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은 일제의 지배에 저항하여 1919년(기미년) 3월 1일부터 연말까지 전국적으로 벌어진 한국독립을 외친 시위운동을 말한다.

1919년 3월 1일 아침 민족대표들은 인사동(仁寺洞)의 태화관(泰和館)에 모여 최남선이 기초한 독립선언서 100장을 탁상에 펴놓고 찾아오는 사람에게 열람하게 하였으며 오후 2시 정각이 되자 한용운이 일어나 이를 낭독한 다음 일동이 대한독립만세를 삼창하였다. 이날 같은 시각인 오후 2시 탑골(파고다) 공원에서는 각급 학교 학생·시민 약 5,000명이 모였고 정재용(鄭在鎔)이 선언서를 낭독하였다.[1] 이것이 3.1운동의 시발점이다.



관련 링크

3.1운동 DB 안내 국사편찬위원회

시위 참여자 및 희생자 수

3.1운동의 시위 참여자 수와 희생자 수는 문헌마다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데, 종전에는 박은식이 1920년 집필한 『한국독립운동지혈사(韓國獨立運動之血史)』에 나오는 수치를 인용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나, 정확성에 의문이 있었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구축하여 2019년 2월 20일 공개한 3.1운동 데이터베이스에는 상당한 연구인력을 투입하여 조사한 결과가 나와 있다.

1952년 12월 제109회 국무회의에서 이승만 전 대통령의 지시로 내무부에서 전국적인 조사를 통해 작성한 명부이다. 총 630명의 희생자가 기재되어 있다.

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韓國獨立運動之血史)』 (1920년)

백암(白巖) 박은식(朴殷植, 1859 ~ 1925)의 저서 『한국독립운동지혈사(韓國獨立運動之血史)』(1920년)에는 3.1 운동에 참여한 시위인원은 약 200여만명이며, 7,509명이 사망, 15,850명이 부상, 45,306명이 체포되었다고 하였다.

어떤 방법으로 집계한 수치인지 명확하지 않아 신뢰도에 의문이 있다.

국사편찬위원회 3.1운동 데이터베이스 (2019년)

국사편찬위원회가 3.1운동 100주년 기념 사업으로 구축한 3.1운동 데이터베이스에는 시위 건수는 1,798회이고, 자료에 나타난 시위참여 인원 총합은 82~106만 여명, 사망자는 800 ~ 1,100여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2]

많은 연구 인력을 투입하여 당시 문헌들을 조사하여 얻은 결론이므로 실제에 상당히 가까울 것으로 맏어진다. 사망자 수는 최대 934 명 추정으로, 박은식의 저서에 나오는 7,509 명은 상당히 부풀려진 것으로 보인다. 국사편찬위원회는 계속해서 자료를 발굴하고 추가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 하므로 위의 수치는 앞으로 다소 변경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모르던 대규모의 사건이 새로 발견될 가능성은 거의 없으므로, 다소간 변동이 있더라도 큰 차이가 나게 변할 여지는 없을 것같다.

희생자 수 때문에 벌어진 논란

국사편찬위원회가 2019년 2월 20일 공개한 연구결과를 청와대도 보고를 받았거나 사전에 알 수 있었을 것이나, 이를 무시하고, 3.1운동 100주년 대통령 기념사에서 당시의 시위로 인한 사망자 수를 검증되지 않은 박은식의 수치를 인용하여 일본이 크게 유감을 표하였다. 일본이 국사편찬위원회의 연구결과를 알고 이를 근거로 반격하면 정부는 어떻게 대답할 것인가?

충분한 사실 확인을 거치지 않은 주장들을 함부로 내놓고 우기는 것은 한국인들의 고질병으로, 국내의 대중선동에는 상당한 효과를 발휘해 왔으나, 국제사회에서는 통하지 않는 방식이다.


3.1 운동을 바라보는 관점

비교사적 관점[3]

3.1 운동은 구미국가들이 주도한 문명적 대전환기의 도전에 창조적으로 응전하지 못하고 일제의 강점에 국권을 잃은 상태에서 윌슨민족(인민)자결주의를 수용한 지식∙종교계 민족지도자들이 주도하여 조선의 독립을 주장하고, 전국(全國), 만민(萬民)이 결집하여 일으킨 항일 만세 운동이었다.

3.1 기미독립선언서의 3대 테마는 △ 문명 속의 국가의 독립과 번영, △ 개인의 자율과 자유에 기초한 민주공화국의 비전, △ (조선∙중국∙일본) 삼국의 정립과 아시아평화의 핵심으로서의 조선의 독립이었다. 따라서 정치사로서의 3.1 운동은 우리 민족이 주권국가로서의 독립을 주창한 항일운동이지만, 시대사적으로는 한국이 세계사에 합류하는 대사건이었으며, 문명사적으로는 우리가 현대문명(Modernity)의 정신세계(Geist)에 입문한 의미를 갖는다.

