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번째 줄: 103번째 줄:
이와같은 사례들로 볼 때 토성으로 기록하는 근거가 된 "옛 문적(古籍)"이라는 것이 대부분 고려초가 아니라 고려말에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말에는 3년마다 한번씩 호적을 작성하게 했다는데, 몇 10년 정도 지나면 호적도 여러 차례 작성한 셈이 되므로 조선초의 세종실록 지리지에 고려말의 호적도 충분히 "옛 문적(古籍)"이라 부를만했을 것이다. 더구나 왕조가 바뀌었으니 전왕조 때 작성된 문건은 고려말의 것이라도 옛문적이라고 칭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각 지역의 토성으로 나오는 성씨의 본관이 반드시 그 지역이라고 볼 수 없다는 강력한 증거가 아닌가 한다. 주기적으로 작성되는 호적을 고려초부터 수백년간 보존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고, 수십년전 작성한 호적을 "옛 문적(古籍)"이라 해도 크게 이상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고려말 작성된 호적 원본이 현존하는 것은 이태조 호적 하나 뿐인데, 고려초에 작성된 관청 기록이 1400년대까지 전해진 것도 거의 없다고 보아야할 것이다. 사정이 이렇다면 각 지역의 토성이 그 지역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라는 주장은 거의 신빙성이 없어진다.
이와같은 사례들로 볼 때 토성으로 기록하는 근거가 된 "옛 문적(古籍)"이라는 것이 대부분 고려초가 아니라 고려말에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말에는 3년마다 한번씩 호적을 작성하게 했다는데, 몇 10년 정도 지나면 호적도 여러 차례 작성한 셈이 되므로 조선초의 세종실록 지리지에 고려말의 호적도 충분히 "옛 문적(古籍)"이라 부를만했을 것이다. 더구나 왕조가 바뀌었으니 전왕조 때 작성된 문건은 고려말의 것이라도 옛문적이라고 칭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각 지역의 토성으로 나오는 성씨의 본관이 반드시 그 지역이라고 볼 수 없다는 강력한 증거가 아닌가 한다. 주기적으로 작성되는 호적을 고려초부터 수백년간 보존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고, 수십년전 작성한 호적을 "옛 문적(古籍)"이라 해도 크게 이상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고려말 작성된 호적 원본이 현존하는 것은 이태조 호적 하나 뿐인데, 고려초에 작성된 관청 기록이 1400년대까지 전해진 것도 거의 없다고 보아야할 것이다. 사정이 이렇다면 각 지역의 토성이 그 지역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라는 주장은 거의 신빙성이 없어진다.


또 영흥부의 토성은 22개나 되지만, 실제로 영흥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는 조선 태조의 외조부 [http://people.aks.ac.kr/front/dirSer/ppl/pplView.aks?pplId=PPL_6JOa_A9999_1_0016478&category=conIdx&isEQ=true&kristalSearchArea=P 최한기(崔閑奇)]와 모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444 의혜왕후(懿惠王后, 懿妃)]<ref>[http://yoksa.aks.ac.kr/jsp/aa/VolView.jsp?aa10no=kh2_je_a_vsu_21696_001&aa15no=001&aa20no=21696_001_0006 桓祖大王妃懿惠王后] 열성왕비세보 (列聖王妃世譜v1)</ref>의 가계 [https://ko.wikipedia.org/wiki/%EC%98%81%ED%9D%A5_%EC%B5%9C%EC%94%A8 영흥 최씨]가 보일 뿐이다.<ref>[http://sillok.history.go.kr/id/kaa_10205010_001 태조실록 3권, 태조 2년 5월 10일 갑인 1번째기사 1393년 명 홍무(洪武) 26년 : 의비(懿妃)의 삼대(三代)를 추증(追贈)하다]</ref><ref>[http://sillok.history.go.kr/id/kda_10410020_002 세종실록 18권, 세종 4년 10월 20일 갑진 2번째기사 1422년 명 영락(永樂) 20년 : 태조의 외가 자손들로 하여금 봉사를 받들게 하다]</ref><ref>[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B001A_0490_010_0030_2000_006_XML 신증동국여지승람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48권 > 함경도(咸鏡道) > 영흥대도호부(永興大都護府)] 【건치연혁】 본조 태조 2년에 영흥진(永興鎭)이 외할아버지 최씨(崔氏)의 관향이라 하여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 부(府)로 만들었고,...</ref>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C%98%81%EB%AC%B4 조영무(趙英茂, 1338~1414)]의 후손들은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C%98%81%EB%AC%B4 영흥 조씨]인지 [[한양 조씨]]인지 논란이 있지만 조영무가 한산부원군(漢山府院君)에 봉해지고, 동국여지승람에도 한성부(漢城府) 인물로 나오므로,<ref>[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B001A_0040_010_0010_2000_001_XML 신증동국여지승람 제3권 > 한성부(漢城府)]</ref> 한양이 본관일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이외에 영흥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또 영흥부의 토성은 22개나 되지만, 실제로 영흥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는 조선 태조의 외조부 [http://people.aks.ac.kr/front/dirSer/ppl/pplView.aks?pplId=PPL_6JOa_A9999_1_0016478&category=conIdx&isEQ=true&kristalSearchArea=P 최한기(崔閑奇)]와 모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3444 의혜왕후(懿惠王后, 懿妃)]<ref>[http://yoksa.aks.ac.kr/jsp/aa/VolView.jsp?aa10no=kh2_je_a_vsu_21696_001&aa15no=001&aa20no=21696_001_0006 桓祖大王妃懿惠王后] 열성왕비세보 (列聖王妃世譜v1)</ref>의 가계 [https://ko.wikipedia.org/wiki/%EC%98%81%ED%9D%A5_%EC%B5%9C%EC%94%A8 영흥 최씨]가 보일 뿐이다.<ref>[http://sillok.history.go.kr/id/kaa_10205010_001 태조실록 3권, 태조 2년 5월 10일 갑인 1번째기사 1393년 명 홍무(洪武) 26년 : 의비(懿妃)의 삼대(三代)를 추증(追贈)하다]</ref><ref>[http://sillok.history.go.kr/id/kda_10410020_002 세종실록 18권, 세종 4년 10월 20일 갑진 2번째기사 1422년 명 영락(永樂) 20년 : 태조의 외가 자손들로 하여금 봉사를 받들게 하다]</ref><ref>[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B001A_0490_010_0030_2000_006_XML 신증동국여지승람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48권 > 함경도(咸鏡道) > 영흥대도호부(永興大都護府)] 【건치연혁】 본조 태조 2년에 영흥진(永興鎭)이 외할아버지 최씨(崔氏)의 관향이라 하여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 부(府)로 만들었고,...</ref>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C%98%81%EB%AC%B4 조영무(趙英茂, 1338~1414)]의 후손들은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C%98%81%EB%AC%B4 영흥 조씨]인지 [[한양 조씨]]인지 논란이 있지만 조영무가 한산부원군(漢山府院君)에 봉해지고, 동국여지승람에도 한성부(漢城府) 인물로 나오므로,<ref>[http://db.itkc.or.kr/inLink?DCI=ITKC_BT_B001A_0040_010_0010_2000_001_XML 신증동국여지승람 제3권 > 한성부(漢城府)] : 동국여지승람에는 각 인물들을 본관지에 기록하고 있다.</ref> 한양이 본관일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이외에 영흥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이런 실정이니 영흥의 토성은 22 가지나 되지만 실제 영흥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는 거의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 이처럼 태조 호적은 특정지역 토성과 성씨 본관이 그다지 관계가 없다는 중요한 근거 자료가 될 수 있다.
이런 실정이니 영흥의 토성은 22 가지나 되지만 실제 영흥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는 거의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 이처럼 태조 호적은 특정지역 토성과 성씨 본관이 그다지 관계가 없다는 중요한 근거 자료가 될 수 있다.

