제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병력만 남기고 미군을 철수하였다. 그후, 반전 여론이 더욱더 확산함에 따라, 1963년에는 Case-Church Amendment이 통과 발효되어 베트남에 진주한 미군을 완전히 철수시키게 되고, 그 결과,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는 공산화되었다.

아프가니스탄

1977년에는 지미 카터 대통령이 취임하여, 인권 외교를 내걸었다. 그러나, 1979년에 소련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자, 봉쇄 정책이 다시 부각되었다. 1980년의 카터 독트린은 트루먼 독트린을 많이 닮아 있었다. 그러나 1980년에 롤백 정책의 옹호자인 로널드 레이건이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미국의 대소 정책은 일대 전환기를 맞는다. 레이건아프가니스탄, 앙골라, 캄보디아, 니카라과의 반공산주의 반군을 군사적으로 지원하는 방법으로 공산주의 정부에 대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