조선 독립의 의지는 상해임시정부의 결성으로 항일 독립의 조직체를 결성하게 했고, 자주민의 선언은 민주공화국이라는 현대 정치체제를 선택하게 했으며, 인도(人道)와 평화의 원칙 천명은 현대문명국가의 보편적, 호혜적 비전을 세계에 알린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3.1 운동은 제국주의 시대 여타의 다른 식민지 국가들의 독립운동과는 다른 문명사적, 비교사적 특성을 갖는다. 3.1 운동이 조직되고, 전국∙만민의 운동으로 확산되어 독립∙자주∙자유의 자유민주공화국의 건설의 정신적, 정치적 원천이 된 것은 일국사(민족사)나 사건사의 차원을 넘어선 문명사적, 세계사적 의미가 부여되고 비교사적 특성이 나타난다.

민족자결주의

윌슨민족자결주의는 동유럽, 발칸지역의 ‘민족 자결’(self-determination of people)에 국한되는 것으로서 4개 제국(러시아,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오스만 투르크)을 겨냥했다. 그 결과로 오스만 투르크 제국의 해체를 겨냥한 일부 중동 지역의 국가가 독립되었다. 이러한 맥락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계몽엘리트와 종교지도자들은 ‘민족자결주의’의 세계사적 의미를 간파하고 독립∙자주∙인도의 원칙에 입각하여 항일 만세운동을 조직하고 조선인의 전국적이고 지속적인 참여를 이끌었다.

중국의 5.4 운동 촉발

조선의 3.1 독립운동은 주변국, 특히 중국 5.4운동을 촉발시켰다. 1911년 청조를 무너뜨린 신해혁명중화민국을 건국했으나 남북으로 분열되어 혼란에 휩싸여 있었다. 조선의 3.1 운동은 일본의 ‘21개조 요구’에 격분한 신지식인과 학생들이 일으킨 5.4 반일운동을 촉발시켰다. 그러나 중국의 5.4 운동은 일부 도시지역의 대학생 그룹에 국한되었고, 단기간에 종료된 사건이었다. 5.4 운동의 좌절은 다른 한편으로 중국 신지식인의 급진화를 촉진하여 1921년 중국공산당 창당의 계기를 만든다. 중국의 5.4 반일운동의 주역인 신지식인들은 러시아 혁명에서 반제국주의적 신문명의 서광을 자각했다. 5.4 운동은 중국 사회주의혁명의 선구(先驅)가 되었다. 이 점은 3.1 운동과 크게 다르다.

민족주의 운동

3.1 운동은 정치사적으로 보면 조선 독립의 요구를 결집한 민족주의 운동이었다. 그러나 1890년대 독립협회 운동 이후 계몽되고 확산되어 간 개인의 독립과 자유 의식, 입헌주의의 도입 여론의 확산 등으로 3.1 운동 이전부터 현대문명의 사상적 각성이 전개되어 왔다. 1919년 임시정부의 성립, 1948년 자유대한민국의 건국은 바로 3.1운동의 자유 의식을 근본으로 하는 현대문명의 각성, 민주공화국의 정치의식을 이어 받아 이루어진 것이다.

공화민족주의 혁명이라는 관점 [4]

3.1 운동은 1919년 바로 독립을 성취하지 못하였다 해서 결코 실패한 사건인 것은 아니었다. 그것은 구시대의 반란이나 봉기가 아니었고 종교지도자들이 이끌어 낸 독특한 민족운동이었다. 그것은 독립운동이라기보다는 최대한 합법적인 형태의 대중운동을 지향하였기에 사회운동의 형식을 띠는 것이었고 이점에서 요즘의 민주화운동의 형식과도 유사한 독특한 민족운동이었다.

먼저 3.1운동이 근대한국의 민족주의의 발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가히 혁명적이라 할 만하다는 것을 많은 이들이 인정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3.1운동을 적어도 그것이 발발한 단기간의 사건으로 접근하는 협소한 접근이 아니라 더 거시적인 흐름을 바꾸어 놓은 장기적인 사건으로 간주할 필요가 있다. 비록 애초에 정치혁명으로 고안되지는 않았으나 그것이 사상적 혁명의 계기가 된 것, 정체성의 혁명적 사건이 된 것, 그리고 본격적인 임시정부운동이라는 독립운동으로 진행된 것을 고려한다면 그것은 장기적 민족주의 혁명의 시작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3.1운동의 지도부는 민족대표 33인으로 알려졌지만 이들만이 3.1운동의 지도자들인 것은 아니다. 초기에는 33인의 종교지도자들이 전면에 나서서 이들과 직결된 이들이 민족독립시위를 조직화하고 이끌어갔다. 이들은 기독교계와 천도교계의 최고 지도자들이었다. 그러나 민족독립시위가 1개월을 넘어가면서부터 국내외에 여러 가지 임시정부가 결성되면서 3.1운동은 분명히 민족혁명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이때부터 3.1운동을 민족혁명으로 부르기 시작한 것이다. 3.1운동으로 인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었고 임시정부는 이후 줄곳 3.1운동의 계승을 천명하였다.