2021년 10월 20일 (수) 17:20 판

토성분정(土姓分定)은 고려 태조가 후삼국 통일 직후인 940년에 전국 주(州)·부(府)·군(郡)·현(縣)의 이름을 개편하면서 시행했다는 정책으로, 각 지방의 호족들을 통제하기 위해 그들에게 성씨와 본관을 가지게 하며 기득권을 어느 정도 인정해 주는 대신, 타 지역으로의 이동과 세력 확장을 억제한 것이 한국 각 성씨 본관의 기원이라 한다. 전 영남대 교수 이수건(李樹健)이 1984년에 처음 내놓은 학설로, 이에 따르면 각 성씨 본관이 대부분 940년에 일시에 생겨난 것이 되어야 하나, 실제 각 성씨의 유래는 다양하고 제각각이므로 사실과는 거리가 먼 주장으로 보인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 설이 역사적 사실인 것처럼 받아들이고 인용하여 혼란이 초래되고 있다.

개요

토성분정설(土姓分定說)은 전 영남대 교수 이수건(李樹健, 1935 ~ 2006)이 1984년에 펴낸 저서 "한국중세사회사연구(韓國中世社會史硏究)"에서 처음 제기한 것이다.[1][2][3][4] 이에 따르면 고려 태조가 후삼국을 통일한 후 940년(태조 23년)에 전국 주(州)·부(府)·군(郡)·현(縣)의 이름을 개편할 때[5][6] 지방 호족들의 해당 거주 지역 지배권을 어느 정도 인정해 주면서 그 지역을 본관(本貫)으로 하는 성씨(姓氏)를 가지게 하고, 해당 지역을 떠나 함부로 이동하며 세력확장을 하지 못하도록 통제한 것이 한국 성씨와 본관(本貫)의 기원이라 한다. 신라 정부가 말기에 지방 호족들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여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나면서 망국에 이르는 과정을 잘 아는 태조가 호족들의 발호를 통제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이런 정책을 시행했다는 것이다.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효문제(孝文帝, 재위 471~499)가 시행한 성족분정(姓族分定) 정책[7]에 착안하여 이런 명칭의 학설을 내놓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하는 명문화된 역사 기록도 없고, 실제 각 성씨의 기원도 이런 정책에 기원한다고 볼 수 없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그다지 신빙성이 없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 설을 역사적 사실인 것처럼 인용하여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세종실록 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1454 단종 2년)에 나오는 2000여개나 되는 각 지방의 토성(土姓)들이 그 지역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라고 했지만, 과연 그런 성관(姓貫)이 모두 실존했는지도 의문이다. 나아가 토성이 "옛 문적(古籍)과 지금의 본도(本道) 관록(關錄)에 의거한 것"이라는 말을 근거로 옛 문적이 고려 초에 만들어진 것으로 단정하고 940년에 토성분정이 있었다는 주장을 했지만, 실제로 그렇다는 증거는 없다. 또 고려 중기 이후 이미 많은 성관의 사람들이 본관지 밖으로도 이주해 가서 살고 있었는데,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이런 사람들의 성씨도 거주 지역의 토성으로 기록된 경우가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성씨의 실제 본관은 토성으로 기록된 지역과는 다를 수 밖에 없다.

토성분정이 실제로 있었다면 대다수 성본이 940년에 일시에 생겨난 것으로 보아야 하지만, 세종실록 지리지에 나오는 다수 토성의 시조의 시대는 실제로는 신라 때부터 고려말까지 긴 기간에 걸쳐있으므로, 토성분정이란 정책이 실제로 시행되어 대다수 성본이 고려 태조 때 생겨났다는 주장은 그다지 설득력이 없다. 토성분정이 정말로 있었던 정책이라면 이런 중요한 정책이 고려사에 한 구절도 나오지 않을 리가 없고, 실제 성씨의 역사적 사례들과 맞지도 않으므로, 이런 정책은 없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8]

토성(土姓)이라는 말 자체도 고려사(高麗史) 등 고려시대 문헌에는 어디에도 나오지 않으며, 경상도지리지 (慶尙道地理誌, 1425년, 세종 7)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서만 일시적으로 쓰이다 그 후 간행된 지리지들에서는 사라졌는데, 이수건이 되살려내었다.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관련 항목

비판

토성(土姓) 용어가 나오는 실제 기록

토성(土姓)이라는 용어는 고려 시대 기록에는 전혀 나오지 않고, 경상도지리지 (慶尙道地理誌, 1425년, 세종 7)[9][10]와 세종실록 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1454 단종 2년)[11]에 주로 사용되었는데, 전국 각 지역마다 해당 지역의 성씨들을 토성(土姓), 속성(續姓), 가속성(加屬姓), 망성(亡姓), 내성(來姓) 등으로 분류하여 기록했다. 토성 용어는 이후 간행된 지리지나 군현지에는 거의 쓰이지 않았다. 토성(土姓)은 글자 그대로 그냥 토착 성씨라는 의미로 보이고, 해당 지역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로 볼만한 근거는 명확하지 않다. 고려초에 시행되었다는 정책을 고려시대에는 존재하지도 않았던 용어를 써서 토성분정(土姓分定)이라 명명한 것도 적절하지 않은 것같다.

