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10.26 사태 또는 박정희 암살 사건(朴正煕暗殺事件), 궁정동 사건(宮井洞事件)은 1979년 10월 26일에 대한민국의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규가 박선호, 박흥주 등과 함께 박정희 대통령과 차지철 경호실장을 암살한 사건이다. 십이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사건 경과

1979년 10월 26일, 대통령 박정희는 KBS 당진 송신소 개소식과 삽교천 방조제 준공식에 참석한 후 궁정동 안가에서 경호실장 차지철, 비서실장 김계원,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와 함께 연회를 가졌다. 연회 중에 박정희는 김재규의 총에 가슴과 머리를 맞았고 곧 국군 서울 지구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이송 중 서거했다. 당시 박정희 대통령의 나이는 만 62세였다.

발단

1979년 10월 26일, 중앙정보부장 김재규는 대통령 박정희와 함께 삽교천 방조제 준공식과 당진에 있는 중앙정보부 시설에 가려 했다. 그러나 '권력의 제 2인자'라고 불리던 대통령 경호실장 차지철은 김재규를 일방적으로 제외시켰고 그 결과 방조제 준공식은 김재규가 없는 상황에서 진행되었다.

박정희가 준공식에서 돌아오자, 차지철은 김재규에게 전화를 걸어 오후 6시에 서울 종로구 궁정동에 있는 중앙정보부 소속의 한 안가로 오라는 박정희의 명령을 전했다.

진행

김재규는 대통령 비서실장 김계원에게 박정희차지철을 죽일 것이라고 알렸다. 박정희와 차지철이 궁정동 안가로 들어오고, 김계원과 김재규도 연회장이 있는 '나'동으로 들어갔다. 김재규는 총을 자신의 바지 주머니에 숨긴 채 박정희와 대면했다.

박정희는 김재규, 차지철, 김계원, 심수봉, 신재순 등과 함께 전통 한국식 만찬 교자상을 앞에 두고 앉아 술을 겸한 저녁 식사를 하였다.

이후 김재규는 궁정동 안가에 오자 마자 전화로 들어오라고 한 육군참모총장 정승화와 중앙정보부 제2차장보 김정섭이 있는 '가'동으로 들어가 저녁 7시 10분경 그들에게 양해를 구했다.

김재규는 다시 연회장으로 갔고 문 앞에서 총 점검을 하는 순간 차지철이 나타났으나, 김재규는 총을 바지 주머니에 집어 넣었고 차지철은 그냥 지나갔다. 차지철이 경호원들이 있는 주방으로 내려갔다가 연회장에 다시 들어온 시점에 심수봉이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차지철이 들어오자 김재규가 나가 저녁 7시 30분에 중앙정보부장 수행비서 박흥주와 중앙정보부 의전과장 박선호를 불러 아래와 같이 말했다.

박선호 너는 정인형(대통령 경호처장)과 안재송(대통령 경호부처장)을 처단하고, 박 대령(박흥주)은 경비원들과 함께 주방의 경호원을 모두 없애라. 이것은 혁명이다!

다시 돌아와보니 시간이 저녁 7시 38분이었다. 심수봉의 노래가 끝나고 신재순이 노래를 부르는 중이었다.

총격

이 무렵 술자리 대화 주제는 신민당 김영삼 총재 제명사건이었다. 차지철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신민당 놈들, 그만두고 싶은 놈 한 명도 없습니다. 그 자식들, 신민당이고 뭐고 뛰쳐나오면 전차로 싹 깔아뭉개버리겠습니다.[1]”차지철이 이어 말을 하려던 찰나 김재규는 "썅"이라 외치며 벌떡 일어나 "이 새끼, 버러지 같은 놈. 너 죽어 새끼야"[2]라고 이야기하며 차지철을 향해 권총을 발사했다, 이어 "야, 너두 죽어봐."[3]라고 이야기하며 맞은편에 앉은 박정희를 향해 총을 발사했다. 이로서 중앙정보부장의 손에 경호실장대통령이 죽었다.

사건 직후

김재규는 안가의 다른 방에서 대기하고 있던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을 불러 같이 차를 타고 사건 현장을 빠져나갔다. 이때 김재규는 어디로 가야 할지도 정해놓질 않아 육본으로 가자는 정승화 말에 육군본부로 향했다. 혹자는 이에 대해 김재규가 중앙정보부로 갔더라면 죽지 않았을 것이라 이야기하지만 김재규는 정권 인수 및 기타 사항들에 대해서 전혀 준비해놓은 것이 없었기에 범행 직후 중앙정보부로 갔더라도 대통령 시해범으로 사형되었을 것이다.

