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번째 줄: 39번째 줄:


* 중국 고전에서의 자유
* 중국 고전에서의 자유
[https://www.korean.go.kr/nkview/nklife/2001_1/2001_0109.pdf ‘自由’의 의미 확대]에서처럼 '자유'가 맹자, 후한서등에서 인용되었다는 논문과 글들이 퍼져 있음에도 위에서 처럼 시경, 논어, 맹자,장자등에서 '자유'라는 단어가 실제로는 나오지 않았다.
[https://www.korean.go.kr/nkview/nklife/2001_1/2001_0109.pdf ‘自由’의 의미 확대]에서처럼 '자유'가 맹자, 후한서등에서 인용되었다는 논문과 글들이 퍼져 있음에도 위에서 처럼 시경, 논어, 맹자,장자등에서 '자유'라는 단어가 실제로는 나오지 않았다. 놀라웠다.
{{인용문|
{{인용문|
  ‘자유’는 중국의 고전에서 본래 ‘가치성이 없는 행동’을 뜻한 말이었다. 그러한 실례로서 鈴木修次(1981:138-140)는 후한 말 건안(建安, 196-219)연간에 태어난 장편 민가(民歌) ‘초중경 처(焦仲卿妻)’의 첫머리 부분, 佐藤亨는 佐藤喜代治 편(1983, 語誌Ⅱ:212, ‘自由’)에서 맹자(孟子), 후한서(後漢書)’ 등에 쓰인 ‘자유’를 인용하고 있다. 후대로 내려오면서 ‘자유’는 오히려‘느긋한 마음의 상태’처럼 ‘가치 있는 행위’로 의미가 전환되기도 하였다. 鈴木修次(1981:140-144)는 두보(杜甫, 712-770)의 시(詩), 북송대(北宋代)의 선(禪) 교과서인 벽암록(碧巖錄)1) 등에 그러한 의미로 해석되는 ‘자유’를예시하고 있다. 말하자면 ‘자유’는 ‘가치성이 없는 행동’과 ‘가치성을 가진 행동’을 다 함께 나타내는 말이었다.
  ‘자유’는 중국의 고전에서 본래 ‘가치성이 없는 행동’을 뜻한 말이었다. 그러한 실례로서 鈴木修次(1981:138-140)는 후한 말 건안(建安, 196-219)연간에 태어난 장편 민가(民歌) ‘초중경 처(焦仲卿妻)’의 첫머리 부분, 佐藤亨는 佐藤喜代治 편(1983, 語誌Ⅱ:212, ‘自由’)에서 '''맹자(孟子), 후한서(後漢書)’ 등에 쓰인 ‘자유’를 인용하고 있다.''' 후대로 내려오면서 ‘자유’는 오히려‘느긋한 마음의 상태’처럼 ‘가치 있는 행위’로 의미가 전환되기도 하였다. 鈴木修次(1981:140-144)는 두보(杜甫, 712-770)의 시(詩), 북송대(北宋代)의 선(禪) 교과서인 벽암록(碧巖錄)1) 등에 그러한 의미로 해석되는 ‘자유’를예시하고 있다. 말하자면 ‘자유’는 ‘가치성이 없는 행동’과 ‘가치성을 가진 행동’을 다 함께 나타내는 말이었다.
개화기를 거치는 동안 ‘자유’에는 다시 위와 같은 전통적 의미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개념의 의미가 추가되었다. 영어의 freedom이나 liberty와 같은 서구식 개념의 ‘자유’를 수용하기 위하여 고래의 한자어 ‘자유’를 전용한 결과였다. 이처럼 오늘날의 ‘자유’는 과거의 전통적 의미에 새로운 의미가 추가되면서, 의미의 확대를 겪은 결과로 해석된다. }}
개화기를 거치는 동안 ‘자유’에는 다시 위와 같은 전통적 의미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개념의 의미가 추가되었다. 영어의 freedom이나 liberty와 같은 서구식 개념의 ‘자유’를 수용하기 위하여 고래의 한자어 ‘자유’를 전용한 결과였다. 이처럼 오늘날의 ‘자유’는 과거의 전통적 의미에 새로운 의미가 추가되면서, 의미의 확대를 겪은 결과로 해석된다. }}
과거에서 본 고전과 지금 남아 있는 고전이 다름인가? 아니면 시중에 잘못 유통되고 있는 상식인가? 학자분께서 힌트를 주시길 바랍니다.
과거에서 본 고전과 지금 남아 있는 고전이 다름인가? 아니면 시중에 잘못 유통되고 있는 상식인가? 학자분께서 힌트를 주시길 바랍니다.

