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번째 줄: 26번째 줄:
* [[:분류:만주국군월보|만주국군월보(満洲国軍月報)]] : 김일성(金日成)과 최현(崔賢) 관련 부분 발췌
* [[:분류:만주국군월보|만주국군월보(満洲国軍月報)]] : 김일성(金日成)과 최현(崔賢) 관련 부분 발췌


[[:파일:1938-02-만주국군월보.pdf|1938년 2월 만주국군월보(満洲国軍月報)]]<ref>[https://www.jacar.archives.go.jp/aj/meta/image_C01003345600 標題:満洲国軍月報送付の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01003345600、昭和13年「満受大日記 (密)」(防衛省防衛研究所)」</ref>에 의하면 [[동북항일연군]] 4사(師) 1단장(團長) 최현은 1938년 2월 4일 몽강현(濛江縣) 협피구(夾皮溝)-갑립자(甲砬子) 근처에서 사살되었다. 몽강현은 오늘날 [[동북항일연군]] 1로군 총사령이었던 [https://en.wikipedia.org/wiki/Yang_Jingyu 양정우(楊靖宇, 1905~1940.02.23)]의 이름을 따서 정우현(靖宇縣)으로 개칭되었다.
[[:파일:1938-02-만주국군월보.pdf|1938년 2월 만주국군월보(満洲国軍月報)]]<ref>[https://www.jacar.archives.go.jp/aj/meta/image_C01003345600 標題:満洲国軍月報送付の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01003345600、昭和13年「満受大日記 (密)」(防衛省防衛研究所)」</ref>에 의하면 [[동북항일연군]] 4사(師) 1단장(團長) 최현은 2월 4일 몽강현(濛江縣) 협피구(夾皮溝)-갑립자(甲砬子) 근처에서 사살되었다. 몽강현은 오늘날 [[동북항일연군]] 1로군 총사령이었던 [https://en.wikipedia.org/wiki/Yang_Jingyu 양정우(楊靖宇, 1905~1940.02.23)]의 이름을 따서 정우현(靖宇縣)으로 개칭되었다.


월별로 [[:분류:만주국군월보|만주국군월보(満洲国軍月報)]]에 나오는 김일성과 최현 관련 주요 내용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월별로 [[:분류:만주국군월보|만주국군월보(満洲国軍月報)]]에 나오는 김일성과 최현 관련 주요 내용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2019년 11월 11일 (월) 11:25 판

최현(崔賢, 1907~1982)은 해방 전 만주 동북항일연군과 소련군 88여단 출신으로, 김일성의 동료였으며, 해방 후 북한 김일성 정권의 핵심 권력실세였다. 김정일을 후계자로 옹립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여 북한 김씨 세습 왕조 확립의 일등 공신이 되었다. 그 덕택으로 아들 최룡해(崔龍海, 1950~ )김정일, 김정은 정권에서도 막강한 권력을 누리고 있다. 북한 핵 협상 대표로 자주 나선 외무성 부상 최선희도 출생상으로는 최현의 숨겨진 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어 있다.[1]

생애

최현(崔賢)도 전사했나?

북한의 최현은 보천보사건 전후로 6사장 김일성(1901? ~ 1937)과 함께 활동하던 동북항일연군 4사(師) 1단장(團長) 최현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라는 주장이 일찌기 이명영(李命英, 1928-2000)에 의해 제기된 바 있다. 북한의 김일성 뿐만 아니라 최현도 전사한 선배 지휘관과 같은 이름을 써서 남의 전공을 훔친 가짜라는 주장으로 크게 주목을 받지는 못했으나, 근래 최현을 사살한 당사자인 만주군이 이에 대해 기록한 문건이 발굴되어 이것이 사실임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가 되고 있다.