국군보안사령부의 상황

당시 한국의 3대 정보기관은 청와대 경호실(약칭 경호실), 중앙정보부(약칭 중정), 국군보안사령부(약칭 보안사)였다. 원래 청와대 경호실은 단순히 경호업무만 담당하는 기관이었으나 차지철 경호실장의 권한 확대와 박정희 대통령의 묵인으로 각종 정보 수집기능마저도 수행하게 되었다.

문제는 중앙정보부장이 대통령과 경호실장을 암살하여 두 개의 정보기관이 한꺼번에 무력화된 상태가 발생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의 여파는 제5공화국의 발생까지도 이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남은 단 하나의 정보기관인 보안사의 당시 행태를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보안사 요원들은 국군서울지구병원과 같은 건물을 쓰고 있었는데 10.26 직후 국군서울지구병원에 김계원 비서실장이 대통령으로 보이는 사람의 시신을 안치시켰다는 이야기를 첩보를 접했다. 이때 보안사 참모장 우국일 준장이 확실히 사실을 파악하기 위해 국군서울지구병원장 김병수에게 전화를 걸어 사실을 확인했다. 통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보안사 참모장 우국일: 내 말에 대답만 해다오. 작고했나?

국군서울지구병원장 김병수: 예

보안사 참모장 우국일: 차 실장이냐?

국군서울지구병원장 김병수:아니오

보안사 참모장 우국일: 코드1(대통령을 칭하는 은어)이냐?

국군서울지구병원장 김병수:예[4]

경호실소속 경호원이 국군서울지구병원장에게 무슨 전화인지 추궁했으나, 국군서울지구병원장은 "아무일 없나?" 해서, "예", "신변에 위협이 있느냐?"해서 "아니오", "잘 지키니 걱정 마라"해서 "예"라고 대답했다[5]고 둘러대어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보안사령부와 사령관인 전두환은 시해범이 누구인가는 확인할 수 없었고 당시에는 시해범으로 차지철을 의심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비상국무회의

김재규와 정승화는 사건 직후 육군본부 벙커에 도착했는데 이때는 대략 오후 8시경이었다. 그리고 김재규는 이곳에서 청와대에 있던 김계원에게 전화를 걸어 최규하 총리를 데리고 함께 오라고 이야기했다.[6] 이어 최규하김계원김재규의 요구에 따라 육군본부로 갔다.

문제는 이때 최규하는 김계원하고 같이 있었는데 김계원에게 대통령 시해범이 김재규라는 것을 들어서 알고 있었다는 것이다.[7] 즉, 최규하는 대통령 유고시 권한대행이 되는 국무총리라는 막중한 자리에 있었고 대통령 시해범이 김재규라는 사실 또한 알고 있었지만 김재규가 두려웠던 탓인지, 대통령 시해범인 김재규가 시키는 대로 했다. 또한 실제로 그런 일이 일어나지는 않았지만 대통령에 시해된 상태에서 권한대행인 자신 또한 살해할 위협이 있는 김재규에게 제발로 간 것이기에 최규하의 행동은 문제가 있었다.

어쨌든 최규하 총리와 이하 장관들이 육군본부로 모이기 시작했고 육군본부가 비좁았기에 이후 밤11시경 인근에 위치한 국방부 청사로 자리를 옮겼다.[8] 여기에서 비상국무회의가 열렸다.

이 국무회의에서 노재현 국방부장관의 건의에 따라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계엄령이 의결되었다.

김재규 체포

국무회의가 잠시 정회했던 시간에 노재현 국방부장관과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은 김계원 비서실장에게 대통령 시해범이 김재규라는 사실을 들었다.[9] 이어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은 김진기 헌병감에게 김재규를 체포하여 보안사령부에 인계할 것을 지시하였고 이에 따라 김재규는 보안사령부 조사실에 안치된다.

이에 대해서는 반론이 있는데 당시 국군보안사령관 비서실장이었던 허화평은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이 김재규를 ‘정중히 모시라’라고 지시했고, 시해사건 범인으로 수사하라는 지시는 하지 않았다[10]고 이야기했다.

평가

사건 이후 현재까지의 평가는 김재규의 헌정질서 파괴였다. 헌법에 따라 선출된 대통령을 김재규가 자의적으로 시해했기에 이는 헌정을 파괴한 것이라는 논리이다. 이것은 보안사령부 수사기록과 당시 군사법원의 판단이기도 했다.

그런데 최근 들어서 좌파계열에서는 김재규의 거사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유신체제라는 것이 부당한 체제이기에 최고권력자를 시해해서라도 깨뜨려야 했으며 그것을 김재규가 했다는 것이다.

즉, 이 사건에 대한 평가는 유신체제의 정당성에 따라 갈리는 것이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