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서울대 로고.png
표어
진리는 나의 빛
라틴어 Veritas Lux Mea
교목
느티나무
교조
백학, 쌍학
교색
  서울대고유색
국가
태극기.jpg대한민국
종류
국립 대학
개교
1924 (경성대학)
1946년 8월 22일 (서울대학으로 개칭)
설립
1946년 8월 22일
총장
오세정(물리학자)
법인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학부생
16,451명 (2017년 4월 1일)0
대학원생
전체 : 11,927명 (2017)석사 8,120명 박사 3,807명
교직원
전임교원 : 2,104명(2017)
위치
관악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연건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103
평창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 평창대로 1447
규모
3 캠퍼스, 16 단과대학,
1 자유전공학부,
1 일반대학원, 10 전문대학원
규모
3 캠퍼스, 16 단과대학,
1 자유전공학부,
1 일반대학원, 10 전문대학원
웹사이트


개요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소재한 4년제 국립대학교이다. 종합대학으로서는 대한민국 최고 대학 학벌의 정점이라고 볼 수 있다.(카이스트나 포항공대가 여러 학과가 있기는 하지만(그중에서는 인문계 학부 등도 존재) 학과 등 대학 규모로 보면 온전한 종합대학이라고 보기는 좀 힘들다 공학 좀 비율이 크다. 서울대는 종합대학에서도 별의 별 학과가 다 있는 맘모스급대학이다.)

역사

1945년 10월 15일 경성제국대학(京城帝國大學, Keijo Imperial University)[1]을 서울대학교(Seoul University)로 개칭하였다.[2]

경성제국대학과 그 외 여러 대학을 1946년 서울대학교로 통합하고 개편한 것이 그 시초이다.

국립서울대학교안 반대운동(약칭 국대안 파동)

1946년 미군정은 국립서울대학교안을 발표했다. 이는 경성제국대학 및 경성치과대학, 경성의학전문학교, 경성공업전문학교, 경성경제전문학교 등 서울에 위치하던 수많은 국립 교육기관들을 통폐합하여 서울대학교로 개편하는 법안이었다. 그런데 이에 대해 각 학교의 재학생들은 자신의 학교가 최고학부로 편입되는 것이라 반대할 이유가 전혀 없었는데 좌익 세력들은 각 학교의 자율성이 침해받고 미군정에 의해 학교가 장악당한다는 이유를 들며 동맹휴학을 선동했다. 이에 따라 수 개월 동안 각 학교는 수업을 제대로 하지 못할 정도의 진통을 겪었는데 명분이 부족했던 이런 선동의 결과는 결국 미군정안의 수용이었다. 이러한 국대안 파동이 실패로 돌아간 이후 서울대학교 내 좌익세력의 주축이었던 경제학자 백남운 등은 월북한다.

6.25 남침 인민군의 서울대 병원 부상병ㆍ환자 대학살

1950년 6월 28일 서울을 점령한 인민군은 서울대병원에 난입해 입원 중이던 국군 부상병과 민간인 환자 1000명을 학살했다. 당시 서울대 사학과 교수 김성칠의 1950년 6월30일자 일기에도 “창경원 담 모퉁이를 돌아 대학병원 영안전 근처를 지나노라니 행인들이 옹기종기 모여 서서 철망 너머로 무엇을 들여다보면서 수군수군하고 있기에 호기심에 끌려서 그 옆으로 가보니 거적으로 아무렇게나 덮어둔 시체를 보고 그러는 것이고 그도 하나둘이 아니었다. 수군대는 사람들의 말을 들으면 인민군이 들어와서 대학병원에 들어 있는 국군 부상병들을 끌어내어 총살해버린 것이라 하니…”라는 증언이 실려 있다. (김성칠, 《역사 앞에서》)

국제법 위반 내용: 부상병 학살은 명백한 ‘전쟁범죄’

서울대병원 환자 학살은 로마규정 제8조가 규정하고 있는 ‘전쟁범죄’에 해당된다.