1938년 2월 23일자 매일신보 등은 공비 최현(共匪 崔賢)도 전사했다고 보도했다.[2] 이것이 사실이라면 최룡해(崔龍海, 1950~ )의 부친 최현(崔賢, 1907~1982)도 6사장 김일성과 같이 활동하던 최현과는 다른 사람이어야 한다. 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없고, 이명영(李命英, 1928-2000)의 『김일성 열전(金日成列傳)』 (新文化社, 1974)에서만 전사한 최현은 북한의 최현과는 다른 사람이라고 하였다.[3]

『만주 공산비의 연구(滿洲共産匪の硏究)』에는 동북항일연군 제2군 제1사 제1단 군수처장 최현이 소황구(小荒溝)의 각 가장(家長) 앞으로 보낸 협박장이 나오므로[4][5][6] 이 최현은 글을 쓸 줄 아는 사람으로 보인다.

소황구 (강연부터 최십가장 집까지) 각 가장 앞 : 小荒溝 (自江沿 至崔十家長家) 各家長 앞

너희 가장(家長)들은 내일 모레 이틀간에 옥수수, 콩, 팥등 계(計) 3석 5두(三石五斗)와 소금 10 (一○)근을 한 알도 덜하지 말고 완전 징수하여 소유천(小楡川)으로 송부하라. 이틀간에 도착하지 않으면 가차없이 징벌 당할 것이다.
제2군 제1사 제1단 군수처장 (第二軍 第一師 第一團 軍需處長)

최현(崔賢) (印)

반면에 북한의 최현은 학교 문턱에도 가 본 적이 없는 일자무식으로 알려져 있으므로[7] 다른 사람일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보천보사건 당시 동아일보 보도에 최현이 50세가 넘었다고 한 것도[8] 서로 다른 사람이라는 증거가 될 수 있다.

만주국군월보의 최현(崔賢) 사살 기록

만주국군월보(満洲国軍月報)는 만주국 각 군관구(軍管區)와 각 지역 헌병대(憲兵隊)에서 매월 작성해 올린 월보(月報)을 취합한 극비문건이다. 일본의 아시아 역사자료센터에 1937년 10월 ~ 1938년 2월과 1938년 6, 7월의 월보 전문이 올라 있다. 매 월보는 1,000 페이지가 넘는 방대한 분량인데, 그중 4사 1단장 최현과 관련된 부분은 제1군관구 월보(第一軍管區 月報)와 제1헌병대 월보(第一憲兵隊 月報)에 나온다.

1938년 2월 만주국군월보(満洲国軍月報)[9]에 의하면 동북항일연군 4사(師) 1단장(團長) 최현은 2월 4일 몽강현(濛江縣) 협피구(夾皮溝)-갑립자(甲砬子) 근처에서 사살되었다. 몽강현은 오늘날 동북항일연군 1로군 총사령이었던 양정우(楊靖宇, 1905~1940.02.23)의 이름을 따서 정우현(靖宇縣)으로 개칭되었다.