토성(土姓)이란 용어의 정의가 나옴.
토성(土姓)이 3이니, 이(李)·안(安)·김(金)이요, 가속성(加屬姓)이 3이니, 박(朴)·노(盧)·장(張)이요, 【이 6성은 옛 문적과 지금의 본도(本道) 관록(關錄)에 의거한 것이며, 그 가속성(加屬姓)이란 것은 옛 문적에 기록되어 있는 바이니, 뒤에도 모두 이와 같다. 】
망성(亡姓)이 5이니, 윤(尹)·석(石)·한(韓)·지(池)·소(素)이다. 【대개 망성(亡姓)이라 한 것은 옛 문적에만 있고 지금은 없음을 이름이니, 뒤에도 모두 이와 같다. 】

土姓三, 李、安、金; 加屬姓三, 朴、盧、張; 【此六姓, 據古籍及今本道附錄之。 其云加屬者, 古籍所書也。 後皆倣此。】 亡姓五, 尹、石、韓、池、素。 【凡稱亡姓, 謂古籍所有, 而今無者。 後皆倣此。】

이수건은 여기서 말하는 옛 문적은 고려초(940년)부터 전해온 것으로 말하나, 실제로 이때 작성된 문적들이 조선초까지 전해왔다고 믿기 어렵다. 극히 드물게 그런 기록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1454년에 각 지방에 남아있던 옛 문적들이 모두 고려초에 작성된 것으로 믿을 근거는 없다. 조선초 1400년대에 작성된 지방 관청의 문서가 500년 후인 1900년대까지 전해온 것이 거의 없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고려초 900년대에 작성된 문서가 1400년대까지 제대로 전해왔을 가능성도 지극히 희박하다. 실록 등과같이 국가적 차원에서 특별히 보존에 신경썼거나, 간행되어 널리 배포된 문서가 아니라면 100 ~ 200년 후까지 전해지기도 쉽지 않다. 토성의 정의에 나오는 "옛 문적(古籍)"은 오래된 것이라야 대부분 100 ~ 200년 정도 되었을 것이며, 500년 전의 것은 거의 없었다고 보는 것이 실제에 가까울 것이다.

1454년에 작성된 이런 막연한 토성 기록을 근거로 전국 각 지역의 토성(土姓)들이 고려초 940년에 일시에 생겨났다고 주장하는 것은 지나친 억측으로 보인다.

세종실록 지리지 성씨의 도별 성종별 본관 분포

아래 표는 세종실록 지리지에 나오는 각 도별(道別)·성종별(姓種別) 성씨의 수이다.[4][12]

◉ 세종실록 지리지의 도별·성종별 성씨 수
   \姓種
도명\
土姓 亡姓
亡土姓
來姓
亡來姓
續姓 村姓
亡村姓
入鎭姓 入姓
亡入姓
賜姓 합계
경기도 242 162 37 35 10 · · · 486
충청도 305 98 33 81 49 · · 1 567
경상도 561 15 131 172 28 · · 4 911
전라도 656 69 37 99 2 · · · 863
황해도 100 82 51 53 16 · · · 302
강원도 107 82 25 87 · · · 3 304
평안도 10 · 21 14 · 389 · · 434
함경도 98 57 46 24 17 15 332 · 589
합계 2,079 565 381 565 122 404 332 8 4,457

망성(亡姓)은 토성(土姓)과 마찬가지로 "옛 문적(古籍)"에는 있으나 지금은 해당 지역에서 없어진 성씨이므로 이수건의 토성분정설에 따른다면 망성(亡姓)도 모두 토성(土姓)과 같이 940년에 해당지역으로 본관이 정해진 성씨로 보아야 하므로 토성분정으로 생겨난 성본의 수는 전국적으로 2644개나 된다. 과연 이렇게 많은 성씨 본관이 940년에 한꺼번에 생겨났을까?

개성과 한양의 토성

고려의 수도 개성에는 중앙정부와 강력한 군대가 있고 전국의 수많은 사람들이 출입하는 곳이므로 특별히 통제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는 대단한 독자 세력을 가진 호족이 있기 어렵다. 그런데도 토성(土姓)이 5개나 나온다. 더구나 고려 왕성(王姓)인 왕씨(王氏)가 지방 호족처럼 수도 개성으로 토성분정을 받았다는 것은 더욱 이해하기 어렵다.

토성(土姓)이 5이니, 고(高)·김(金)·왕(王)·강(康)·전(田)이요, 내접성(來接姓)이 1이니, 이(李)이다.

土姓五, 高、金、王、康、田; 來接姓一, 李。

반면에 조선의 수도 한양 (고려 때 南京)은 수도 개성에서 거리가 어느 정도 떨어져 있고 인구도 상당했으므로 세력이 큰 호족이 나올 수도 있는 곳인데도 토성(土姓)은 나오지 않는다. 고려초에 유독 한양으로 본관이 정해진 성씨는 없었다는 것인가?

한양은 세종 당시 수도라서 전국 각지의 여러 성씨들이 유출입하는 곳이라 성씨 기록 자체가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한양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로 조(趙), 유(劉), 이(李), 한(韓) 등이 있다. 이 성씨들만 고려초 토성분정으로 본관이 정해지지 않은 것인가? 동국여지승람에는 한성부의 성씨도 나온다. [아래 #동국여지승람의 성씨 기록 참고]

이런 기록들을 보아도 고려 태조가 지방 호족을 통제하기 위해 940년에 토성분정을 시행했다는 주장은 믿기 어렵다. 세종실록 지리지의 성씨 기록은 고려초 보다는 조선초의 사정이 많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토성도 고려초에 그 지역으로 본관이 정해진 성씨로 보기 어렵다.