3.1운동의 기원과 전개

3.1운동이 1919년 봄에 일어난 것은 그것이 1차세계대전 종전과 이후 파리강화회담을 앞두고 발표된 윌슨미대통령의 민족자결주의 선언에 큰 영향을 받았던 것이 중요한 이유라고 할 수 있다. 당시 3.1운동 33인대표들의 증언에서 이점은 놀랄 만큼 분명하게 나타난다. 대부분의 민족지도자들이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선언을 잘 알고 있었고 이에 영향을 받아 3.1독립운동을 시작하게 되었음을 증언한다. 손병희, 최린, 권동진 등 천도교계 지도자들과 이승훈, 신홍식, 함태영, 이갑성 등의 기독교계 지도자들이 이구동성으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선언을 그들의 운동의 동기로 인정하였다. 물론 그것만이 원인이라기보다는 1905년 이후 일본의 보호국화와 제국주의 지배체제의 폭정과 차별정책에 대한 불만이 누적되다가 윌슨의 선언으로 불이 붙었던 것이다.

윌슨의 민족자결주의는 국제사회의 구성원리로 민족을 중시함과 동시에 약소민족의 독립자유를 중시하는 민주적 이념이면서도 국제적 질서를 더 자유롭고 평등하게 개편하는 보편적 이념으로 선포되었다. 이런 이상주의적 정신은 기미독립선언문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자유, 평등, 인도, 정의라는 자유문명의 전통이 한국의 민족주의자들에게도 중심적 원리로 수용되었다. 기독교계와 천도교계의 지도자들은 선언문이 당시 1차세계대전 종전기의 인도주의나 민족자결주의 사상에 맞게 작성되어야 한다고 합의하였고 선언문작성자 최남선은 특히 기독교 사상의 영향을 자신이 받았음을 이후 회술하였다.[5]

한국의 대중들의 독립시위에의 참여와 민족주의적 각성을 이끌어 내기 위하여 기미독립선언문은 혁명적 성격을 극도로 여과하여 우회적, 상징적으로 기술되었지만 그 주장의 요점은 평화적 민족혁명 선언과 다름 없는 것이었다. 3.1독립선언문은 조선의 독립은 근대국가의 근본원리가 구현되는 자력구제와 자기결정, 자기지배력에 있음을 강조하였고 개혁적 노선과 사상을 계몽주의 및 공화주의적 관점에서 장기적으로 친서방적 국제주의 노선을 따라서 투사한 것이다.[6]

3.1운동이 등장한 배경에는 국내외의 다양한 민족운동단체들의 활동이 눈길을 끈다. 상해 임정에서 1919년 9월에 편찬한 <한일관계사료집>에서는 신한청년당, 일본유학생, 미주의 대한인국민회들의 활동을 운동의 시초로 지목하였다. 국내에서는 천도교계와 기독교계 그리고 학생단체 등이 심각하게 독립만세운동을 준비하였지만 상해와 동경에서 독립운동 소식이 전해지면서 이들은 상호 통합된 민족운동을 준비하여야 함에 동의하고 거족적 연합전선을 구축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대한제국 구관료들의 영입은 실패하였고 유림과의 연합도 어려워졌고 동학운동과 독립협회운동, 그리고 신민회운동 및 105인 사건이라는 이전시기의 민족운동의 경험이 풍부한 천도교계와 기독교계는 대승적 합의를 이루어 냈고 학생단들이 가담함으로써 운동의 골격과 동원계획이 세워지게 되었다[7][8]

3.1운동은 민족자결주의를 한국의 민족주의의 발전에 적극적인 원리로 채택한 민족지도자들의 선견과 결단에 의해 한국민족주의의 대대적 발전을 가져다 주었다. 그것은 2개월동안 전국에서 200만이 넘는 한국인들이 대대적으로 참여한 약 1200건의 독립시위와 봉기의 대약진을 달성하였다.[9] 박은식은 상해에서 국내 3.1운동의 규모와 피해상황을 전국적으로 집계하여 <한국독립운동지혈사>를 저술하였다. 그는 1919년 3워부터 5월말까지 전국에서 무려 1542회의 시위와 봉기가 발생하였고 참여한 대중들이 200만을 넘고 사망자만 7509명, 부상자도 15961명, 투옥자가 46948명에 달하였다고 기록하였다.[10]

3.1운동초기에는 선언문에서 강조한 평화적 시위가 지켜지는 추세가 전국의 독립시위운동의 다수를 점하였지만 3-4주 중기부터 대중시위 유형은 폭력을 동반하였다. 이시기에는 일제의 폭력적 진압으로 인한 한인 대중들의 민족적 의식과 애국적 반발심이 고조되었다. 또한 3.1운동은 을사년 이래 일본제국주의의 한반도 침탈에 대한 민족적 대응이면서 동시에 초기 식민지근대화 정책에 대한 반발의 성격을 동시에 띠었기에 전국의 대도시 뿐만 아니라 농촌과 산간 지역에서도 적극적 참여를 보였다.

