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게라심 마르티노비치 발라사노프'''(Герасим Мартынович Баласанов, Gerasim Martynovich Balasanov, 1903~1976)는 해방 직후 평양 소련군정의 핵심 인사로 당시 계급은 대좌(대령)였다.<ref>[http://nkvd.memo.ru/index.php?title=%D0%91%D0%B0%D0%BB%D0%B0%D1%81%D0%B0%D0%BD%D0%BE%D0%B2,%20%D0%93%D0%B5%D1%80%D0%B0%D1%81%D0%B8%D0%BC%20%D0%9C%D0%B0%D1%80%D1%82%D1%8B%D0%BD%D0%BE%D0%B2%D0%B8%D1%87 Баласанов, Герасим Мартынович]</ref><ref name="st">[https://translate.google.com/translate?sl=auto&tl=en&js=y&prev=_t&hl=en&ie=UTF-8&u=http://nkvd.memo.ru/index.php?title=%D0%91%D0%B0%D0%BB%D0%B0%D1%81%D0%B0%D0%BD%D0%BE%D0%B2,%20%D0%93%D0%B5%D1%80%D0%B0%D1%81%D0%B8%D0%BC%20%D0%9C%D0%B0%D1%80%D1%82%D1%8B%D0%BD%D0%BE%D0%B2%D0%B8%D1%87&edit-text= Balasanov, Gerasim Martynovich] Stalin's Secret Police : 위 글의 구글 영역</ref> 1946년 3월 20일 덕수궁(德壽宮)에서 개최된 미소공동위원회에 참석하러 서울에 온 적이 있고<ref>[http://db.history.go.kr/id/kn_011_0050_0050  美·蘇共同委員會 (李元卨)  >  Ⅴ. 第1次 美·蘇共委의 開幕] 國史館論叢 第11輯  (국사편찬위, 1990-07-15)</ref>, 1947년에도 왔었다.<ref>[http://db.history.go.kr/id/npfp_1947_10_22_v0001_0080 共委 蘇대표단 일행, 작일 空·陸 양로로 離京] 자유신문 1947년 10월 22일</ref>
'''게라심 마르티노비치 발라사노프'''(Герасим Мартынович Баласанов, Gerasim Martynovich Balasanov, 1903~1976)는 해방 직후 평양 소련군정의 핵심 인사로 당시 계급은 대좌(대령)였다.<ref>[http://nkvd.memo.ru/index.php?title=%D0%91%D0%B0%D0%BB%D0%B0%D1%81%D0%B0%D0%BD%D0%BE%D0%B2,%20%D0%93%D0%B5%D1%80%D0%B0%D1%81%D0%B8%D0%BC%20%D0%9C%D0%B0%D1%80%D1%82%D1%8B%D0%BD%D0%BE%D0%B2%D0%B8%D1%87 Баласанов, Герасим Мартынович]</ref><ref name="st">[https://translate.google.com/translate?sl=auto&tl=en&js=y&prev=_t&hl=en&ie=UTF-8&u=http://nkvd.memo.ru/index.php?title=%D0%91%D0%B0%D0%BB%D0%B0%D1%81%D0%B0%D0%BD%D0%BE%D0%B2,%20%D0%93%D0%B5%D1%80%D0%B0%D1%81%D0%B8%D0%BC%20%D0%9C%D0%B0%D1%80%D1%82%D1%8B%D0%BD%D0%BE%D0%B2%D0%B8%D1%87&edit-text= Balasanov, Gerasim Martynovich] Stalin's Secret Police : 위 글의 구글 영역</ref> 1946년 1월 16일부터 2월 5일까지 서울에서 열린 미소공동위원회 예비회담에 참석했고<ref>[http://waks.aks.ac.kr/dir/searchView.aspx?qType=0&secType=&sType=&sWord=%EA%B3%B5%EB%B3%91%EB%8C%80&dataID=R455@AKS-2013-KFR-1230004_DES 북조선 주둔 소련군사령부와 남조선 주둔 미군사령부 대표자협의회의 결과보고서] 한국학중앙연구원</ref>, 3월 20일 덕수궁(德壽宮)에서 개최된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에도 참석했다.<ref>[http://db.history.go.kr/id/kn_011_0050_0050  美·蘇共同委員會 (李元卨)  >  Ⅴ. 第1次 美·蘇共委의 開幕] 國史館論叢 第11輯  (국사편찬위, 1990-07-15)</ref> 1947년에도 서울에 왔었다.<ref>[http://db.history.go.kr/id/npfp_1947_10_22_v0001_0080 共委 蘇대표단 일행, 작일 空·陸 양로로 離京] 자유신문 1947년 10월 22일</ref>


1937년 이후로  Cheka-OGPU-NKVD (KGB 전신) 소속이었다.<ref name="st"/>
1937년 이후로  Cheka-OGPU-NKVD (KGB 전신) 소속이었다.<ref name="st"/>

2018년 9월 12일 (수) 21:49 판

게라심 마르티노비치 발라사노프(Герасим Мартынович Баласанов, Gerasim Martynovich Balasanov, 1903~1976)는 해방 직후 평양 소련군정의 핵심 인사로 당시 계급은 대좌(대령)였다.[1][2] 1946년 1월 16일부터 2월 5일까지 서울에서 열린 미소공동위원회 예비회담에 참석했고[3], 3월 20일 덕수궁(德壽宮)에서 개최된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에도 참석했다.[4] 1947년에도 서울에 왔었다.[5]

1937년 이후로 Cheka-OGPU-NKVD (KGB 전신) 소속이었다.[2]


발라사노프 게라심 마르띄노비치 : 2등 서기관, 북조선 주둔 소련군사령관 정치고문, 미소공동위원회 소련대표, 소련외무성 소속.[6]


발라사노프는 일본에서 근무한 적이 있어 일본말은 유창했으나 한국어는 거의 할 줄 몰랐다.[7] 서울의 소련영사관에서 부영사로 근무했던 아나톨리 샤브신이 1946년 7월 영사관 폐쇄로 평양으로 가서 발라사노프의 부관이 되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