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2 흑표 전차.png
 [한국무기 디테일] ⑫ 국내 국방과학기술이 총 결집된 현대 로템의 K2 흑표 전차
국내기술로 개발된 세계 최강급 성능의 신형 K2 흑표 전차. (사진=현대로템 제공)


개요

K-2 흑표는 대한민국의 현대로템이 개발한 3.5세대 전차이자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전차중 하나이다.

상세

대한민국 국군은 M48 패튼을 대체할 전차를 개발하기 시작했고, 이렇게 해서 XK-2 시제전차가 등장하였다. XK-2는 K-2라는 명칭으로 정식 채택되었으며, 2014년부터 양산을 시작하였다.

현재 K-2 흑표는 폴란드 등의 국가에 수출되었으며, NATO 훈련에서도 고평가를 받고있는 우수한 전차로 거듭나게 되었다.

장점

K-2는 현재 세계 최고의 전차중 하나이며, 시가전에서 북한군의 대전차화기에 대해 전방위 방호력을 갖추는것은 물론 가벼운 전차가 유리하다는 산지에서까지 기동성을 확보하고 유기압 서스펜션을 사용해 부각을 확보하여 헐다운 전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최신형 사통장치들을 장착하는 등 장점이 많은데 몇개만 나열하자면...

산지에서의 운용성

K-2 흑표는 산지에서의 운용성에 초점을 두고 개발하였다. 이로 인해 산지에서 전차의 하단을 노출하지 않는 헐다운 전술을 사용하기 유리한 유기압 서스펜션과 좋은 부각이 결합되었는데, 웬만한 현대 전차들은 차체 하단이 약점이고 맞으면 한방에 무력화되기에 하단을 노출하지 않는 헐다운 전술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산지가 대부분인 한반도에선 헐다운 전술을 쓸일이 매우 많기에, 공산 전체주의 진영의 평지 중심의 주력전차인 T-90, 99식 전차등에 대해 한반도 내에서 절대적인 우위를 갖출수 있다.

대전차 화기에 대한 방호력

K-2 흑표는 후면을 제외한 전방위에서 북한군의 구식 RPG-7을 막아낼수 있으며, 이는 시가전에서 생존성이 올라가는 강점이 될수있다. 시가전에선 적 전차보단 보병들이 건물 안에서 쏘는 대전차 화기들이 더 위험하기 때문이다. 또한 흑표는 성형작약탄 방호에 유리한 반응장갑을 두르고 있어 RPG 방호에 더 유리하기도하다.

기동간 사격에서의 우위

흑표에는 상당한 사통장치가 장착되어있으며, 3세대 이상 전차의 핵심인 기동간 사격에 충실하다고 할수있다. 또한 궤도 장력을 자체적으로 조절하여 다른 전차에선 매우 자주 발생하는 궤도 이탈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확보했다.

강력한 화력

기본적으로 흑표의 120 mm 활강포는 옛날이나 지금이나 세계 1위의 전차포 제작 기술력을 가진 독일 라인메탈사의 120 mm 활강포인 라인메탈 Rh-120을 기반으로 미국이 Rh-120을 개량해서 만든 M256 기반이기 때문에, 정밀하면서도 튼튼하고 포신 내의 압력이 높아서 포구 초속이 월등할 뿐만 아니라 관통자의 길이를 늘리고 무게를 증가시키는 등의 방향 등으로 포탄 개량까지 가능하다는 최고의 장점들 역시 라인메탈 Rh-120과 동일하다. 따라서 서방제 주포들에게도 꿀리지 않는 화력을 제공하고 텅스텐 날탄은 현존하는 모든 북중러의 MBT를 관통할 수 있는 관통력을 제공한다. 현세대 전차는 방어력보단 공격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잘 반영하였다.

버슬형 자동장전기

흑표는 르클레르처럼 버슬형 자동장전기를 채택하고, 탄약고가 피격당해도 탄약고가 유폭하지 않는 특수한 설계를 하여 전차 무력화와 승무원 몰살의 확률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전차의 가장 큰 약점이 탄약고임을 감안하면 약점 하나가 없어진건 매우 큰 차이다. 소련제 전차들이 탄약고 설계 때문에 수도없이 터져나간걸 생각하면 좋은 설계가 맞다.

단점

파워팩의 신뢰성 문제

군부가 파워팩 국산화에 너무 집착하여 초도 생산분에는 두산제 변속기를 장착하였지만, 방산비리와 기술력 부족으로 파워팩 결함이 컸고 신뢰성 확보에 실패했다. 다만 현재는 신뢰성이 검증된 독일제 파워팩을 사용하여 생산하고 있기에 해결되었다.

