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李承晩, 1875년 4월 18일 (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은 조선대한제국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다. 본관은 전주.

대한제국 시절 협성회 회보독립신문 주필, 교육계몽운동으로는 독립협회 활동 등을 하면서, 왕정 폐지와 공화국 수립을 도모하였다는 반역의 죄목으로 옥살이를 하였으며, 수감 시절 개신교로 개종하고(어린시절 불교 집안에서 태어났고 개종 전까지 불교였다), 독립정신을 저술하였다. 대한제국 말기 사면된 후 밀사로 도미하였다가 실패했다고 알려져 왔으나, 최근 당시 이승만은 대한제국 정부나 황제의 대리인이 아니라 일진회의 대리인이라고 자칭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고 이후 하와이에서 한인학원과 한인학교 등을 운영하였다. 일제 강점기에는 독립운동 방법을 놓고 의견이 갈라섰을 때 그는 국내의 사정을 외국에 알리고 양해를 구하는 외교독립론을 주장하였다.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국무총리, 한성 임시정부와 각지에서 수립된 임시정부의 수반을 거쳐 1919년 9월 11일부터 1925년 3월 23일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직을 역임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위원장, 국무위원회 외교위원 등을 역임했다. 주로 미국에서 외교 중심의 독립운동을 벌였다. 1933년 3월 6일의 제25회 임시 의정원 회의에서 무임소 국무위원에 보궐 당선되었다.[2] 이후 1933년 11월에 다시 임시정부 국무위원에 선임되고 1934년 4월 2일에는 임정 외교위원에 선임되었다. 일제 강점기 중반에는 미국스위스 등을 무대로 조선의 독립을 호소하는 한편 일본내막기(Japan Inside Out 역서-일본, 그 가면의 실체)를 저술하는 등 일본의 미국 침략을 경고하였으며 태평양 전쟁 이후 미군 OSS와 임시정부 간의 연결을 주선하였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는 미국 체신청에서 발행한 태극기 모양 우표 발행에 크게 기여했으며, 항일 단파 라디오 방송 연설 등에도 참여하였다. 1945년 해방 후 조선인민공화국주석에 추대되었으나, 귀국 후 거절하였다.

1945년 12월부터 김구·조소앙·김성수 등과 함께 신탁통치 반대운동을 주도하였으며, 반공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의 남한단독정부 수립을 지지, 추진하였다. 대한민국 초대 국회의장을 역임하였다. 대통령 임기중 의무교육으로 문맹율을 획기적으로 낮추었고, 농지개혁을 통해 소작농을 자작농으로 전환시켜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 6.25전쟁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침공으로부터 대한민국적화통일을 막아냈고,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하여 이후 대한민국 번영과 한미동맹의 발판을 마련했다. 1952년 부산정치파동에 따른 대통령직선제 발췌개헌과 1954년 대통령 연임제한 폐지와 국가주의경제조항을 시장경제조항으로 바꾸는 사사오입 개헌 등 민주적 절차를 흠결한 두 차례 헌법 개정으로 대통령을 3회 역임하였다. 1960년에 4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3.15 부정선거로 촉발된 4·19 혁명에 의해 부정선거의 책임을 지고 대통령직에서 물러났고, 미국 하와이로 망명하여 그곳에서 사망하였다. 장례는 대한민국에서 가족장으로 집행되었으며,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1949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받았다.

  1. ‘이승만 고종 밀사설’ 깨졌다 한겨레신문 2011년 8월 21일.
  2. 이현희, 《광복 전후사의 재인식》 (범우사, 1991) 21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