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0미터 14좌는 모두 히말라야산맥카라코람산맥에 위치하고 있는 8,000미터 이상의 봉우리 14개를 이르는 말이다.


개요

히말라야의 봉우리를 높이로 분류한 최초의 기록은 영국에서 출간된 <히말라야와 티베트의 지리지질 개요>( 1907년 초판. 1933년 개정판 간)인데 이 책에는 히말라야의 고봉이 피트 단위로 실려 있다. 이에 따르면 24,000피트(7,317m) 이상의 봉우리가 93개이고 26,000피트(7,924.8m) 이상이 18좌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미터법을 공용으로 사용하고부터는 이러한 구분이 없어지고 7천, 8천미터급으로 분류하게 되었다. 이것은 1950년 프랑스대가 안나푸르나1봉(8,091m)을 초등정하고 나서 '인류 최초의 8천미터 봉우리 등정'이라고 강조하면서 더욱 굳어지게 되었다.


히말라야산맥에 8천미터가 넘는 봉우리가 14개만 있는 것은 아니다. 8천미터 이상의 높이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14좌 리스트에 끼지 못하고 위성봉 취급을 받고 있는 봉우리들이 있는데 로체샤르(8,400m)와 캉첸중가 남봉(8,476m)이나 얄룽캉(캉첸중가 서봉. 8,505m) 등이 그것이다.


14좌 목록

봉우리 높이 위치 최초 등정 최초 등정자 최초 겨울 등정 최초 겨울 등정자 등정 사망 사망률
에베레스트산 8,848m 중국, 네팔 1953년 5월 29일

뉴질랜드 국기.jpg 에드먼드 힐러리
네팔 국기.jpg 텐징 노르가이

1980년 2월 17일

폴란드 국기.jpg 크시슈토프 비엘리츠키
폴란드 국기.jpg 레셰크 치히

5656 223 3.8%
고드윈오스턴산(K2) 8,613m 중국, 파키스탄 1954년 7월 31일

이탈리아 국기.jpg 아킬레 콤파뇨니
이탈리아 국기.jpg 리노 라체델리

미등정 306 81 22.8%
칸첸중가산 8,586m 네팔, 인도 1955년 5월 25일

영국 국기.jpg 조지 밴드
영국 국기.jpg 조 브라운

1986년 1월 11일

폴란드 국기.jpg 크시슈토프 비엘리츠키
폴란드 국기.jpg 예지 쿠쿠츠카

283 40 12.7%
로체산 8,518m 네팔, 중국 1956년 5월 18일

스위스 국기.jpg 프리츠 루흐징거
스위스 국기.jpg 에른스트 라이스

1988년 12월 31일

폴란드 국기.jpg 크시슈토프 비엘리츠키

461 13 2.8%
마칼루산 8,465m 네팔

중국

1955년 5월 15일

프랑스 국기.jpg 장 쿠지
프랑스 국기.jpg 리오넬 테레

2009년 2월 9일

이탈리아 국기.jpg 시모네 모로
카자흐스탄 국기.jpg 데니스 우르브코

361 31 8.2%
초오유산 8,203m 네팔, 중국 1954년 10월 19일

오스트리아 국기.jpg 제프 외힐러
네팔 국기.jpg 파상 다와 라마
오스트리아 국기.jpg 헤레베르트 티히

1985년 2월 12일

폴란드 국기.jpg 마쳬이 베르베카
폴란드 국기.jpg 마쳬이 파브리코프스키

3138 44 1.4%
다울라기리 1봉 8,169m 네팔 1960년 5월 13일

오스트리아 국기.jpg 쿠르트 딤베르거
독일 국기.jpg 페터 디너
네팔 국기.jpg 나왕 도르제
네팔 국기.jpg 니마 도르제
스위스 국기.jpg 에른스트 포러
오스트리아 국기.jpg 알빈 셸베르트

1985년 1월 21일

폴란드 국기.jpg 안제이 초크
폴란드 국기.jpg 예지 쿠쿠츠카

448 69 13.6%
마나슬루산 8,165m 네팔 1956년 5월 9일

일장기.jpg 이마니시 도시오
네팔 국기.jpg 갈첸 노르부

1984년 1월 12일

폴란드 국기.jpg 마쳬이 베르베카
폴란드 국기.jpg 리샤르드 가예프스키

661 65 9.0%
낭가파르바트산 8,128m 파키스탄 1953년 7월 3일

오스트리아 국기.jpg 헤르만 불

2016년 2월 26일

이탈리아 국기.jpg 시모네 모로
파키스탄 국기.jpg 무하마드 알리 사드파라
스페인 국기.jpg 알렉스 특시콘

335 68 17.2%
안나푸르나 1봉 8,092m 네팔 1950년 6월 3일

프랑스 국기.jpg 모리스 에르조그
프랑스 국기.jpg 루이 라슈날

1987년 2월 3일

폴란드 국기.jpg 예지 쿠쿠츠카
폴란드 국기.jpg 아르투르 하이제르

191 61 25.1%
가셔브룸 1봉 8,070m 중국, 파키스탄 1958년 7월 5일

미국 국기.jpg 앤드류 카프먼
미국 국기.jpg 피터 쇠닝

2012년 3월 9일

폴란드 국기.jpg 아담 비에레츠키
폴란드 국기.jpg 야누시 고와프

334 29 8.1%
브로드피크산 8,048m 중국, 파키스탄 1957년 6월 9일

오스트리아 국기.jpg 헤르만 불
오스트리아 국기.jpg 쿠르트 딤베르거
오스트리아 국기.jpg 마쿠스 슈무크
오스트리아 국기.jpg 프리츠 윈터스텔러

2013년 3월 5일

오스트리아 국기.jpg 마쳬이 베르베카
오스트리아 국기.jpg 아담 비에레츠키
오스트리아 국기.jpg 토마시 코발스키
오스트리아 국기.jpg 아르투르 마웨크

404 21 5.0%
가셔브룸 2봉 8,036m 중국, 파키스탄 1956년 7월 8일

오스트리아 국기.jpg 프리츠 모라페크
오스트리아 국기.jpg 요제프 라르히
오스트리아 국기.jpg 한스 빌렌파르트

2011년 2월 2일

이탈리아 국기.jpg 시모네 모로
카자흐스탄 국기.jpg 데니스 우르브코
미국 국기.jpg 코리 리차즈

930 21 2.2%
시샤팡마산 8,027m 중국 1964년 5월 2일

중국 국기.jpg 쉬징
중국 국기.jpg 장쥔옌
중국 국기.jpg 왕푸저우
중국 국기.jpg 천산
중국 국기.jpg 청톈량
중국 국기.jpg 우쭝웨
중국 국기.jpg 쒀난둬지
중국 국기.jpg 니마짜시
중국 국기.jpg 둬지
중국 국기.jpg 윈덩

2005년 1월 14일

폴란드 국기.jpg 표트르 모라프스키
이탈리아 국기.jpg 시모네 모로

302 25 7.7%

출처


함께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