하드킬 체계의 부재

대한민국에서 자체 개발한 하드킬 능동방호체계가 존재하지만, 하드킬에 대한 전술교리가 아직 성립되지 않아 양산형에선 장착되지 않았다. 다만 향후 업그레이드를 통해 능동방호체계가 장착될 예정이다.

중량 제한으로 인한 측면 장갑의 부족

흑표는 측면 장갑이 신형 RPG를 방어하기엔 부족하다는 평가가 있고, 이걸로 인해 반응장갑까지 장착하게 되었다. 다만 중량 제한으로 인해 흑표는 산지에서 운용하기 유리하게 되었고, 전차대 전차로의 전투에서는 측면보단 정면에 장갑을 몰빵하는게 유리하기 때문에 심각하게 치명적인 단점은 아니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오해와 진실

소뽕들과 러뽕, 그리고 일부 친러 네티즌들은 흑표가 불곰사업으로 도입한 T-80U를 기반으로 만들었다는 얼토당토없는 주장을 하며, 소련제 전차의 우수성을 강조하고 흑표의 정통성을 깎아내리는데 일조하지만 T-80U와 흑표의 공통점은 자동장전기와 반응장갑뿐이며, 심지어 자동장전기는 자유진영인 프랑스의 르클레르 전차의 설계를 참고했고, 반응장갑은 M1 에이브람스, 챌린저 2, 르클레르 전차의 TUSK 키트에서도 제공되기 때문에 전혀 근거가 없는 날조된 프로파간다라고 할 수 있다.

자유진영 전차들과의 비교

M1 에이브람스

평지에서는 평지 중심으로 개발된 에이브람스 전차를 먼저 격파하기 힘들 것이다. 다만 산지에서만큼은 흑표가 우위를 점할 것이다.

90식 전차

90식의 기동성이 더 좋지만 방호력이 그만큼 확보되지 못했기에 흑표가 더 우세하다고 할수있다. 다만 기동성이 중요한 산지에선 어느정도 선전할 수 있으며, 90식도 산지 운용에 초점을 맞춰 개발되었다. 또한 90식 전차는 3세대고 흑표는 3.5세대여서 차이는 당연하다.

10식 전차

흑표처럼 산지 운용성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고 3.5세대인데다 더 가볍기에 산지에선 흑표만큼 우수하겠지만 측면 장갑이 보병전투차보다 약간 두꺼운 수준이어서 시가전에선 불리하다. 다만 일본의 환경과 자위대의 전술을 생각하면 시가전보단 산지에서의 방어전이 더 많을 것이다.

챌린저 2

저출력에 중전차보다 무거운 챌린저 2는 시가전을 제외하면 흑표가 모든 면에서 압도할 것이다. 다만 챌린저 2만큼 시가전에서 강한 전차가 얼마 없기에 시가전은 챌린저의 압승이다.

메르카바

메르카바는 전차전보다는 테러단체들과의 시가전에 중심을 맞췄기에 챌린저 2와 비슷한 결과를 볼 것이다.

르클레르

흑표가 르클레르보다 유리할 것이다.

공산 전체주의 진영 전차와의 비교

T-90M

T-90은 반응장갑이 있어 전방위 방호력으로는 흑표보다 유리하겠지만 흑표와 1대1로 싸우면 흑표가 먼저 탐지하고 먼저 격파할 것이다. 왜냐하면 반응장갑은 120 mm 55구경장 주포에서 발사되는 텅스텐 탄자의 날개안정분리철갑탄을 상대로 제대로 된 효과를 볼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T-90은 시속 4 km라는 사람이 걷는 속도보다 느린, 현대 전차라고는 믿을 수 없을 정도의 후진 성능을 가지고 있어 흑표를 공격하기 위해 엄폐물 밖으로 나와 주포를 쏘고, 운좋게 서로 빗맞추더라도 흑표는 빠르게 후진해 다시 엄폐가 가능하지만 T-90은 후진하다가 흑표의 장전이 끝나 격파될 것이다.

99식 전차

중국에서 만든 전차기에 신뢰성이 없으며, 산지에서는 흑표보다 압도적으로 열세일게 틀림없다. 또한 99식의 후진도 T-90처럼 느리다.

천마호

천마호는 2세대 전차이며 방호력, 공격력 모두 부족한데다 기동성도 부족하여 동북아 최약체라는 평가를 받는다. 천마호는 M48 개량형과 비교해야 한다.

운용국

현재 K-2 흑표 전차는 대한민국 국군과 폴란드군에서 운용되고 있다. 튀르키예에서는 알타이 전차라는 파생형이 제작되었고, 우크라이나 등의 몇몇 국가에서 도입을 희망하고 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