조선왕가의 출신지 전주와 영흥의 성씨 기록

조선왕가의 본관은 전라도 전주이지만 태조의 출신지는 함길도 영흥(永興)이다. 이 경우 조선왕가 이씨(李氏)를 기준으로 하면 전주에는 토성이나 망성, 영흥에는 내성(來姓)이나 속성(續姓)으로 나와야 할 것이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전주의 토성으로 실제 이씨가 나오는 것은 이상할 것이 없다. 하지만 영흥에는 토성으로 이씨가 나올 뿐, 내성 또는 속성에는 이씨(李氏)가 없다. 본관이 전주인 조선 왕가 이씨(李氏)도 영흥의 토성으로 간주된 것으로 보인다. 왕실의 성 이씨가 실제 출신지 영흥에 어떤 형태로든 나타나야 할 것으로 여겨지지만, 토성으로 기록된 것 외에는 없다. 그렇지만 조선왕가가 토성분정설의 주장에 따라 영흥 이씨가 되지 않은 것은 어떤 이유인가?

토성(土姓)이 9이니, 이(李)·최(崔)·유(柳)·박(朴)·전(全)·유(庾)·한(韓)·백(白)이요, 내접성(來接姓)이 1이니, 방(房)이요, 속성(續姓)이 4이니, 양(梁) 【주계(朱溪)에서 왔다. 】 ·장(張) 【결성(結城)에서 왔다. 】 ·김(金) 2 【하나는 모평(牟平)에서 왔고 하나는 온 곳을 모르는데, 모두 향리(鄕吏)가 되었다. 】 이다.
준원전(濬源殿) 【부의 동남쪽 흑석산(黑石山)에 있으니, 곧 우리 환조(桓祖)의 옛 집으로서, 태조(太祖)가 탄생한 곳이다. 태조의 쉬용(晬容)을 모셨다. 】

.....................

본부(本府)의 토성(土姓)이 22이니, 최(崔)·장(張)·김(金)·석(石)·이(李)·박(朴)·길(吉)·송(宋)·한(韓)·민(閔)·유(劉)·정(鄭)·노(盧)·방(邦)·호(扈)·고(固)·안(安)·척(拓)·우(禹)·손(孫)·심(沈)·위(魏)요, 내성(來姓)이 2이니, 고(高)·용(龍)이요, 속성(續姓)이 1이니, 주(周)이다.

고려말 영흥(永興) 거주 양민 대다수의 본관은 타지역

고려말 영흥(永興)의 호적으로 흔히 이태조호적원본(李太祖戶籍原本)이라 불리는 《국보 131호 고려말 화령부 호적관련고문서(高麗末 和寧府 戶籍關聯古文書)》는 홍무23년(1390) 작성되었으며, 현존하는 일부는 8폭으로 되어있다. 이중 <제3폭~제8폭>에는 이성계와의 관련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40호의 호적(양인호<25호>, 노비호<15호>)이 기록되어 있다. 양인들의 경우 성씨의 본관이 적혀 있는데, 거의 모두 타지역이고 영흥은 거의 없다.

국보 131호 고려말 화령부 호적관련고문서(高麗末 和寧府 戶籍關聯古文書) 국립중앙박물관
이효종, 국보 131호 고려말 화령부 호적관련고문서(高麗末 和寧府 戶籍關聯古文書) 해설 국립중앙박물관
국보 고려말 화령부 호적 관련 고문서 (高麗末 和寧府 戶籍 關聯 古文書)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이성계 호적 필사한 기록 발견(종합) 연합뉴스 2008.09.04

이 호적에 나오는 본관이 타지역인 양인들의 성씨는 다수가 세종실록 지리지에 영흥의 내성(來姓)이나 속성(續姓)이 아니라 토성(土姓)으로 적혀 있다. 영흥의 토성으로 안(安)씨가 있지만, 태조호적에 나오는 안원계(安元桂) 집안은 본관이 영흥아닌 순흥부(順興府)로 되어있고, 토성에 이씨(李氏)도 나오지만, 태조 본인의 본관도 영흥아닌 전주이다.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실제로 토성으로 적어놓았지만 다른 지역에서 왔다고 명기해 놓은 경우도 보인다.

본군(本郡)의 토성(土姓)이 4이니, 한(韓) 【홍무(洪武) 31년 무인(戊寅)의 호구(戶口)에 이르기를, 등주(登州)에서 왔다고 하였다. 】 ·김(金)·이(李)·조(曺)요, 망성(亡姓)이 22이니, 손(孫)·최(崔)·박(朴)·고(高)·방(芳)·윤(尹)·홍(洪)·강(康)·장(張)·백(白)·심(沈)·유(劉)·강(姜)·오(吳)·양(梁)·경(耿)·송(宋)·원(元)·지(智)·허(許)·임(林)·석(石)이요, 내성(來姓)이 16이니, 김(金)·안(安)·강(康)·현(玄)·고(高)·송(宋)·임(林)·성(成)·손(孫)·우(禹)·홍(洪)·경(耿)·한(韓)·양(梁)·용(龍)·최(崔)이며,....

本郡土姓四, 韓、 【洪武三十一年戊寅戶口云, 登州來。】 金、李、曹; 亡姓二十二, 孫、崔、朴、高、芳、尹、洪、康、張、白、沈、劉、姜、吳、梁、耿、宋、元、智、許、林、石; 亡來姓十六, 金、安、康、玄、高、宋、林、成、孫、禹、洪、耿、韓、梁、龍、崔。....

고원 지방의 토성 한씨(韓氏)는 홍무 31년(1398년)의 호구(戶口)에 등주(登州)에서 왔다고 했으므로, 고려초 940년에 고원으로 본관이 정해진 성씨가 아니다. 등주(登州)는 중국 산동반도의 등주(登州) (위키실록사전)가 아니라 고려 시대에 등주(登州)로 불렸던 함길도 안변(安邊)을 말하는 것으로 보이며, 안변도호부 (安邊都護府)의 토성에도 한씨(韓氏)가 있다.

이와같은 사례들로 볼 때 토성으로 기록하는 근거가 된 "옛 문적(古籍)"이라는 것이 대부분 고려초가 아니라 고려말에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말에는 3년마다 한번씩 호적을 작성하게 했다는데, 몇 10년 정도 지나면 호적도 여러 차례 작성한 셈이 되므로 조선초의 세종실록 지리지에 고려말의 호적도 충분히 "옛 문적(古籍)"이라 부를만했을 것이다. 더구나 왕조가 바뀌었으니 전왕조 때 작성된 문건은 고려말의 것이라도 옛문적이라고 칭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각 지역의 토성으로 나오는 성씨의 본관이 반드시 그 지역이라고 볼 수 없다는 강력한 증거가 아닌가 한다. 주기적으로 작성되는 호적을 고려초부터 수백년간 보존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고, 수십년전 작성한 호적을 "옛 문적(古籍)"이라 해도 크게 이상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고려말 작성된 호적 원본이 현존하는 것은 이태조 호적 하나 뿐인데, 고려초에 작성된 관청 기록이 1400년대까지 전해진 것도 거의 없다고 보아야할 것이다. 사정이 이렇다면 각 지역의 토성이 그 지역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라는 주장은 거의 신빙성이 없어진다.