3.1운동의 대중적 확산기에 만세시위는 몇 가지의 대파도의 양상으로 전국에서 전개되었다. 초기의 제1파도는 북부지방을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강력한 대중동원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경남 지방을 중심으로 전개된 제2파도의 민중시위들은 강렬하고 끈덕진 공동체적 방어적 집합행동의 특징을 보여주었다. 3월말 4월초에 중부지방을 강타한 제3파도는 경기와 충청지역에서 전개되었고 참여계층도 다양화되어 도시화된 수도권과 경기지역의 노동자들과 보수유림층 전통이 강한 충청지역 주민들로 확산되었다.[11] 이와 같이 3.1운동이 1919년 3~4월 약 2개월동안 전국적인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 것은 근대 및 전근대부문의 대중들을 복합적으로 동원한 프랑스혁명기의 다중혁명(multiple revolutions) 양상과 유사한 상황이 전개되었음을 시사한다.[12] 전국각지에 각계 각층의 대중들이 참여한 3.1운동의 독립시위와 투쟁을 통해 수개월만에 한국 대중의 민족의식은 크게 진보하였고 다양한 한인들이 이후 민족운동과 독립운동에 대거 참여하는 큰 변화가 나타났다.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과 3.1혁명

3.1운동의 대중화의 단계인 3월말 4월초에 이르러서 국내외의 한국 민족주의자들은 임시정부 수립 운동을 일으켰다. 3월말부터 해외에 여러 개의 임시정부가 등장하였고 이들은 3.1운동의 계승과 민주공화제 국가수립 목표를 천명하였다. 1919년 상반기에만 거의 7개의 임시정부가 선포되었고 그중에서 대표적인 3개 정부인 상해임시정부, 노령 대한국민의회, 한성정부가 3-4월에 경쟁적으로 선포되었다.[13] 이들 한국 민족주의자들은 이시기에 민주공화국의 수립을 목표로 천명하였고 본격적인 공화민족주의혁명운동이 전개되었다. 민족독립운동의 구심점으로 등장한 대한민국임시정부들은 구왕정의 재건이 아니라 한결같이 새로운 공화정의 수립목표를 공개적으로 천명하였다. 1919년 4월 13일에 선포된 상해임시정부는 임시헌장 제1조에서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함”이라고 선언하였다.

4월 23일 국내에서 이규갑, 홍진, 한남수, 조만식 등의 민족지도자와 13개도대표들의 국민대회를 기반으로 등장한 한성정부는 공화주의적 정부로서 최고의 정통성을 가졌다고 간주되었다.[14] 의병운동과 민족교육운동 그리고 기독교목사의 활동을 해온 이규갑은 기독교계와 유림-의병운동계를 아울르고 천도교계와 불교계 인사를 영입하여 임시정부 대표진을 조직하였다. 현석칠, 박용의, 장붕 등은 그의 주변의 기독교계 목사들이었고 이규갑은 서울 파고다공원 3.1운동 선언문 낭독의 현장에도 관여하였고 상해의 현순과도 연락을 주고받았다.

이규갑과 홍진이 이끈 한성정부 역시 민주제와 대의제를 표명하였는데 여기서 대의제란 공화제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이것도 민주공화제를 선포한 것이다. 이승만윌슨대통령에게 보낸 1919년 4월 30일자 서신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를 1919년 3월 1일에 수립된 것이라고 밝혔다.[15] 이승만이 임정이 3.1운동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분명한 의식을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는 5월말 한성정부의 소식을 듣고 한국이 “완전히 조직된 자율적 정부 또 민주적 국가”가 되었다고 선포하였다.[16]

이승만은 1919년 6월에 대한민국 임시대통령 선언서에서 3.1운동을 “수세적 대혁명”, 즉 영문으로 Great Passive Revolution 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17], 이는 평화적인 방략으로 출발한 독립운동이 혁명적 운동으로 비화했음을 의미하는 표현일 것이다. 중요한 것은 그것이 대혁명으로 인식된 것이다. 이승만 뿐 아니라 상해임정의 대부분의 인사들이 3.1운동을 3.1혁명으로 불렀다. 그럼 여기서 혁명은 어떤 의미를 가진 것인가? 임시정부연구의 권위자인 이현희교수는 3.1민주혁명이라는 주장을 제기하였다. 필자의 견해로는 혁명은 민족주의 혁명인 동시에 공화주의 노선을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화민족주의 혁명을 의미한다고 판단된다. 대혁명은 한반도에서 가장 놀랄만한 대중들이 참여한 혁명적 사건이라는 의미일 것이다.

1919년 5월 미주에서 국민회의 지원으로 도산 안창호가 상해에 도착하였다. 그는 이후 의정원세력을 이끌고 한성정부를 중심으로 3개정부의 통합을 추진하였고 1919년 9월에 한성정부체제로 3개 정부의 대통합을 달성하였다. 이승만과 상해임정의 지도자들은 대한민국임정이 국제사회의 국제법으로 인정하는 망명정부단체가 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요건을 충족시키려고 노력하였다. 이 경우에 가장 중요한 것이 “국가내부적인 근거를 가진 세력”이라는 점이다.

상해에 도착한 안창호는 먼저 상해에 도착한 한성정부의 이규갑과 수차에 걸쳐서 두 정부의 통합문제를 의논해 왔다. 안창호는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우리 정부의 유일무이함을 내외에 표시함은 긴요한 일이니 여차히 하려면 상해정부를 희생하고 한성의 정부를 승인함이 온당할지니라”라고 상해 임정인사들을 설득하였고 그래서 임정지도자들은 한성정부의 법통성을 중심으로 3개의 임시정부를 통합한 것이다.[18] 이후 한성정부 인사, 이규갑, 홍진, 한남수 등은 상해임정에서 활동을 하였는데 이규갑은 의정원의 충청도 대표의원을 맡았고 1926년 7월 홍진은 임시정부 국무령직을 맡기도 하였다.

