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조선인민위원회(北朝鮮人民委員會)는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北朝鮮臨時人民委員會)를 개편하여 1947년 2월 23일 출범한 북한의 중앙정권기관이다. 1948년 9월 9일 북한 정권 공식출범 때까지 존속했다.[1][2][3]


북조선인민위원회의 구성원

북조선인민위원회의 구성원은 아래와 같다.[4] (1947년 4월 10일 간행 북조선인민위원회 선전부 자료에 의거한 것임.)

북조선인민위원회(北朝鮮人民委員會)의 구성원
직책성명소속약력
위원장김일성(金日成)노동당(勞動黨)오랫동안 항일투쟁에 참가. 현재까지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위원장.
부위원장김책(金策)노동당오랫동안 항일투쟁에 참가. 현재 보안간부 대대부 부사령(大隊部副司令)
부위원장홍기주(洪箕疇)[5][6]민주당(民主黨)평양대성학교 졸업. 민주당 평남도당부 위원장. 평남인민위원회 위원장.
사무장한병옥(韓炳玉)노동당일본 큐슈(九州)대학 법문학부 졸업. 민전(民戰) 중앙위원회 전 서기장. 위원장 비서.
기획국장정준택(鄭準澤)노동당경성고등공업학교 졸업. 현재 기획국 부국장.
산업국장이문환(李文煥)무소속(無所屬)관동주(關東州) 남만(南滿)공업전문학교 졸업. 전기 기술자. 현재까지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상무위원. 산업국장.
내무국장박일우(朴一禹)노동당길림사범학교 졸업. 현재 보안국장.
외무국장이강국(李康國)노동당경성대학 법문학부 졸업. 현재까지 외무국장.
농림국장이순근(李舜根)노동당일본 와세다(早稻田)대학 경제과 졸업. 현재까지 농림국장.
재무국장이봉수(李鳳洙)노동당일본 메이지(明治)대학 경제과 졸업. 현재 재정국장.
교통국장허남희(許南熙)무소속용산철도학교 졸업. 철도기술자. 현재까지 교통국장.
체신국장주황섭(朱晃燮)청우당(靑友黨)일본대학 경제학과 졸업. 청우당 함남도당부 위원장. 함남인민위원회 부위원장.
상업국장장시우(張時雨)노동당평양 숭실중학 졸업. 현재까지 상업국장.
보건국장이동영(李東英)민주당경성의학전문학교 졸업. 민주당 부당수. 평양특별시 인민위원회 부위원장.
교육국장한설야(韓雪野)노동당일본대학 사회학과 졸업. 현재 노동당중앙본부 문화인 부장.
노동국장오기섭(吳琪燮)노동당오랫동안 혁명운동에 참가. 현재까지 노동국장.
사법국장최용달(崔容達)노동당경성대학 법문학부 졸업. 보성전문학교 교수. 현재 사법국장.
인민검열국장최창익(崔昌益)노동당일본대학 졸업. 현재 노동당 정치위원.
총무부장김정주(金廷柱)청우당(靑友黨)일본대학 정치과 졸업. 청우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평남인민위원회 부위원장.
간부부장장종식(張鐘植)노동당경성중앙중학 중도 퇴학. 현재까지 교육국장.
양정부장송봉욱(宋奉郁)노동당현 황해도 인민위원회 양정부장(糧政部長).
선전부장허정숙(許貞淑)노동당관서(關西)대학 졸업. 현재 노동당 중앙본부 간부부장.

위의 노동당은 북로당(북조선 노동당)으로 1946년 8월 23일 북조선 공산당과 신민당(연안파)이 합당하여 결성한 정당이며, 스티코프가 스탈린에게 올린 서한에 의해 스탈린의 지령에 따라 합당이 이루어진 것이 밝혀진다. 후에 남로당(남조선 노동당)과 합당하여 오늘날의 노동당이 된다.


북조선인민위원회가 시행한 법령 및 정책

북조선인민위원회는 화폐개혁을 단행하면서 일제시대붜 사용하던 구권을 수거하여 이를 남한에 대량 유통시켜 경제를 혼란시키는 공작을 하였다.[7][8]

북조선인민회의 의원 명부 : pp.138~167 (145~174)
인민회의상임의원회의원 명부(人民會議常任議員會議員名簿) : p.178
북조선인민위원회(北朝鮮人民委員會)에 관(關)한 규정(規定) : p.193 (203)
金日成將軍을 北朝鮮人民委員會 委員長으로 推戴하며 北朝鮮人民委員會組織의 責任을 委任함에 關한 提議 : p.201 (211)
북조선인민위원회(北朝鮮人民委員會) 총명부(總名簿) : p.204 (214) - 각 인물들의 약력이 나와 있음.
북조선검찰소(北朝鮮檢察所) 및 재판소(裁判所) 명부(名簿) p.206 (216)



북한에 진주한 소련 제25군 사령관 치스차코프는 1947년 4월에 본국으로 귀환하고 후임으로 겐나디 페트로비치 코로트코프(Gennadii Petrovich Korotkov, 1898 – 1982) 중장이 부임했다.


Vyacheslav Molotov(1890~1986) 는 당시 소련 외상 겸 각료회의 부의장이다.

참고자료



각주

  1. (3) 북조선인민위원회의 수립 : 신편 한국사 > 근대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 4) 북조선노동당 창당과 북조선인민위원회의 수립 우리역사넷
  2. 정해구,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북조선인민위원회 연구 國史館論叢 第54輯 (국사편찬위원회, 1994-08-20)
  3. 북한연표 해설 목록 : 북조선인민위원회 조직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4. 북조선 시도군 인민위원회 대회 중요문헌집, 북조선인민위원회 선전부, 1947.04.10 (RG 242 National Archives Collection of Foreign Records Seized ; Record Group)(Captured Korean Documents, Doc. No. SA 2009 II ; Series) p.204 (214) : 북조선인민위원회(北朝鮮人民委員會) 총명부(總名簿) - 각 인물들의 약력이 나와 있음.
  5. 신편 한국사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 1) 해방 후 북한 각 지역의 인민위원회 수립과 소련군 주둔 / (2) 각 지역 인민위원회의 성립과 개편 우리역사넷
  6. 독립운동관련 판결문 : 홍기주(洪箕疇) - 국가기록원
  7. 이북(以北)서 조은권(朝銀券) 이송(移送)한 북로당원(北勞黨員) 철경(鐵警)에 피체(被逮) 현대일보(現代日報) 1948년 04월 07일 2면
  8. 이북화폐(以北貨幣)로 경제교란(經濟攪亂), 철경 사찰과(鐵警 査察課)서 연루자(連累者) 일망타진(一網打盡) 공업신문(工業新聞) 1948년 04월 07일 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