또 영흥부의 토성은 22개나 되지만, 실제로 영흥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는 조선 태조의 외조부 최한기(崔閑奇)와 모친 의혜왕후(懿惠王后, 懿妃)[13]의 가계 영흥 최씨가 보일 뿐이다.[14][15][16] 조영무(趙英茂, 1338~1414)의 후손들은 영흥 조씨인지 한양 조씨인지 논란이 있지만 조영무가 한산부원군(漢山府院君)에 봉해지고, 동국여지승람에도 한성부(漢城府) 인물로 나오므로,[17] 한양이 본관일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이외에 영흥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이런 실정이니 영흥의 토성은 22 가지나 되지만 실제 영흥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는 거의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 이처럼 태조 호적은 특정지역 토성과 성씨 본관이 그다지 관계가 없다는 중요한 근거 자료가 될 수 있다.

토성분정설과 맞지 않는 성관 기원 사례

세종실록 지리지에 나오는 토성들이 모두 940년에 처음 생겼다는 주장이 해당 지역을 본관으로 하는 실제 성씨 시조의 연대와 맞지 않는 경우가 다수 발견된다. 일일이 다 찾아내기는 어렵지만 우선 아래와 같은 경우가 눈에 띈다. 이런 사례들은 각 지역의 토성이 940년에 처음 생겨났다는 토성분정설이 실제와 맞지 않는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세종실록 151권 지리지 / 전라도 / 남원 도호부 / 순창군 (地理志 / 全羅道 / 南原都護府 / 淳昌郡)
토성(土姓)이 5이니, 설(薛)·염(廉)·임(林)·조(趙)·옹(邕)이요, 속성(續姓)이 1이니 김(金)이다. 복흥(福興)의 성이 2이니, 임(林)·조(趙) 【아전[人吏]의 성(姓). 】 이요, 망성(亡姓)이 5이니, 예(芮)·호(扈) 【아전[人吏]의 성(姓). 】 ·이(李)·염(廉)·경(景) 【백성의 성(姓). 】 이요, 적성(赤城)의 성이 5이니 송(宋)·이(李)·정(程)·황(黃)·현(玄)이요, 유등촌(柳等村)의 성이 1이니 이(李)요, 망성(亡姓)이 2이니, 정(丁)·송(宋)이다.
土姓五, 薛、廉、林、趙、邕; 續姓一, 金。 福興姓二, 林、趙; 【人吏姓。】 亡姓五, 芮、扈、 【人吏姓】 李、廉、景。 【百姓姓。】 赤城姓五, 宋、李、程、黃、玄。 柳等村姓一, 李; 亡姓二, 丁、宋。
순창군(淳昌郡)의 토성(土姓)으로 설씨(薛氏)가 있다. 그러나 순창 설씨(淳昌薛氏)는 설총(薛聰)의 후손이며, 통도판서 설계영(薛繼泳)의 아들인 설자승(薛子升)[18]이 1124년(인종 2) 호부시랑(戶部侍郞)으로 재직할 때에 이자겸(李資謙)의 흉모를 미리 알고 몸을 피해 경상남도 하동(河東)으로 물러났다가 다시 전라북도 순창군(淳昌郡) 율북리(栗北里)로 옮겨 정착한 것에 유래하며, 이로부터 설자승(薛子升)은 순창설씨(淳昌薛氏)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즉 세종실록지리지에 순창의 토성으로 기록된 설씨(薛氏)는 실제로는 940년이 아니라 1124년 이후부터 있게된 것이다.
세종실록 151권, 지리지 전라도(全羅道) 남원 도호부(南原都護府)
토성(土姓)이 11이니, 양(梁)·정(鄭)·진(晉) 【아전[人吏]의 성이 되었다. 】 ·윤(尹)·양(楊)·견(甄)·황보(皇甫)·염(廉)·배(裵)·유(柳)·황(黃)이요, 【백성(百姓)의 성(姓)이다. 】 속성(續姓)이 3이니, 이(李)·임(林)·송(宋)이다. 【모두 향리(鄕吏)이다. 】 거령(居寧)의 성이 5이니, 백(白)·장(張)·한(韓)·이(李)·황(黃)이다.
土姓十一, 梁、鄭、晋、 【爲人吏姓。】 尹、楊、甄、皇甫、廉、裵、柳、黃; 【百姓姓。】 續姓三, 李、林、宋。 【皆鄕吏。】 居寧姓五, 白、張、韓、李、黃。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慶尙道) 진주목(晉州牧) 함안군(咸安郡)
토성(土姓)이 6이니, 이(李)·조(趙)·채(蔡)·윤(尹)·유(劉)·정(鄭)이요, 내성(來姓)이 2이니, 최(崔) 【죽산(竹山)에서 왔다. 】 ·김(金) 【금주(金州)에서 왔다. 】 이며, 속성(續姓)이 1이니, 강(姜)이다. 【근본은 자세히 알 수 없다. 지금 향리가 되었다. 】
土姓六, 李、趙、蔡、尹、劉、鄭; 來姓二, 崔、 【竹山來。】 金; 【金州來。】 續姓一, 姜。 【本未詳, 今爲鄕吏。】
전라도 남원(南原)과 경상도 함안군(咸安)의 토성으로 윤씨(尹氏)가 있지만, 실제의 남원 윤씨 시조 윤위(尹威)와 함안 윤씨 시조 윤돈(尹敦)은 파평 윤씨(坡平尹氏) 윤관(尹瓘, 1040~1111)의 후손으로 고려 태조 때보다 훨씬 후대의 사람이며, 940년에 있었다는 토성분정과 어떤 관련도 있기 어렵다.
윤관(尹瓘) - 윤언인(尹彦仁) - 윤덕첨(尹德瞻) - 윤위(尹威, 남원 윤씨 시조) - 윤극민(尹克敏) - 윤돈(尹敦, 함안 윤씨 시조)
남원 윤씨(南原 尹氏) 시조 윤위(尹威) : 1176년(고려 명종 6년) 문과에 급제[19]
함안 윤씨(咸安 尹氏) 시조 윤돈(尹敦) : 고려 원종(元宗) 때 문과에 급제

고려 초에 사용된 "본관"의 의미

정도사오층석탑조성형지기(淨兜寺五層石塔造成形止記) 고려대 해외한국학자료센터
칠곡 정도사지 오층석탑 (漆谷 淨兜寺址 五層石塔)

석탑 조성 참여자들 대다수가 성(姓)이 없고, '본관(本貫)'이라는 말이 성(姓)과 무관하게 출신지 정도의 의미로 쓰임.