도산의 3개 임시정부통합 노력은 주로 인적인 통합에 치중하여 이승만이동휘, 안창호의 3거두세력의 통합에 그친 면이 있다. 내각제체제인 상해임정체제와 대통령제체제인 한성정부체제의 통합이 체제의 통합은 불완전한 상태로 남아있었고 실상은 상해임정이 조직적으로 우세를 점하면서 이후 임정체제를 둘러싼 임시대통령측과의 갈등의 소지를 남겨놓은 것이다.

일제의 탄압과 공작으로 인해 단기적 독립성취는 실패하였지만 장기적으로 한국민족의 민족주의적 대각성을 가져왔다. 애초에 구주의 터키나 오스트리아-헝가리 및 구독일제국과 같은 구주제국의 붕괴지역의 소수민족독립의 사례와는 달리 한반도와 동북아에서 일본의 강력한 군사적 팽창주의 아래 놓인 한국의 독립문제는 단기적으로 달성되기 힘들었다. 민족자결주의를 선포한 미국은 일본의 요동반도에 대한 지배권을 반대하였지만 일제의 한반도의 독립까지 요구할 생각은 아직 없었다. 따라서 한국의 독립의 길은 장기적 투쟁과 고난의 과정을 가야 하는 길이었다.

3.1운동의 외교와 민족자결주의

윌슨민족자결주의는 1918년 종전기와 1919년 파리강화회의 개최초기에 세계적인 이상주의와 낙관주의의 흐름을 타고 동아시아와 한국의 민족주의자들에게 큰 기대감을 가져다주었다. 그러나 윌슨의 민족자결주의는 파리강화회담에서 식민지를 보유한 유럽국가 및 일본의 반대와 요구에 직면해야 했고 이들과의 복잡한 외교관계에서 여러 가지 장애물에 직면하게 되었다. 윌슨이 자결주의를 1차세계대전 종전기에 국제사회의 새로운 이상주의적 원리로 제시한 것과 파리강화회의에서 열강들 사이의 현실적 외교적 및 정치적 관계가 진전되는 것은 두 개의 다른 과정이었다. 전자가 윌슨의 이상주의적 도덕주의적 리더십이 창의적이며 선도적으로 제기한 것이라면 후자는 냉엄한 국제정치의 현실인 강대국국제관계의 전개가 그 위력을 보여주는 것이다. 물론 윌슨의 민족자결주의는 결코 피상적인 생각이나 이념은 아니었다. 그것은 그에게는 심대한 것이고 미국 건국정신의 산물이면서 동시에 세계사에서 대표적 민주국 미국이 분명히 제기해야 하는 문명적 사명의 핵심 사안이었다. 그런데 윌슨의 14개조항 선언은 다소 추상적인 표현들로 현실적 외교정책을 위해서는 더 구체화할 필요가 제기되었고 윌슨의 참모인 하우스대령은 이를 구체화하였고 그 과정에서 유럽에서의 소수민족들의 사례에만 적용되는 한계 내에서 추진되었다. 1차세계대전이라는 세계전쟁의 과정에 직접 참여하지 않은 소수민족의 문제나 한국의 독립문제는 파리강화회의에서 안건으로 채택되지 않았다.

현실국제정치에서 윌슨 대통령의 이상주의는 많은 장벽에 부딪쳤고 단기적으로는 심각한 좌절과 수정을 겪게 되었다. 민족자결주의의 범위가 축소된 것이나 미국 상원에서의 비준거부에 따른 국제연맹에의 가입의 좌절된 것도 국제사회와 미국내의 현실정치의 높은 벽들의 존재했기 때문이었다. 윌슨의 자결주의 원리는 파리회의에서 유럽의 3개제국의 붕괴와 신생국의 탄생으로 구현되었다. 폴란드와 체코와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와 핀란드가 패전국이자 구제국들 통치로부터 독립하였다.

1919년부터 2-3년간 한국의 독립운동은 3.1운동의 여세를 몰아서 비교적 활기있게 전개되었다. 비록 일본이 독일에 대한 승전국 지위를 유지한 상태였기에 파리강화회의에서 한국의 독립은 제기되지 못하였지만 열강의 국제외교에 임시정부 인사들의 선전활동은 서서히 변화를 만들어 가고 있었다. 이승만서재필, 정한경 등 한인들은 1919년 4월 필라델피아에서 <대한인총대표회의 First Korean Congress)를 개최하여 3.1운동을 미주에서 본격적으로 지지하며 독립을 원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하였다. 이 회의에는 서재필, 이승만, 민찬호, 윤병구, 김현구, 정한경, 임병직, 장택상, 조병옥, 유일한, 김노디 등 미주 전역에서 한인대표들 150여 명이 대거 참석하였다. 또한 이 회의에는 미국 학계와 종교계 언론계의 인사들이 다수 참석하였는데 빌라노바대학 총장 제임스 딘, 필라델피아의 버코윗츠 박사, 필라델피아 사제 톰킨스박사, 기독교지도자 맥카트니 박사와 오벌린대학의 밀러교수, 스와스모대학의 레이머박사 등이 확인된다.[19] 이후 상해임정에서 국무총리 임명사실과 한성정부에서 집정관총재 임명을 통보받은 이승만은 6월부터 대한공화국의 탄생을 알리고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을 본격적으로 전개하기 시작하였다.[20]

