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0미터 14좌는 모두 히말라야산맥과 카라코람산맥에 위치하고 있는 8,000미터 이상의 봉우리 14개를 이르는 말이다.
개요
히말라야의 봉우리를 높이로 분류한 최초의 기록은 영국에서 출간된 <히말라야와 티베트의 지리지질 개요>( 1907년 초판. 1933년 개정판 간)인데 이 책에는 히말라야의 고봉이 피트 단위로 실려 있다. 이에 따르면 24,000피트(7,317m) 이상의 봉우리가 93개이고 26,000피트(7,924.8m) 이상이 18좌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미터법을 공용으로 사용하고부터는 이러한 구분이 없어지고 7천, 8천미터급으로 분류하게 되었다. 이것은 1950년 프랑스대가 안나푸르나1봉(8,091m)을 초등정하고 나서 '인류 최초의 8천미터 봉우리 등정'이라고 강조하면서 더욱 굳어지게 되었다.
히말라야산맥에 8천미터가 넘는 봉우리가 14개만 있는 것은 아니다. 8천미터 이상의 높이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14좌 리스트에 끼지 못하고 위성봉 취급을 받고 있는 봉우리들이 있는데 로체샤르(8,400m)와 캉첸중가 남봉(8,476m)이나 얄룽캉(캉첸중가 서봉. 8,505m) 등이 그것이다.
14좌 목록
봉우리 | 높이 | 위치 | 최초 등정 | 최초 등정자 | 최초 겨울 등정 | 최초 겨울 등정자 | 등정 | 사망 | 사망률 |
---|---|---|---|---|---|---|---|---|---|
에베레스트산 | 8,848m | 중국, 네팔 | 1953년 5월 29일 | 1980년 2월 17일 |
|
5656 | 223 | 3.8% | |
고드윈오스턴산(K2) | 8,613m | 중국, 파키스탄 | 1954년 7월 31일 | 미등정 | 306 | 81 | 22.8% | ||
칸첸중가산 | 8,586m | 네팔, 인도 | 1955년 5월 25일 | 1986년 1월 11일 | 283 | 40 | 12.7% | ||
로체산 | 8,518m | 네팔, 중국 | 1956년 5월 18일 | 1988년 12월 31일 | 461 | 13 | 2.8% | ||
마칼루산 | 8,465m | 네팔
중국 |
1955년 5월 15일 | 2009년 2월 9일 | 361 | 31 | 8.2% | ||
초오유산 | 8,203m | 네팔, 중국 | 1954년 10월 19일 | 1985년 2월 12일 | 3138 | 44 | 1.4% | ||
다울라기리 1봉 | 8,169m | 네팔 | 1960년 5월 13일 | 1985년 1월 21일 | 448 | 69 | 13.6% | ||
마나슬루산 | 8,165m | 네팔 | 1956년 5월 9일 | 1984년 1월 12일 | 661 | 65 | 9.0% | ||
낭가파르바트산 | 8,128m | 파키스탄 | 1953년 7월 3일 | 2016년 2월 26일 | 335 | 68 | 17.2% | ||
안나푸르나 1봉 | 8,092m | 네팔 | 1950년 6월 3일 | 1987년 2월 3일 | 191 | 61 | 25.1% | ||
가셔브룸 1봉 | 8,070m | 중국, 파키스탄 | 1958년 7월 5일 | 2012년 3월 9일 | 334 | 29 | 8.1% | ||
브로드피크산 | 8,048m | 중국, 파키스탄 | 1957년 6월 9일 | 2013년 3월 5일 | 404 | 21 | 5.0% | ||
가셔브룸 2봉 | 8,036m | 중국, 파키스탄 | 1956년 7월 8일 | 2011년 2월 2일 | 930 | 21 | 2.2% | ||
시샤팡마산 | 8,027m | 중국 | 1964년 5월 2일 | 2005년 1월 14일 | 302 | 25 | 7.7% |
함께보기
8000m 14좌 |
|
대륙별 최고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