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 |
약칭 |
인권위, NHRC |
설립 |
|
산하기관 |
|
예산 |
|
직원 |
206명[3] |
주소지 |
|
웹사이트 |
국가인권위원회(國家人權委員會)는 인권의 보호와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합의제 행정기관으로서 행정부에 속한 중앙행정기관이면서도 국무총리가 통할하는 행정각부에는 속하지 않는 독립기관에 해당한다.
조직
위원장 1명과 상임위원 3명을 포함한 11명의 위원으로 구성하며 이때 위원장과 상임위원은 정무직으로 한다. 위원은 인권 문제에 관하여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있는 사람 중에서 대통령이 임명하되, 국회가 4명을 선출하고 대통령과 대법원장이 각각 3명씩 지명한다. 위원의 임기는 3년이며 한 차례 연임이 가능하다.
문제적 단체로 보인다. 여러가지로 이상한 결정을 많이 내리고 있다.
탈북귀순어민들을 눈을 가리고 북송한 것에 대해 기각 결정을 내린 다던지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
김대중 정부 | 초대 | 김창국(金昌國) | 2001년 11월 25일~2004년 12월 23일 |
노무현 정부 | 2대 | 최영도(崔永道) | 2004년 12월 24일~2005년 3월 23일 |
3대 | 조영황(趙永晃) | 2005년 4월 4일~2006년 10월 2일 | |
4대 | 안경환(安京煥) | 2006년 10월 30일~2009년 7월 8일 | |
이명박 정부 | |||
5대 | 현병철(玄炳哲) | 2009년 7월 20일~2012년 7월 19일 | |
6대 | 2012년 8월 13일~2015년 8월 12일 | ||
박근혜 정부 | |||
7대 | 이성호(李聖昊) | 2015년 8월 13일~2018년 8월 12일 | |
문재인 정부 | 8대 | 최영애(崔永愛) | 2018년 9월 4일~2021년 9월 3일 |
9대 | 송두환(宋斗煥) | 2021년 9월 4일~ | |
윤석열 정부 | 10대 |
|
각주
- ↑ 기획재정부.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예산편성현황(총수입)》. 2023-02-28에 확인함.
- ↑ 기획재정부.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세목 예산편성현황(총지출)》. 2023-02-28에 확인함.
- ↑ 「국가인권위원회와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 2·별표 6
- ↑ 더 많은 지도 사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