1919년 6월부터 10월까지 미국의 의회에서 미 네브라스카 주의 노리스(George Norris) 상원의원과 미주리 주의 스펜서(Selden Spencer) 상원의원 등의 국회의원들이 3.1운동과 한국의 독립문제를 놓고서 일제의 한국통치를 비판하고 결의안 채택을 둘러싼 찬반 토론을 활발하게 제기하였다.[21] 스펜서의원은 <한미수호통상조약>(1882)의 정신을 들어 미국의 중재를 요구하였는데 비록 이런 제안이 위원회의 승인을 받지는 못하였다. 어쨌든 이런 재미한인민족주의자들의 활동은 미국정계와 지도층들의 한국문제에 대한 인식의 변화의 흐름을 이끌어내기 시작하였고 장차 미일전쟁기에 대비하여 미국내 일본경계심과 한국동정론을 확산시킨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3.1운동후 중국 상해를 중심으로 활동한 안창호, 이동녕, 김구, 김규식, 박은식, 조소앙, 홍진, 신채호, 이규갑, 차리석 등의 수많은 한인 민족지도자들은 애국적 민족독립운동을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임정이 한국독립운동의 중심기관으로 등장한 것은 한인들의 독립운동의 대외적 위상을 제고하는 중요한 국제적 평가기준이 되는 것이기에 1919년 9월에 상해에서 출범한 대한민국임시정부는 한인독립운동가에게는 가장 중요한 독립운동기관이었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독립운동가들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대표적인 노령, 상해, 미주 및 국내의 독립운동가들이 3대임시정부 통합을 통해 하나가 되었다. 독립운동과정에서 이승만과 김구, 안창호 및 이동휘 등의 임정지도자들의 공화주의 노선의 구체적 시행을 둘러싸고 일시적 파벌 갈등관계에 놓이기도 하였다. 노령정부를 대표하는 이동휘는 1919년 8월말 상해로 이주하여 노령정부를 해체하고 상해정부와 통합을 단행하였고, 9월 8일 도산 안창호는 상해임정이 국내 13도 대표가 국민대회를 통해 “피로 수립한 한성정부”의 법통성을 존중하여 자발적 해체를 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여 한성정부체제로 통합될 것을 선언하였다.

일본은 워싱턴군축회의(1922.11.- 1923.2.)에서 태평양지역의 군비축소회의에서 강대국으로 그 우월적 지위를 미국과 영국 다음 가는 해군함의 배치비율(60%)을 통해 인정받았다. 한국민족주의자들은 이승만과 서재필 등의 한인독립운동가들과 대표단을 현지에 보내 적극적 독립선전활동을 벌였으나 열강은 여전히 한국독립의 요구를 외면하였다. 한반도에서의 일본의 지배력에 대하여 열강은 큰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1920년대의 장기적 한국 민족독립운동의 침체의 구조적 요인은 이러한 아시아-태평양지역의 국제정세의 기본적 흐름이 일본에게 유리한 상황에 크게 변화가 없었기 때문이다. 워싱턴회의이후 태평양전쟁 직전까지(1923~1941년)의 시기는 한국의 민족운동에는 침체기였지만 이 시기에도 미주와 중국에서 해외독립운동가들의 활동은 이어졌다.

태평양전쟁과 3.1운동의 부활

1941년 12월 일본의 기습에 의한 미 진주만 사건을 통해 미-일 사이에 태평양전쟁이 발발하여 3.1독립운동의 사건의 의미는 다시금 조명을 받게 되었다. 1942년 3월 1일 미주에서 이승만은 워싱턴 라파이에트호텔에서 한미협회와 재미한족연합위원회와 공동으로 <한인자유대회 Korea Liberty Conference>를 개최하였다. 이 회의는 23년전 기미년 만세독립운동을 되돌아보며 한민족의 독립과 민주공화국 수립 의지를 다시금 국제사회에 천명하고 아울러 대한민국임시정의 승인을 촉구하는 활동을 통해 한국독립운동의 재개를 알리는 큰 행사로 치러졌다. 이 회의에는 이승만, 서재필, 장기영, 김용중 한국계의 교포들 뿐만 아니라 미국의 저명한 친한인사들과 한미협회의 회원들이 참석하였다. 상해의 오랜 선교사 활동을 해온 조지 핏치와 그의 부인, 그리고 호머 헐버트 박사, 언론인 존 스태거즈, 제롬 윌리엄즈, 선교사 해리스 박사 등이다,

이어서 1942년 여름에 중국에서도 김구조소앙이 한인자유대회를 개최하여 미주와 동아시아에서 동시에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이 재개되었다. 한국 독립의 큰 기회가 온 것을 확신한 이들 임정지도자들은 국제사회에 한국독립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미주에서는 한국의 독립과 일본의 침략을 알리는 이승만의 <일본내막기 Japan Inside Out>(1941)의 재판이 매진되는 등 대대적 한인의 민족주의 활동이 재개되었다.