2019년 7월 4일 (목) 17:52 판

자유는 서양 민주공화제에서의 freedom을 일본인들이 한자를 사용하여서 번역하였다. 예외적으로 자유라는 한자어는 중국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고 일본에서 유래하였다. 번역자는 알 수 없다.


자는 스스로 자이고; 유는 말미암을 또는 유래할 유이다. 자는 자기자신을 의미하므로 뜻을 알 수 있으나 유는 알기 어렵다. 인터넷의 도입이후에 지식세계에 혁명적인 변화가 왔는데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유는 나뭇가지에 열매가 달려있는 모습을 나타낸 그림문자 또는 상형문자라고 한다. "스스로"; 자기 자신이라고 불리우는 "나무"에서; 생각 또는 생각에 기인한 행동이라는 "열매"를 맺는다는 의미로도 풀이 할 수 있다.

20세기 현대영어에서의 자유는 흔히 freedom from으로서 억압 또는 간섭으로 부터의 자유라는 뜻으로 이해하게 된다. 그러나 19세기에 일본인들이 이해하고 한자로 번역한 자유는 18-19세기의 고전적인 자유주의자들이 의미하는 자유 즉 freedom for 로 열매를 맺기 위한 자유였다고 이해해 볼 수 있다.

자유의 유래

- 이동욱 기자의 '자유란 무엇인가?'를 보면 일본 번주가 네덜란드어 사전을 만드면서 자유를 '자유자재'등에서 한자 문화권의 개념에서 가져 왔다고 한다. 1810년대에 이미 번역을 한 것으로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 1850년대 보다 더 앞서서 번역어를 만든 것이라 한다.

한국 고전에도 쓰인 '自由'

'自由'라는 단어는 신라말 최치원의 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에도 나온다.

海鷗 : 桂苑筆耕集卷之二十 / 詩[1]
慢隨花浪飄飄然。輕擺毛衣眞水仙。出沒自由塵外境。往來 缺二字[‘何妨’] 洞中天。稻粱滋味好不識。風月性靈深可憐。想得漆園蝴蝶夢。只應知我對君眠。

바다 갈매기〔海鷗〕: 계원필경집 제20권 / 시(詩)[2]
꽃잎 뜬 물결 따라 한가로이 나부끼다 / 慢隨花浪飄飄然
가볍게 털옷 터는 모습 진정 수선일세 / 輕擺毛衣眞水仙
세상 밖을 벗어나서 마음대로 출몰하니 / 出沒自由塵外境
신선 세계 왕래도 무슨 어려움 있겠는가 / 往來何妨洞中天
도량의 맛있는 먹이도 거들떠보지 않는 / 稻粱滋味好不識
풍월과 같은 그 내면이 정말 어여뻐라 / 風月性靈深可憐
생각하면 칠원의 호접몽이라는 것도 / 想得漆園蝴蝶夢

내가 너를 부러워하다 졸았던 것임을 알겠도다 / 只應知我對君眠


한국고전번역원에서 검색해보면 '自由'나 그 반대 의미의 '不自由'라는 말은 고려나 조선시대 문집에서도 흔하게 쓰였다. 일본에서도 일찍부터 이 단어가 쓰였을 것같다. 최치원은 어릴 때 당나라에 유학하여 과거에 급제하고 당나라 관직에도 있었던 사람이므로 '自由'라는 말은 당나라에서도 쓰였을 것이다. 다만 의미는 '마음대로 한다'는 정도로 오늘날의 'freedom'의 의미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는 않은 것 같다.

'自由'라는 단어 자체는 현대에 와서 'freedom'의 번역어로 처음 쓰이기 시작한 것은 아니다. 오늘날의 정치적 자유에 해당하는 개념은 옛날에는 없었던 것으로, 현대에 와서 '自由'라는 단어의 의미가 과거보다 좀 더 정치적으로 확장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자 문화권에서의 자유

  • (시경, 논어 , 장자, 맹자 등에 나오는 단어 '자유자재'에서 파생된 단어이기에 중국은 물론 한자 문화권인 한국과 일본 모두 학자들이라면 알고들 있는 단어라고 봄이 바람직하다. ) --> 시경, 논어 , 장자, 맹자 등에는 '자유' 또는 '자유자재'라는 말이 나오지 않음.[3][4]
  • 중국 고전에서의 자유

‘自由’의 의미 확대에서처럼 '자유'가 맹자, 후한서등에서 인용되었다는 논문과 글들이 퍼져 있음에도 위에서 처럼 시경, 논어, 맹자,장자등에서 '자유'라는 단어가 실제로는 나오지 않았다. 놀라웠다.

