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대외적으로 특히 중국상대로는 왕을 칭하고, 내부에서는 황제로서 칭하는 체재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베트남이 이랬다. 고려가 외왕내제를 했다는 썰이 있는데, 금석문을 보면 황제보다는 왕이나 대왕이라는 호칭이 더 많이 보인다. 황제와 왕은 사실 따지고 보면 굉장히 세세한 것 까지 용어나 형식이 다르다. 유교의 특징인데 황제가 만세라면, 왕은 천세고...)
 
편집 요약 없음
12번째 줄: 12번째 줄:


고려는 이런 것을 구분하지 않고 수입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왕과 황제의 격식을 엄격하게 구분하는 지금의 기준으로 고려를 보면 마치 고려가 황제로 칭한 것처럼 보이게 되는 것이다.
고려는 이런 것을 구분하지 않고 수입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왕과 황제의 격식을 엄격하게 구분하는 지금의 기준으로 고려를 보면 마치 고려가 황제로 칭한 것처럼 보이게 되는 것이다.
연호도 쓴 기간이 얼마 되지도 않는데, 이걸 엄격하게 구분한 건 조선시대 와서다. 실록을 보면 세종 때도 세종과 신하들이 왕과 황제의 격식이 뭐가 다른지 서로 토의하고 그러는 내용이 나온다.

2024년 2월 26일 (월) 05:26 판

대외적으로 특히 중국상대로는 왕을 칭하고, 내부에서는 황제로서 칭하는 체재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베트남이 이랬다. 고려가 외왕내제를 했다는 썰이 있는데, 금석문을 보면 황제보다는 왕이나 대왕이라는 호칭이 더 많이 보인다.


황제와 왕은 사실 따지고 보면 굉장히 세세한 것 까지 용어나 형식이 다르다. 유교의 특징인데


황제가 만세라면, 왕은 천세고 궁의 대문도 왕이 3개의 문이라면, 황제는 5개다. 의식주 별의 별 것이 다 다른데,


고려는 이런 것을 구분하지 않고 수입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왕과 황제의 격식을 엄격하게 구분하는 지금의 기준으로 고려를 보면 마치 고려가 황제로 칭한 것처럼 보이게 되는 것이다.

연호도 쓴 기간이 얼마 되지도 않는데, 이걸 엄격하게 구분한 건 조선시대 와서다. 실록을 보면 세종 때도 세종과 신하들이 왕과 황제의 격식이 뭐가 다른지 서로 토의하고 그러는 내용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