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미(信眉)는 조선 초의 고승이다. 세종, 문종, 세조 등 세 왕의 존숭을 받았으며, 불경 언해와 간행에도 많은 기여를 하였다. 혜각존자(慧覺尊者) 또는 수암화상(秀庵和尙) 등으로도 불린다. 영화 《나랏말싸미》에 한글창제의 주역으로 나오는 바람에 근래 주목을 받고 있다.

혜각존자 신미 진영 (慧覺尊者 信眉 眞影). 우측에 선교도총섭 밀전정법 비지쌍운 우국이세 원융무애 혜각존자(禪敎都摠攝 密傳正法 悲智雙運 祐國利世 圓融無碍 慧覺尊者)라는 문종이 내린 사호(賜號)가 적혀있다.[1]

생애

신미(信眉)는 영동(영산) 김씨로 속명이 김수성(金守省)이며, 충청도 황간현 출신이다. 아버지는 옥구진(沃溝鎭) 병사였던 김훈(金訓)이며, 어머니는 여흥(驪興) 이씨로 이행(李行, 1352~1432)의 딸이다. 정확한 생졸년은 불명이나 동생 김수온(金守溫, 1410 ~ 1481)보다는 먼저 태어났고, 1480년경까지 생존해 있었다.

행장이나 비문이 남아있지 않아 그의 초기 행적은 불명이다. 그의 정확한 출가 연도도 알 수 없으나, 어렸을 때 출가했을 가능성이 크다. 여러 행적으로 보아 함허 기화(涵虛 己和, 1376~1433)의 제자로 추정되지만, 『함허화상어록(涵虛和尙語錄)』에 나오는 제자 명단에 그의 이름은 없다.

세조가 스승으로 모시던 스님이고, 배불적이던 세종이 소헌왕후(昭憲王后, 1395~1446)가 세상을 떠나면서 불교에 귀의하여 스승으로 받들었다. 이처럼 신미는 왕들의 스승으로, 그에 대한 기록도 무수히 많이 남아 있다.

신미는 속리산 법주사 부속 암자인 복천암(福泉庵)[2]에 주로 거주하였으며, 부도도 거기에 세워져 있고 보물 제1416호로 지정되었다.[3] 곁에는 보물 제1418호인 제자 등곡 학조(燈谷 學祖)의 부도가 있다.[4]

같은 시대에 세조가 존숭한 승려로 묘각 수미(妙覺 守眉)가 있는데, 도갑사에 있는 그의 비문에 법주사에서 신미와 같이 공부했다고 하였다. 나이도 동갑이고 이름도 같은 미(眉)자를 썼기 때문에 두 사람은 각별한 사이였다고 한다. 수미의 비문은 후대에 지은 것이라 명백한 오류도 더러 보인다.[5][6]

한글 창제에 관여했나?

신미가 한글 창제의 주역이라는 주장은 주로 불교계 주변에서 나왔다. 일찍 몇몇 사람들이 한글이 범어(梵語,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다는 주장을 한 바 있고, 신미가 범어에 능통했기 때문이다. 다른 근거도 제시되고 있으나 모두 정황적인 추정일 뿐이고, 그가 한글 창제에 참여했다는 직접적인 기록은 없다.

신미의 출신 가문인 영산 김씨(永山 金氏) 족보에는 신미가 출가하기 전에 집현전 학사로 있었다는 기록이 있고 [‘집현원학사(集賢院學士)’로 ‘세종의 총애를 받았다(得寵於世宗)’], 이것도 그가 한글 창제에 간여했다는 증거라고 제시된다. 하지만, 집현전 학사들의 이름은 대체로 알려져 있는데, 그가 실제로 집현전 학사였을 가능성은 별로 없는 것 같다.

또 훈민정음은 1443년 창제, 1446년 반포인데, 세종실록과 문종실록에 의하면 세종이 신미(信眉)를 처음 안 것은 병인년(1446년)이다.[7][8] 따라서 신미는 한글 창제와는 아무 관련이 없다. 다만 한글을 가장 빨리 익혔던 모양으로 세조 때 불경 언해 사업에 많이 관여하였고, 당시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불서에 신미의 이름이 수도 없이 나온다.

조선 왕들과의 관계

세종, 문종, 세조 실록에 신미(信眉)의 이름이 자주 나온다. 실록의 편찬은 유신들이 맡았으므로 왕들이 승려를 존중하는 것을 못마땅히 여겼고, 신미 뿐만 아니라 승려들에 대해 좋게 기록한 경우는 거의 없다.


왕실에서 복천사(福泉寺)의 신미(信眉)에게 불사용 물품과 함께 보낸 서첩이다. 서두에 나오는 미사(眉師)는 신미(信眉)를 가리킨다. 조선국왕은 세종 본인이며, 세자는 문종이고, 이어서 효령대군, 수양대군(세조), 임영대군 등 왕자들과 수결이 나온다. 만년의 세종이 불교에 귀의하여 신미를 상당히 존숭하고 있었다는 확실한 증거이다.

문종은 세종의 유지를 받들어 신미에게 "선교도총섭 밀전정법 비지쌍운 우국이세 원융무애 혜각존자(禪敎都摠攝 密傳正法 悲智雙運 祐國利世 圓融無碍 慧覺尊者)"라는 긴 칭호를 내렸다.[1]

숭불군주였던 세조는 신미를 지극히 존숭하였고, 불경을 언해하여 간경도감에서 간행하는 일을 신미가 주관하게 했다. 당시 간행된 불서들이 현재도 많이 남아있고, 초기 한글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동생 김수온(金守溫, 1410 ~ 1481)이 지은 『복천사기(福泉寺記)』에도 여러 왕들이 신미를 존중한 사례들이 나온다. 김수온은 괴애(乖崖), 식우(拭疣) 등의 호를 썼다.

와유록[臥遊錄 v12] 『福泉寺記』 乖崖 (텍스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와유록[臥遊錄 v12] 『福泉寺記』 乖崖 (이미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함께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