윌슨의 민족자결주의는 장기적으로는 시대적 흐름을 앞서간 이념이었고 1차대전 직후 유럽에서의 영토변경의 주요한 원리로 채택되었고 그 결과 폴란드, 체코, 발틱 3국 등의 다수의 신생국가들이 탄생하였다. 비록 비유럽지역인 동북아에서는 단기적으로 그 적용이 배제되었지만, 2차대전기에는 다시 대서양선언으로 민족자결주의 사상은 부활하였고 국제연합의 성립과 더불어 유엔헌장에서 국제사회의 원칙으로 채택되었다. 한국의 독립문제도 1943년 연합국의 루스벨트, 처칠, 장개석 사이의 종전기의 중요회담인 카이로회담에서 전격 채택되었다. 미국, 영국이 오랜 일본중심의 외교정책노선을 포기하고 한국독립지지를 처음으로 공식 선언한 것이다.

공화민족주의 대혁명 3.1운동

한인 민족운동지도자들은 재정적 결핍과 일제의 탄압 등 매우 어려운 환경 아래서 독립운동을 해야 했고 이들은 독립운동과 임시정부의 분열은 일제가 원하는 바이고 한인들의 민족운동은 통합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늘 중시하였다. 이들의 갈등은 독립운동 내의 다양성이라는 점으로 볼 수도 있으며 크게 볼 때에 한국의 민족주의의 발전과 독립가능성을 제고하게 된 자산이었다. 강력한 일본의 탄압과 교란책으로 인해 비록 1919년과 그 직후에 단기적인 독립의 획득에는 실패하였지만 1919년 한국의 만세독립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은 한반도내외 미주, 중국, 러시아, 유럽 등지에서 한인들의 독립의지를 지속적으로 전파하고 알리는 데에 중심적 역할을 다하였다.

1919년 한국의 민족운동지도자들이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의 영향을 받은 것은 매우 중대한 사실이었다. 그것은 당시 여러 약소민족들의 지도자들이 그랬던 것처럼 결코 국제정세를 잘못이해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도 아니었고 또한 이들이 주체의식이 약해서 외래사상에만 영향을 받은 것도 아니었다. 이시기의 국제관계와 민족운동을 연구한 많은 학자들이 밝혔듯이 전세계 식민지약소민족 지도자들의 상당부분이 윌슨의 자결주의 선언에 크게 영향을 받고 1919년 봄에 파리로 모여들었다.[22] 한국의 민족주의자들과 3.1운동 지도자들이 이런 천금의 기회를 민족독립의 호기로 인식하고 파리강화회의에 민족대표를 파견하기로 한 것은 날카로운 국제정세의 변화와 전개에 대한 판단능력에서 가능했던 것이다.

국내 이승훈, 함태영 등 기독교계와 손병희 최린 등 천도교계 그리고 미주 대한인국민회와 상해 신한청년당과 노령의 국민의회 등의 해외 한인들의 망명민족운동단체들은 세계사의 흐름을 적극적으로 해석한 토인비가 말한 “창조적 소수자”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의 선도적이며 희생적인 활동을 통하여 3.1독립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가 등장하였고 이런 계기를 통하여 한국 민족이 세계사에 적극 동참하게 된 것이다. 결국 우리 민족은 일제강점 10년만에 민족자결주의 사상을 적극 수용하고 국제사회에 본격적인 한국의 독립국가수립 의지를 천명하고 민주공화정 수립이라는 민족혁명의 대장정에 뛰어들었던 것이다.

이후 해방직후 미소의 신탁통치정책과 이로 인한 정국혼란 등의 위기가 있었으나 그 중심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주요 인사들이 있었다. 해방이후 임시정부의 대표인사인 이승만김구는 약 2년동안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비록 강성의 인사들이었지만 대한민국건국을 위하여 두 사람은 협력관계를 중시하였던 것이다.[23] 한편, 1948년 1월 김구와 미군정의 관계가 장덕수암살사건 수사를 둘러싸고 악화되면서 김구는 아쉽게도 이승만과 결별하게 된다. 한편, 이승만은 북한지역의 인사들이 만든 조선민주당의 부당수를 역임하다 월남한 이윤영을 적극 우대하였는데 이는 한성정부와 관련이 깊은 조만식 당수에 대한 배려의 의미도 있었다.

1947년 11월 14일 유엔총회에서 미국의 활동에 힘입어 한국독립에 관한 결의안이 42대 0이라는 압도적 지지로 통과되었다. 유엔감시하의 한반도 자유총선거의 실시가 결정되어 이듬해 1948년 5월의 총선거를 성공적으로 치르게 되었다. 비록 소련과 북한 등 공산권에서 방해공작이 있었지만 험란한 과정을 극복하고 마침내 대한민국은 1948년 8월 근대민족국가를 수립하여 장기간의 공화민족주의 대혁명의 장정의 길을 완수하게 된 것이다.

