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육서란 한자를 만들때 사용하는 여섯가지 원칙으로 한자의 제자 원리를 분류해놓은 것이다.

제자(製字) 원리

한자의 형성 과정을 크게 여섯 가지로 나눠 육서(六書)라고 한다. 후한의 허신(許愼)이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한자를 상형, 지사, 회의, 형성, 전주, 가차 등 여섯으로 나누어 한 설명이 현재 한자의 제자 원리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 기초가 되었다. 육서는 다음과 같다.

  • 상형(象形)
二曰象形。象形者,畫成其物,隨體詰詘,日月是也。

두번째는 상형이라고 한다. 상형이라고 하는것은, 그림이 물건이 되며, 모양에 따라 굽는데, 日과 月이 이와 같다.

자연에서 볼 수 있는 형태를 글자로 사용하는 것을 상형이라고한다. 대개 부수(部首)가 상형자이다

  • 지사(指事)
一曰指事。指事者,視而可識,察而見意,上下是也。

첫번째는 지사라고 한다. 지사라고 하는것은, 보는 것으로 아는것이 가능하고, 고찰하면 그 뜻이 나타나는데, 上과 下가 이와 같다.

지사는 상형과는 다르게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낸다.

  • 회의(會意)
四曰會意。會意者,比類合誼,以見指撝,武信是也。

네번째는 회의라고 한다. 회의라고 하는것은, 글자를 늘어놓아 뜻을 합치고, 보이는 것을 나타내는 것인데, 武와 信이 이와 같다.

한자의 80%가 회의자라고 한다.

  • 형성(形聲)
三曰形聲。形聲者,以事爲名,取譬相成,江河是也。

세번째는 형성이라고 한다. 형성이라고 하는것은, 사물이 뜻을 가지고, 소리를 취해 서로 완성되는것인데, 江과 河가 이와 같다.

형성이란 한자를 구성하는 하나의 부수는 소리를 구성하고, 하나의 부수는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컨데 江의 工(공)은 소리를 구성하고 水(삼수변, 수)는 의미를 가르킨다.

  • 전주(轉注)
五曰轉注。轉注者,建類一首,同意相受,考老是也。

다섯번째는 전주라고 한다. 전주라고 하는것은, 비슷한 부류의 것을 늘어놓고, 같은 의미를 서로 받는것인데, 考와 老가 이와 같다.



六曰假借。假借者,本無其事,依聲託事,令長是也。

여섯번째는 가차라고 한다. 가차라고 하는 것은, 원래 의미가 없는 것을, 다만 소리만 의탁하는데, 令과 長이 이와 같다.

무슨 소리인가 싶겠지만 발음이 비슷한것을 그대로 쓸때 한자의 소리만 빌리는 것이다. 예컨데 불어(佛語)의 불(佛)은 원래 부처를 의미하지만 이 경우엔 "프랑스"라는 소리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차자이다. 마찬가지로 기하학(幾何學)의 기하(幾何)도 "geometry"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된 가차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