맨 끝에 성이 없는 승려 이름 다음에 본관이 어디라고 적어놓은 것은 성씨 본관이 아닌 출신 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봐야할 것이다. 1031년에 본관이라는 말이 오늘날과 달리 성씨와 관계없는 다른 의미로 쓰였다면, 각 성씨와 본관이 태조 때인 940년에 일시에 생겨났다는 주장과 배치된다.

동국여지승람의 성씨 기록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의 각 지역별 성씨 기록에는 토성(土姓)이나 망성(亡姓)이란 명칭은 사라지고, 내성(來姓), 속성(續姓), 속성(屬姓), 촌성(村姓) 등의 구분만 나온다. 세종실록 지리지와 모든 지역을 비교해 보기는 어려우나,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대체로 토성(土姓)과 망성(亡姓)으로 표시되었던 성씨는 동국여지승람 성씨에서는 합하여 아무 명칭없이 맨 앞에 적어놓고, 한칸 띄우기로 구분을 한 다음, 내성(來姓), 속성(續姓), 속성(屬姓), 촌성(村姓) 등을 적기 시작하며 성(姓)자는 떼고 간단히 내(來), 속(續), 속(屬), 촌(村)으로 적어 구분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구분은 번역문이나, 원문 텍스트에서는 분간하기 어렵고 원문 이미지를 보아야 정확히 알 수 있다. 이런 점만 주의깊게 살피면, 대체로 세종실록 지리지의 성씨 기록과 거의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성씨】 본부(本府) 한(韓)ㆍ조(趙)ㆍ민(閔)ㆍ신(申), 애(艾) 촌성(村姓)이다. 함(咸)ㆍ박(朴)ㆍ홍(洪)ㆍ부(夫)ㆍ최(崔)ㆍ정(鄭) 모두 내성(來姓)이다.

○ 성씨는 모두 주관 육익(周官六翼)ㆍ윤회(尹淮)의 《지리지(地理志)》ㆍ경상ㆍ전라 두 도의 관풍안(觀風案 감사의 전임자 명부)에 의거하였다. ○ 무릇 다른 고을에서 와서 사는 자는 성 아래 다만 본적(本籍)만을 주(註)달아 둔다. 다음에도 이에 따른다.

【姓氏】 本府 韓,趙,閔,申。 艾。村。咸,朴,洪,夫,崔,鄭。竝來。

○姓氏竝依《周官六翼》、尹淮《地理志》、慶尙ㆍ全羅兩道觀風案。○凡自他州來居者,姓下只 註本籍。後倣此。
원문 이미지를 봐야 정확히 구분할 수 있지만, 맨 앞에 나오는 한(韓)ㆍ조(趙)ㆍ민(閔)ㆍ신(申)은 명칭없이 적어놓았는데 세종실록 지리지의 토성(土姓)에 해당하는 성씨이고, 애(艾)는 촌성(村姓), 함(咸)ㆍ박(朴)ㆍ홍(洪)ㆍ부(夫)ㆍ최(崔)ㆍ정(鄭)은 내성(來姓)이다. 그러나 세종실록 지리지의 한성부(漢城府)에는 성씨 기록은 나오지 않는다.
【성씨】 본부(本府) 고(高)ㆍ김(金)ㆍ왕(王)ㆍ강(康)ㆍ전(田), 이(李) 내성(來姓)이다. ○ 무릇 다른 주(州)에서 와서 살되, 본적을 상고할 수 없는 자는 단지 내(來)라고만 주(註)를 달았으며, 혹은 속(續), 혹은 속(屬)이라고도 하였다. 후에도 여기에 의한다.

【姓氏】 本府 高,金,王,康,田。 李。來。○凡自他州來居而本籍不可考者,只注來,或云續,或云屬。後倣此。
고(高)ㆍ김(金)ㆍ왕(王)ㆍ강(康)ㆍ전(田)은 토성에 해당하고, 이(李)는 내성(來姓)이다.[20]
【성씨】 본주(本州) 이(李)ㆍ윤(尹)ㆍ석(石)ㆍ한(韓)ㆍ안(安)ㆍ김(金)ㆍ지(池)ㆍ소(素), 노(盧)ㆍ장(張)ㆍ박(朴) 모두 속성(屬姓)이다.

【姓氏】 本州 李,尹,石,韓,安,金,池,素。盧,張,朴。竝屬。
이(李)ㆍ윤(尹)ㆍ석(石)ㆍ한(韓)ㆍ안(安)ㆍ김(金)ㆍ지(池)ㆍ소(素)는 세종실록 지리지의 토성과 망성을 합하여 적은 것이고, 노(盧)ㆍ장(張)ㆍ박(朴)은 가속성(加屬姓)이다.[21]

다른 주장

채웅석(蔡雄錫)은 토성분정이 있었다는 것은 인정하면서 그 시행 시기가 940년이 아니라 성종이 10도(道)를 획정한 995년 (성종 14년)이라고 주장한다.[22][23]


김수태(金壽泰)는 토성분정이 있었다는 것을 부인한다. 또 성(姓)과 본관(本貫)을 연결하여 호칭한 것은 고려중기 이후라고 한다.