‘자유’는 중국의 고전에서 본래 ‘가치성이 없는 행동’을 뜻한 말이었다. 그러한 실례로서 鈴木修次(1981:138-140)는 후한 말 건안(建安, 196-219)연간에 태어난 장편 민가(民歌) ‘초중경 처(焦仲卿妻)’의 첫머리 부분, 佐藤亨는 佐藤喜代治 편(1983, 語誌Ⅱ:212, ‘自由’)에서 맹자(孟子), 후한서(後漢書)’ 등에 쓰인 ‘자유’를 인용하고 있다. 후대로 내려오면서 ‘자유’는 오히려‘느긋한 마음의 상태’처럼 ‘가치 있는 행위’로 의미가 전환되기도 하였다. 鈴木修次(1981:140-144)는 두보(杜甫, 712-770)의 시(詩), 북송대(北宋代)의 선(禪) 교과서인 벽암록(碧巖錄)1) 등에 그러한 의미로 해석되는 ‘자유’를예시하고 있다. 말하자면 ‘자유’는 ‘가치성이 없는 행동’과 ‘가치성을 가진 행동’을 다 함께 나타내는 말이었다. 개화기를 거치는 동안 ‘자유’에는 다시 위와 같은 전통적 의미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개념의 의미가 추가되었다. 영어의 freedom이나 liberty와 같은 서구식 개념의 ‘자유’를 수용하기 위하여 고래의 한자어 ‘자유’를 전용한 결과였다. 이처럼 오늘날의 ‘자유’는 과거의 전통적 의미에 새로운 의미가 추가되면서, 의미의 확대를 겪은 결과로 해석된다.

과거에서 본 고전과 지금 남아 있는 고전이 다름인가? 아니면 시중에 잘못 유통되고 있는 상식인가? 학자분께서 힌트를 주시길 바랍니다.

일본, 번역어의 성립

일본에서 번역어의 성립과정에 대한 책으로 번역어의 출생의 비밀과 당시 일본인들이 왜 어떻게 어떤 이유로 번역어를 만들었는가 알아보는 책이라고 한다.

일본어의 번역어 성립 ,야나부 아키라 지음, 김옥희 옮김, 마음산책 2011년 11월 05일 출간.[5]

책 속으로

일본에는 society에 해당하는 고유어가 없었다. 하지만 일단 ‘사회’라는 번역어가 생겨나자, 사람들은 그 단어에 담긴 의미에 대한 책임을 면제받기라도 한 것처럼 society와 기계적인 치환이 가능한 단어로서 ‘사회’를 쓸 수 있게 되었다. -24쪽에서 일단 단어가 만들어지면, 사람들은 그 단어의 뜻이 명확하지 않으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 법이다. 모든 말에는 당연히 명확한 뜻이 담겨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 어쩌면 잘 모르기 때문에 오히려 남용되는 경향이 있는지도 모른다. -36쪽에서 일본은 일관되게 번역을 통해 선진 문화를 받아들인 나라다. 번역되어야 할 선진 문명의 단어에는 반드시 ‘평이한 일본어’로는 표현이 불가능한 의미가 있게 마련이다. 중요한 단어일수록 더 그렇다. -48쪽에서 어떤 말을 증오하거나 동경하거나 할 때, 사람들은 그 말의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 아니다. 거꾸로 말이 사람을 지배하고, 사람이 말에 이용당한다. 가치를 부여하며 바라봄으로써 그만큼 말에 휘둘리는 것이다. -58쪽에서 번역어 성립의 역사에 대해 고찰할 때, 나는 번역어를 단순히 말의 문제로만 보고 사전적인 의미만을 따르는 방식을 취하지 않을 생각이다. 말을 인간과의 관계 속에 두고 문화적인 사건의 요소라는 측면에서 생각해나가고자 한다. -59쪽에서 ‘자유’를 지지하는 문명개화파에게 ‘자유’란 무엇일까? (…) 물론 liberty는 아니다. 예전부터 일상적으로 써온 ‘자유’도 아니다. 하지만 어쨌든 ‘바다를 건너’ 들어온 고마운 것이다. (…) 어쨌거나 좋은 것이라는 선입견을 갖고 있다. 이에 반대하는 보수파 쪽도 ‘자유’라는 말의 의미를 ‘제멋대로’로 이해하고 있다. 예전부터 써온 일상어의 뜻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만은 아니다. (…) 들어본 적도 없는 한자어”라고 하면서, 어쨌거나 나쁜 말이라는 인식을 드러낸다. 전통적인 일상어의 뜻에 부정적인 의미에서의 ‘카세트 효과’가 발생한 셈이다.

-187쪽에서


참고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