월별로 만주국군월보(満洲国軍月報)에 나오는 김일성과 최현 관련 주요 내용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작성연월 치안 상황 비적(匪賊) 조사표 비적 분포 요도(要圖)
1937.10 임강(臨江) 동부 김일성계비(金日成系匪) 200명
10월 27일 1로군 3사장 왕인재(王仁齋, 1906~1937) 전사.
김일성비 200명, 조잔비(曹殘匪) - 100명 김일성비 200, 조잔비(曹殘匪), 왕봉각(王鳳閣, 1897-1937) 잔당(殘黨)
1937.11 11월 13일 1로군 6사장 김일성(金日成)을 사살(擊斃). 김일성 잔당 100, 왕봉각 잔당 30 백두산 서쪽 김일성비 잔당 100, 집안(輯安) 서쪽 왕봉각 잔당
1937.12 보병 제6, 7단이 무송(撫松) 서남지구에서 토벌중.
지난달 북부 동변도에서 공산비단(共産匪團)의 거괴(巨魁) 김일성을 죽임(斃).
김일성 잔당(殘黨), 최현(崔賢) 부하 100명 김일성 잔비(殘匪), 최현 부하
1938.01 김일성은 사망(斃). 최위단(崔僞團), 조비잔당(曹匪殘黨), 김일성비 잔당 최단장(崔團長), 김잔비(金殘匪) 100, 조잔비(曹殘匪) 김잔비, 최단장, 조잔비
1938.02 2월 4일 1로군 4사 1단장 최현(崔賢) 사살 김(金)과 최비(崔匪) 잔당 150, 조잔당 백두산 서편 김잔당 150, 그 서편에 조잔당 등 200
1938.06 6월 29일 1로군 1사장 정빈(程斌, 1911~1951) 투항
통화성(通化省) : 김일성 잔당 김위사령비(金僞司令匪), 조위사령비(曹僞司令匪) 준동
최잔당(崔殘黨) 50명, 김일성 조국안(曹國安, 1900~1937) 잔당 200명 김일성 조국안 잔당. 동쪽 임참모장
1938.07 통화성 금천현(金川縣) 동남부 용강(龍崗)지대 김일성 잔당, 조비단 최현 잔당 60, 전주임, 임우성, 조위사령(曹僞司令) 김위사령(金僞司令) 조위사령 김위사령, 왕봉각 잔당, 최현 잔당

위에서 잔비(殘匪) 또는 잔당(殘黨)은 두목이 전사하고 남은 부하들의 집단을 가리킨다. 가짜 사령(僞司令), 가짜 단장(僞團長)등은 생존해 있는 두목을 비하해서 칭하는 말이다. 조잔비(曹殘匪)는 전사한 1로군 2사장 조국안(曹國安, 1900~1937)의 부하들이며, 6사장 김일성이 전사한 후부터 그의 부하들도 김일성 잔당이나 김잔비(金殘匪)로 칭하고 있다. 최단장(崔團長)은 최현(崔賢)이며, 1938년 2월 4일 그가 전사하자 남은 부하들을 최잔당(崔殘黨)이라 칭하고 있다.

각주

  1. [특종] 북한 외무성 미국국장 최선희는 최현의 숨겨진 딸 리버티 코리아 포스트 2019.01.11
  2. 共匪 崔賢一黨 潰滅, 對岸治安 明朗化 매일신보(每日申報) 1938/02/23, 2면
    撫松縣(무송현)에 반거 共匪(공비)두목 崔賢 사망설 만주국군의 일파 궤멸 조선일보 1938.02.23 석간 2 면
    匪首崔賢의 末路 경성일보(京城日報) 1938年 2月 23日 (22日 夕刊) 2面
  3. 최현(崔賢)도 전사했다는 보도가 다수 있고, 북한의 최현(1907~1982)과는 다른 사람이라는 주장이 있다.
    이명영(李命英, 1928-2000), 진위 김일성 열전 (39) 6사장 김일성의 죽음(하) 중앙일보 1974.07.10 종합 3면
    이명영(李命英, 1928-2000), 『김일성 열전(金日成 列傳)』(新文化社, 1974) p.292
  4. 이명영(李命英, 1928-2000)]의 『김일성 열전(金日成列傳)』 (新文化社, 1974) p.215
  5. 서대숙(徐大肅) 지음; 현대사연구회 옮김,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연구』 (대구: 화다출판사, 1985) p.255 : Dae-Sook Suh, The Korean Communist Movement 1918-1948. (Princeton Univ. Press, 1967)의 번역.
  6. 『만주 공산비의 연구(滿洲共産匪の硏究)』 (滿洲國軍事顧問部 編, 1937) p.213
  7. 진실을알자 - 김일성-김정일 시대에 절대적 충신이었던 최현 Free NK Aug 30, 2014
  8. 장백밀림(長白密林)을 근거로 국경선(國境線)에 출몰 동아일보 1937-06-08 조간 2면]
  9. 標題:満洲国軍月報送付の件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Ref.C01003345600、昭和13年「満受大日記 (密)」(防衛省防衛研究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