토성의 출현시기는 어디에서,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하는 문제가 남는다. 이 때 고려후기 지방사회의 변화와 관련해서 이해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고려사회에 성이 보다 사회적으로 의미를 지니는 시기, 특히 지방에서 성이 강조되는 시기에 그러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점에서 가계기록의 편찬과 관련된 연구에서 드러나고 있듯이 고려후기에 郡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새로운 변화에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 시기에 들어와서 성의 사용층이 더욱 확대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종서, 앞의 글, pp.92~95.
그리고 이러한 변화를 주도한 것은 이른바 신흥사대부 혹은 지방세력의 성장에서 찾아야 하지 않을까한다.
이에 지방에서 성을 사용하는 의미가 새롭게 부각되면서 토성이 출현한 것이 아닐까 한다. 
한편 이것은 중앙귀족들을 중심으로 본관과 성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본관제도의 변화와도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 경우 토성의 개념은 본관과 관련시켜 성관 혹은 성씨로 이해하기보다는 성과 관련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지적되듯이 토박이 성, 토착 성으로 해석되는 보다 단순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한다. 이 때 토성과 승려들의 적이 후삼국시기 이후 고려 초기의 일정한 기간동안 일치하지 않는 부분에 대한 이해도 합리적으로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토성은 고려사회에서 고적이 작성되는 시기, 특히 고려후기의 사회변화 속에서 보다 적극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점에서 고려 초기에 있어서 본관과 성은 처음부터 결합되어 사용되기보다는 서로 다른 사회적 의미를 가지고 사용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안광호(安光鎬, 한국고전번역원)는 토성분정은 역사적으로 실체를 확인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현재의 본관 제도와는 이질적이라고 반박한다.

역사학을 전공해 중국 난카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안광호 한국고전번역원 연구원이 혈연 제도 일종인 중국 군망(郡望)과 한국 본관(本貫)을 분석했다. 저자가 쓴 다양한 논문을 종합하고 보완해 단행본으로 펴냈다.

그는 중국 청하최씨(淸河崔氏)와 한국 남양홍씨(南陽洪氏)를 표본으로 살펴 두 씨족이 청하와 남양 지역을 떠난 뒤에도 근거지를 잃지 않았다고 설명한다.

이어 본관과 유사한 중국 군망 제도를 대부분의 한자어 사전이 '한 군 단위 내의 망족(望族)'이라고 정의하지만, 역사적으로는 '원조의 본적지'라는 의미로 사용했다고 주장한다.

한국 본관 제도가 고려 초기에 시행한 토성분정(土姓分定) 제도에서 비롯됐다는 견해에 대해서는 "국가가 지방 통치를 위해 분배한 토성에서 본관이 나왔다는 설은 역사적으로 실체를 확인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현재의 본관 제도와는 이질적이다"라고 반박한다.
  1. 안광호 지음, 중국의 군망제도와 한국의 본관제도 연구 - 한중 전통기 사회의 성격 비교 솔벗한국학총서 23 (지식산업사, 2019-10-29)
  2. 安光鎬, 韓國 本貫制度의 起源과 ‘土姓 分定’ 說에 관한 검토 - ‘土姓 分定’ 說에서 언급된 중국 역사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제44호 2014.04 pp.161-186
  3. 안광호, 韓國 本貫制度의 起源과 ‘土姓 分定’ 說에 관한 검토 - ‘土姓 分定’ 說에서 언급된 『世宗實錄地理志』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제45호 2014.10 pp.217-248
  4. 安光鎬(한국고전번역원), 中國의 郡望制度와 韓國의 本貫制度 비교 : 중국의 淸河崔氏와 한국의 南陽洪氏를 중심으로 역사와경계 제98집 (부산경남사학회, 2016.03) pp.75 - 125

토성분정을 역사적 사실로 간주한 사례

토성분정설은 이수건이 1984년에 처음 내놓은 학설로 역사기록에는 전혀 나오지 않지만, 이를 역사적 사실로 알고 성씨 본관의 기원으로 설명하는 사례는 부지기수로 많다.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 태조는 전국의 군현 명칭을 바꾸고 각읍 토성을 분정(分定)함과 동시에 유이민을 정착시켜 신분질서를 유지하고 효과적인 징세·조역(調役)을 위해서 본관제도를 실시하였다.
2021년 상반기 서울역사박물관대학 온라인 강좌 1회차 교재 [3월 31일]
Ⅲ. 역사 속의 서울과 ‘서울사람’
•고려의 경(京)∙외(外) 차별
본관제
- 태조 23년(940) 역분전 지급, 군현 이름 개정, 토성 분정(土姓分定)
- 한 군현 여러 토성
전주[8] : 李 崔 柳 朴 全 庾 韓 白
충주[9] : 徐 石 崔 劉 康 梁 秦 安 朴
- 한 성씨 여러 본관
<세종실록지리지> 李 138, 金 106, 朴 85, 鄭 50, 全 37, 韓 31…
개경의 위상
- 왕씨 : 개경에만 있다 (기타 : 사성, 내성)
- 개경 : 왕씨만 있다 (高 金 康 田 : 개성부 토성)
  • 2011 국가직 9급 공무원 시험에까지 등장한 토성분정[24]
공무원시험 한국사, 논란의 여지가 있던 문제로 타산지석 삼기3 법률신문 2015.11.20
고려 시대 향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11 국가직 9급 한국사 8번 문제][25]

① 지방의 중심 세력으로 사심관에 임명되었다.

②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은 속현이나 부곡의 실질적인 지배층이었다.

③ 읍사(邑司)를 구성하여 지방 행정의 실무를 담당하였다.

④ 고려초 토성(土姓)을 분정받아 그 근거지를 본관으로 인정받기도 하였다.

[정답] ①
정답으로 간주한 ①도 문제가 있지만, ④의 토성분정은 그냥 개인의 학설일 뿐, 역사 기록에도 없고 실재했다고 볼 수 없는 정책이다.
  • 2017년도 국회직 9급 한국사 13번 문제[26]
13. 다음의 사실들을 시기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당대등을 호장으로 개칭하였다.
ㄴ. 과거제를 실시하여 관리를 선발하였다.
ㄷ. 지방 호족들에게 성씨를 내려주기 시작하였다.
ㄹ. 4도호부, 8목, 56주·군 등에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① ㄱ - ㄷ - ㄴ - ㄹ
② ㄱ - ㄹ - ㄴ - ㄷ
③ ㄷ - ㄴ - ㄱ - ㄹ
④ ㄷ - ㄴ - ㄹ - ㄱ
⑤ ㄹ - ㄷ - ㄴ - ㄱ

정답: ③

  • 고려의 여러 제도 연대기(향리직제, 과거제, 토성분정, 지방제도)

태조: 940년 향촌의 호족들에게 성씨를 내려주고 직역을 고정시키는 토성분정(土姓分定) 을 단행하여 지배층을 확정하고 본관제(本貫制)에 입각한 향촌 사회 통제책을 마련하였다.
광종: 958년 중국 후주 출신 귀화인 쌍기의 건의를 받아들여 유학을 익힌 신진 인사를 등용하고 신구 세력의 교체를 도모하기 위하여 과거제를 처음 시행하였다.
성종: 983년 최승로의 건의를 받아들여 전국에 처음으로 주요 거점에 상설 12목을 설치하고 기존의 임시적인 금유·조장을 혁파하였다. 또한 기존의 당대등, 대등 대신 호장, 부호장의 향리 직제를 마련하여 호족(재지 세력)의 향촌 지배를 정식 국가 통치체제로 개편하였다.