캠퍼스 분립 시기

국립서울대학교가 출범하면서 단과대학별 캠퍼스는 종전 연고에 따라 서울 시내 각지에 분산되어 있었다. 학생과 교수들도 소속 단과대에 따라 위치가 제각각인 캠퍼스에서 학교를 다녀 같은 대학 소속이라는 느낌도 희박했다. 전교생이 한 자리에 모이는 일은 대학본부가 있는 문리과대학 운동장에서 열리는 입학식과 졸업식 뿐이었다.

  • 대학본부와 문리과대학 : 종로구 동숭동 (대학로 현 서울의대 동쪽 맞은 편.)
(본부 건물만 보존되어 있고, 문리대 건물은 없어짐. 대학로라는 도로명은 당시에는 없었고, 이전 후에 생김.)
  • 법과대학 : 종로구 이화동
  • 의과대학 : 종로구 연건동 현위치 그대로임.
  • 치과대학 : 의과대 캠퍼스
  • 약학대학 : 의과대 캠퍼스
  • 미술대학 : 의과대학 남쪽편
  • 사범대학 : 동대문구 제기동
  • 가정대학 : 사범대 캠퍼스
  • 공과대학 : 성북구(당시 소속구) 공릉동
  • 상과대학 : 성북구 종암동
  • 음악대학 : 을지로
  • 농과대학 : 수원

캠퍼스가 단과대학별로 분리되어 소속 학생들간에 동창이라는 느낌도 거의 갖지 못한 채 졸업하는 폐단을 줄이기 위해 1960년대 후반 공릉동 공과대학 캠퍼스에 교양과정부를 설치하고, 1학년 학생들을 대부분 수용하여 계열별로 학과구분없이 반을 편성하여 1년간 교양과목 강의를 듣도록 하였다.

관악산 종합 캠퍼스로 이전

1970년대 초 현재 서울대가 위치한 관악산에 종합 캠퍼스 터를 잡고 캠퍼스 종합화 마스터 플랜을 세우게 된다. 원래는 골프장이 있던 곳이었고, 당시는 서울 시내에서 상당히 먼 외진 곳이라 논란이 많았다. 그 무렵에는 학생들의 반정부 시위가 잦았던 때라 데모를 막기 위해 일부러 외진 곳으로 보낸다는 비판도 받았다. 그런 목적이 실제로 있었는지는 모르나 시내 중심가 가까운 곳에 넓은 터를 확보하기가 거의 불가능한 것도 사실이었다.

관악 캠퍼스가 일부 완공되어 1975년 봄 대학본부, 문리대, 법대, 상대, 사범대, 가정대, 약대 등이 먼저 이전하고, 이어 다른 단과대학들도 건물이 완공되는대로 차차 이전하게 된다. 의과대학과 농과대학은 아직도 옛날 캠퍼스에 그대로 있다. 문리대는 관악산으로 이전하면서 인문대, 사회대, 자연대의 3개 단과대학으로 분리되었다. 일부 단과대학과 학과의 개편도 있었다.


정치적인 행보

국립대학교인 서울대가 대한민국 최고 학부라는 명성에 걸맞지 않게 정치관과 연관된 비리논란이 불거지면서 학교의 명성을 끌어 내렸다.

박원순 딸 미대에서 법대 전과 특혜

국토교통위원회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송언석 자유한국당 의원은 박시장의딸 의혹을 제기했다.[3]

서울시장 박원순의 딸 미대에서 법대 전과 특혜가 불거졌는데 박원순은 딸의 서울 법대 전과 논란이 거론되자 “무책임하고 비열한 행위”라며 반박했다.