3.1운동에 시위참가 "협박"도 있었다

천정환 성균관대 교수 '민중 탄생'론 반박
천 교수는 20일 성균관대 600주년기념관에서 열린 '3.1운동 90주년기념 국내전문가 집중토론회'에서 발제문 '소문(所聞)ㆍ방문(訪問)ㆍ신문(新聞)ㆍ격문(檄文): 3.1운동 시기의 미디어와 주체성'을 통해 3.1운동 당시 일부 지식인들이 무식했던 일반 민중에게 시위에 참가하라고 협박한 사실을 주목했다. 그는 당시 재판 기록을 보면 기소된 피고인 중 '무식자'(無識者)들은 "'유식자'의 선동에 의해 (시위에) 참가했다고 진술"했으며, 유식자들의 선동은 때로 "'만세를 안 부르면 밟아 죽인다', '집을 불태워버리겠다'는 협박에 기초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천 교수는 "협박은 주로 마을의 '유지' 등 식자층에 의해 행해진 것으로, 그 대상은 특히 '무식한' 민중이었다 할 수 있다"고 덧붙이면서 "정치적 무책임의 세계에 살던 민중은 아직 '민족'으로도 '민중'으로도 형성돼 있지 않았던 건 아닐까?"라고 조심스럽게 '3.1운동의 민중 탄생' 담론을 반박했다.

천 교수는 이 같은 사실들이 "거대한 적과 맞서야 하는 '운동'의 조급함이 언제나 불러일으키는 '잡음' 같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겠지만 "협박은 연대나 접속이 아니라 무조건 동원 또는 탈접속"이라는 점에서 3.1운동을 통해 민중이 탄생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에둘러 지적했다.

이러한 협박의 사례는 당시에 작성된 공판청구서에도 나온다.

3ㆍ1운동에 참여했다 검거되어 조사를 받은 사람들 상당수는 무식해서 뭔지 모르는채 강요에 의해 참가했다고 하는 경우가 많았다. 처벌을 가볍게 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그런 식의 진술을 한 경우도 있을 것이나, 당시의 문맹률과 민도를 감안하면 실제로 내용도 모른 채 주변사람들에 끌려 참가한 경우도 상당히 많았을 것으로 보인다.

여파

3.1만세를 계기로 우파 민족주의와 좌파 사회주의들 간에 독립운동의 경쟁과 대립이 일기 시작했다.

3.1사건 이후로 일본은 헌병통치와 같은 강압적인 통치에서 문화통치라고 하는 유화적인 통치로 바꾼다. 사실 이 유화적인 통치로 많은 조선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순응하게 된다.

3.1운동 자체가 폭동적인 성격이 없다고 보기 힘들다 일제의 지배에 대한 불만이 폭발해서 폭력적인 성향을 띠는 경우도 많았다.

임시정부라는 게 3.1운동으로 인해 탄생했고 대한민국 헌법에서는 대한민국이 3.1운동에 의해 생긴 임시정부의 법통을 있는다고 규정해 놓았다.

참고 자료

독립운동사 제2권 : 삼일운동사(상) : 1971년 10월
독립운동사 제3권 : 삼일운동사(하)

관련항목


각주

  1. 한국독립운동정보시스템
  2. 3.1운동 DB 안내 국사편찬위원회
  3. <3.1운동과 한미 민간동맹의 기원>, 3.1운동을 보는 새로운 관점, 조성환, 2019, pp 13-17
  4. 1세기 후에 돌아본 3.1운동: 1919년 한국 공화민족주의 혁명의 시작, 마인드 300 심포지움, 김용직, pp 29-38
  5. <3.1운동과 기독교계>, 3.1운동 50주년 기념논집, 동아일보, 김양선, 1969
  6. <3.1운동의 정치사상>, 동양정치사상 4권 1호, 김용직, 2005
  7. <3.1운동발발의 경위>, 한국근대사론 2: 일제식민지시대의 민족운동, 신용하, 1977
  8. <3.1운동과 기독교계>, 3.1운동 50주년 기념논집, 동아일보, 김양선, 1969
  9. <3.1독립운동의 지방시위에 관한 연구>, 국학자료원, 이정은, 2009
  10. <한국독립운동지혈사>, 박은식, 1920
  11. <사회운동으로 본 3.1운동>, 한국정치학회보 28집 1호, 김용직, 1994, pp 63-70
  12. <3.1운동과 집합행동: 역사사례데이터 분석을 통한 연구>, 한국정치학회보 36집 3호, 김용직 2002
  13. <3.1운동발발의 경위>, 한국근대사론 2: 일제식민지시대의 민족운동, 신용하, 1977
  14. <대한민국임시정부사연구>, 이현희, 2001
  15. <이승만 영문 서한집 1권>, pp 106-7
  16. <이승만 영문서한집 1권>, pp 122
  17.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8권>, 국사편찬위원회, pp 43-5
  18. <대한민국임시정부사연구>, 이현희, pp 89
  19. <건국대통령 이승만>, 유영익, pp 294-9
  20. <건국대통령 이승만>, 유영익
  21. <초국가적 국가 건설운동-집단이주 한인과 한국독립운동>, 미주 한인의 민족운동, Richasd S. Kim, 2003
  22. <윌슨, 민족자결주의, 3.1운동>, 3.1운동50주년기념논집, F 볼드윈, 1969
  23. <이승만과 김구> 손세일, 1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