현종: 전국에 4도호부 8목과 56주·군 등에 지방관을 파견하여 어느 정도 지방제도를 완비하였다(1018).
박종기 저, 고려사의 재발견: 한반도 역사상 가장 개방적이고 역동적인 500년 고려 역사를 만나다 휴머니스트 2015년 05월 11일
박종기 【고려사의 재발견】 : 요약(60) 중앙선데이 2016.09.04
안양시사 2 : 이야기와 인물로 보는 안양 / 제4편 성씨와 인물 / 제1장 성씨와 집성촌 / 제1절 성씨 안양시사편찬위원회 2008-10-27
[뉴스 속의 한국사] 김씨 성만 1069만명… 성씨는 언제부터 전해졌을까 조선일보 2016.10.03
본관 제도 확산

세력이 있는 가문에게 본관과 성을 부여하는 제도는 통일 신라 때도 존재했다.
그러나 일반 서민, 호족들에게도 본관과 성을 부여하는 제도가 확산된 것은 고려 때의 일이다. 후삼국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협조한 세력들에게 거주지를 본관으로 하는 새로운 성을 부여했다.

'토성분정‘ 제도라고 한다. 한 예로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할 때 옛 신라지역의 지배 세력이었던 김행이 안동 지역에서 적극적으로 협조했다. 건국 후 930년에 태조 왕건은 김행에게 안동을 본관으로 하는 권씨라는 성을 부여했다. 지금 남아있는 안동 권씨, 안동 장씨, 안동 김씨가 그 때 부여받은 본관과 성에서 이어지는 것이다.
지금은 누구나 다 성씨를 가지고 있지만 적어도 성씨가 일반적으로 보편화된 건 고려시대에 접어들어서입니다.

고려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하고 나서 각 지역에 토착하고 있는 호족세력들에게 성씨와 본관을 지정해줬죠. 그것을 토성분정이라고 합니다.

토성이라는 것은 지연적인 의미의 토자와 그다음에 혈연적인 의미의 성자 두 개가 합쳐진 의미입니다. 지연과 혈연이 합쳐진 토성.

그러니까 태조 왕건이 토성을 전부 나눠줬다는 것은 뭐냐하면 골품제도가 붕괴되고 새로운 사회 질서를 마련하기 위해서 각 지역에 있는 세력들을 자기의 품 안에 넣기 위해서 사회통합 차원에서 너는 어디에 무슨 성씨다, 너는 어디에 무슨 성씨다 이런 의미입니다.

참고 자료

국립중앙도서관, 제27회「이야기로 풀어가는 고문헌강좌」: 2017. 6. 26.(월) 14:00 ~ 16:30

각주

  1. 이수건(李樹健, 1935 ~ 2006), 한국중세사회사연구(韓國中世社會史硏究), 일조각(一潮閣), 1984년
  2. 한국중세사회사연구(韓國中世社會史硏究)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수건, 한국의 성씨와 족보,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4. 4.0 4.1 李樹健, 한국 성씨의 由來와 종류 및 특징 새국어생활 제1권 1호 (1991년 봄), 국립국어원
  5. 고려사 > 왕대별 보기 > 태조(918 - 943) > 23년 > 3월 > 지방행정단위의 이름을 고치다 한국사데이터베이스
  6. 고려사절요 권1 > 태조신성대왕(太祖神聖大王) > 태조(太祖) 23년 > 3월 > 경주를 대도독부로 바꾸고 여러 주군의 명칭을 바꾸다 한국사데이터베이스
  7. 박종구의 中國 인물 이야기 <70> 북위 6대 황제 효문제 : 낙양 천도 후 적극적 한화정책 광주일보 2017년 02월 21일
  8. 김수태(金壽泰), 高麗初期의 本貫制度 - 本貫과 姓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연구 제8호 43~70쪽, 2000) : 김수태는 토성분정설을 부인한다.
  9.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 1425년) / 하연(河演(朝鮮)) 編 원문 보기 : 국립중앙도서관
  10.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2. 성씨(姓氏)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3. 桓祖大王妃懿惠王后 열성왕비세보 (列聖王妃世譜v1)
  14. 태조실록 3권, 태조 2년 5월 10일 갑인 1번째기사 1393년 명 홍무(洪武) 26년 : 의비(懿妃)의 삼대(三代)를 추증(追贈)하다
  15. 세종실록 18권, 세종 4년 10월 20일 갑진 2번째기사 1422년 명 영락(永樂) 20년 : 태조의 외가 자손들로 하여금 봉사를 받들게 하다
  16. 신증동국여지승람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48권 > 함경도(咸鏡道) > 영흥대도호부(永興大都護府) 【건치연혁】 본조 태조 2년에 영흥진(永興鎭)이 외할아버지 최씨(崔氏)의 관향이라 하여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 부(府)로 만들었고,...
  17. 신증동국여지승람 제3권 > 한성부(漢城府) : 동국여지승람에는 각 인물들을 본관지에 기록하고 있다.
  18. 설자승(薛子升)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19. 윤위(尹威) 문과방목  : 명종(明宗) 6년(1176) 문과 급제
  20. 세종실록 148권 지리지 / 구도 개성 유후사 (地理志 / 舊都開城留後司)
  21. 세종실록 148권 지리지 / 경기 / 광주목 (地理志 / 京畿 / 廣州牧)
  22. 고려사 > 왕대별 보기 > 성종(981 - 997) > 14년 > 9월 > 10도를 획정하다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3. 고려사절요 권2 > 성종문의대왕(成宗文懿大王) > 성종(成宗) 14년 > 7월 > 개성부와 10도의 행정구역을 정하다 한국사데이터베이스
  24. 현창원 편저, 한국사 대표 기출 중세편: 9,7급 공무원 시험대비 (박문각, 2015-01-10) p.30의 27번 문제
  25. [https://blog.daum.net/100satam/3039064 2011년도 국가직 9급 한국사 8번 해설
  26. 2017년도 국회직 9급 한국사 13번 해설 : 고려 의 여러 제도 연대기(향리직제, 과거제, 토성분정, 지방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