  • 학점, 면접점수 등 박원순 시장 딸의 서울대 법대 전과 논란과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아들의 서울시 청소년참여위원회 참여 의혹을 연관 지어 언급했다.
  • 조 전 장관은 박 시장과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부소장을 할 때 같이 근무했고 개인적으로도 친하다고 알려져 있다.
  • 박 시장 딸이 서울대 미대에서 법대로 전과하는데 논란이 있었고 조 장관 아들도 청소년참여위 부실 참여 의혹이 있다
  • 박 시장 딸은 평균 학점이 4.3만점에 3.68점이었다. 면접 점수도 20점 만점에 16점이다.
  • 학장 추천 여부도 불분명하다. 인터넷에 여러 보도가 있다. 조 전 장관 아들도 2013년 서울시 청소년참여위에 서류에서 탈락하고 이후 추가 모집 공고에 4명 지원해 선정됐다고 이후 19차례 회의에 무려 15번 불참했으나 (서울시는) 해촉하지 않았다. 서명도 달라 대리 출석 의혹도 있다.


조국의 1심선고 후에도 교수직 인정

2023년 2월 자녀 입시비리 혐의 등으로 기소된 지 3년6개월 만에 1심 판결이 나왔다. 이를 핑계로 조국의 징계절차를 미뤄 온 서울대는 4개월간의 기나긴 논의를 거쳐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단다. 국민이 보면 쉽게 판결할 수 있는 제판을 문재인의 똘마니 김명수 사법부나 국립대학교 서울대나 조국재판은 정치적결정을 내리기 어려웠단 비판이다.[4]

그는 법대 교수로서 강의를 하지않는데도 꼬박꼬박 급여를 받은것으로 알려지면서 조국은 물론 이를 공정하게 판단해야할 국립대가 그를 두둔했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럽다.


이재명, 부산대에서 서울대까지 헬기특혜 논란

이재명의 목부위 피습(?)으로 헬기로 부산대응급센터로 이동했으나 알수 없는 이유로 다시 서울대까지 헬기로 이동하면서 특혜 논란이 일었다. 응급구조 시스템상 환자나 환자의 가족 요구대로 자신이 원하는 병원으로 이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서울대병원으로 이송한 후 서울대 의료진은 응급조치(?)를 취한 후 예정된 브리핑을 돌연 취소하는 일을 벌였다. 비슷한 사건이 박근혜비대위원장 테러사건, 마크 리퍼트 테러사건 때도 집도한 병원측에서 상세 설명을 한 바 있었다. 비판이 일어나자 이틀만에 기자들 앞에서 브리핑을 하였으나 일체의 질문은 받지 않겠다고 하고 퇴장하였다. 이에 기자들이 일방적인 발표를 하려면 브리핑은 왜하냐는 불만이 나오자 잠시 난감해 하더니 잠시 협의하더니 결국 질문은 받겠다. 질문은 서면으로 주시면 답하겠다는 코미디같은 말을 하고 사라졌다. 여기가 바로 그 서울대가 맞나 싶을 정도다.[5]


서울대병원의 이상한 브리핑과 부산대병원 비하 논란

어쩔수 없이 이틀만에 브리핑을 진행한 서울대병원측의 집도의는 이재명 대표님이라며 깍듯이 '님'자를 붙이며 설명을 읽어내려 갔다.

서울대 의료진은 응급조치?를 취한 후 에도 브리핑을 돌연 취소하는 일을 벌였다. 비판이 일어나자 이틀만에 브리핑을 하였는데 담당의 민승기 교수는 준비한 원고만 읽고 일체의 질문을 받지 않겠다면서 퇴장하였다. 상처보위가 좌상이니 열상이니 말이나오는 상황에서 나온 서울대의 이상한 행태로 의문이 많던터라 말대로라면 (이 대표 수술에) 경험이 많은 혈관외과 의사의 수술이 꼭 필요한 상황이었다고 한것이다. 설명대로 라면 부산대병원에 고난도의 내경정맥 손상을 수술할 의료진이 없어 부산대병원의 전원 요청으로 이 대표를 서울대병원으로 이송해 수술을 하게 됐다는 이야기가 된다.[6]

전국 광역단체 의사회에서는 이재명의 내로남불 헬기 특혜 이송 논란에 이어 지역 의료 비하로 발전하며 비난 성명을 발표했다. 심지어 전라북도의사회에서도 동참하고 있다. 또한 이재명과 핵심 당직자들을 형사고발까지 하겠다고 밝혔다.[7][8] 4월 9일 현재 17개 광역자치단체중 충청남북도, 전라남도, 제주도를 제외한 14개 광역자치단체 의사회에서 비난 성명을 밝표하였다.

