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파일(437 × 610 픽셀, 파일 크기: 58 KB, MIME 종류: image/jpeg)

파일 설명

홍명희의 쌍둥이 딸 홍주경(洪姝瓊, 1921~?), 홍무경(洪茂瓊, 1921~?)의 저서 『조선 의복·혼인제도의 연구(朝鮮 衣服·婚姻制度의 硏究)』 표지. (1948, 을유문화사)

김용준 장정의 조선의복 혼인제도 연구(홍주경, 홍무경 공저, 을유문화사, 1948)에서는 쌍용총에 등장하는 고구려 여성이 다시 도식화 되어 반듯한 직선과 함께 등장한다. (그림38) 도식화된 직선은 정제되고 깔끔한 느낌의 시지각 반응을 유발하는데, 이런 이유로 기하학적 직선으로 이루어진 도시적, 근대적 감각이라 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한마디로 기계 미학의 표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미캐니컬한 반복적인 기계의 움직임은 분절적인 움직임의 전형으로 연결되었으며, 이러한 움직임 혹은 운동의 이미지는 선이나 면으로 표현될 때 기하학적 도형으로 귀결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기차나 비행기, 선박등 기계 움직임의 결정체인 맹렬한 속도는 미래의 유토피아적 발전에 대한 약속이었다. 당시 독일의 최초의 현대식 디자인 교육기관으로 유명한 바우하우스의 상징이 삼각형, 사각형, 원으로 이루어진 것은 문명사적 결실인 기계가 이룩한 일종의 시대적 표상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파일 역사

날짜/시간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시간의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날짜/시간크기사용자설명
현재2024년 5월 17일 (금) 18:43437 × 610 (58 KB)JohnDoe (토론 | 기여)홍명희의 딸 홍주경과 홍무경의 저서 표지.

다음 문서 1개가 이 파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