학부

  • 인문대학
    • 국어국문학과
    • 중어중문학과
    • 영어영문학과
    • 불어불문학과
    • 독어독문학과
    • 노어노문학과
    • 서어서문학과
    • 언어학과
    • 아시아언어문명학부
    • 국사학과
    • 동양사학과
    • 서양사학과
    • 고고미술사학과
    • 철학과
    • 종교학과
    • 미학과
  • 사회과학대학
    • 정치외교학부
    • 경제학부
    • 사회학과
    • 인류학과
    • 심리학과
    • 지리학과
    • 사회복지학과
    • 언론정보학과
  • 자유전공학부
  • 농업생명과학대학
    • 농경제사회학부
    • 식물생산과학부
    • 산림과학부
    • 식품동물생명공학부
    • 응용생물화학부
    • 바이오시스템소재학부
    •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공과대학
    • 건설환경공학부
    • 기계공학부
    • 재료공학부
    • 전기정보공학부
    • 컴퓨터공학부
    • 화학생물공학부
    • 건축학과
    • 산업공학과
    • 에너지자원공학과
    • 원자핵공학과
    • 조선해양공학과
    • 항공우주공학과
  • 사범대학
    • 교육학과
    • 국어교육과
    • 영어교육과
    • 불어교육과
    • 독어교육과
    • 사회교육과
    • 역사교육과
    • 지리교육과
    • 윤리교육과
    • 수학교육과
    • 물리교육과
    • 화학교육과
    • 생물교육과
    • 지구과학교육과
    • 체육교육과
  • 생활과학대학
    • 소비자아동학부
    • 식품영양학과
    • 의류학과
  • 음악대학
  • 미술대학
  • 수의과대학
  • 의과대학
  • 약학대학
  • 간호대학
  • 치의학대학원


대학 순위

국제 순위 국내 순위 대학
29 1 서울대학교
42 2 한국과학기술원
71 3 포항공과대학교
73 4 연세대학교
74 5 고려대학교
99 6 성균관대학교
157 7 한양대학교
197 8 울산과학기술원
270 9 경희대학교
288 10 광주과학기술원
346 11 이화여자대학교
392 12 중앙대학교
410 13 한국외국어대학교
457 14 서강대학교
481 15 동국대학교
488 16 아주대학교
494 17 가톨릭대학교
501-510 18 경북대학교
531-540 19 인하대학교
551-560 20 전북대학교
세종대학교
561-570 22 울산대학교
571-580 23 한림대학교
591-600 24 성신여자대학교
601-650 25 부산대학교
651-700 26 건국대학교
751-800 27 전남대학교
충남대학교
단국대학교
801-1000 30 서울시립대학교
영남대학교
1001-1200 32 충북대학교
제주대학교
강원대학교
국민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1201-1400 38 홍익대학교
부경대학교
숭실대학교
영산대학교

상징물

상징물 이미지 설명
월계관 about-symbol-bi-crown_lg.png 경기의 승리나 학문 등의 업적에서 명예와 영광을 상징하며, 으뜸가는 학문적 영예의 전당으로서의 서울대학교를 의미한다.
펜과 횃불 about-symbol-bi-pen_lg.png 지식의 탐구를 통해 겨레의 길을 밝히는 데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나타낸다.
VERITAS LUX MEA about-symbol-bi-word_lg.png 펼쳐진 책에는 라틴어 'VERITAS LUX MEA'가 적혀있고 이는 '진리는 나의 빛'을 의미한다.
교문의 심볼 about-symbol-bi-gate_lg.png 국립서울대의 머리글자인 'ㄱㅅㄷ'를 상징하는 교문의 심볼이 더해져, 학문과 진리 탐구를 통해 겨레와 함께 미래로 도약하려는 서울대학교의 의지가 함께 담겨있는 문장이다.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 70년사 1946 - 2016
서울대학교 70년사 부록 (1946 - 2016)

관련 문서

각주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