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자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넘겨주기 [[정체자]]
Traditional Chinese<br><br>
繁體字(번체자)<br>
중국어 간체자: 繁体字<br>
중국어 정체자: 繁體字<br><br>
正體字(정체자)<br>
중국어 간체자: 正体字<br>
중국어 정체자: 正體字<br>
 
== 개요 ==
번체자란 [[대만]], [[홍콩]] 등에서 사용하는 한자체로 전통적으로 써 오던 방식 그대로의 한자 글자를 부르는 말이다.
 
중국에서 간체자로 한자를 간략화 하면서 번거로운 근자라고 까는 의미로 번체자로 부른다.
 
물론 쪽수가 많아서 구글등에서도 이 용어를 사용하지만, 대만등에서는 보통 정체자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한글을 많이 쓰지만, 정체자를 사용한다. (한국은 민간 등에서는 글자에 따라 약자를 필기할 때 쓰기도 하지만, 공식적으로는 거의 근본주의에 가깝게 정체자를 고집하는 나라다. 한자를 쓸 때 한해서 말이다. ) 
 
일본에서 사용하는 한자도 글자에 따라 약자 등을 쓰는데 일본에서는 이걸 신자체라고 한다. 
 
[[분류:중국]][[분류:한자]]

2024년 3월 19일 (화) 01:41 기준 최신판

Traditional Chinese

繁體字(번체자)
중국어 간체자: 繁体字
중국어 정체자: 繁體字

正體字(정체자)
중국어 간체자: 正体字
중국어 정체자: 正體字

개요

번체자란 대만, 홍콩 등에서 사용하는 한자체로 전통적으로 써 오던 방식 그대로의 한자 글자를 부르는 말이다.

중국에서 간체자로 한자를 간략화 하면서 번거로운 근자라고 까는 의미로 번체자로 부른다.

물론 쪽수가 많아서 구글등에서도 이 용어를 사용하지만, 대만등에서는 보통 정체자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한글을 많이 쓰지만, 정체자를 사용한다. (한국은 민간 등에서는 글자에 따라 약자를 필기할 때 쓰기도 하지만, 공식적으로는 거의 근본주의에 가깝게 정체자를 고집하는 나라다. 한자를 쓸 때 한해서 말이다. )

일본에서 사용하는 한자도 글자에 따라 약자 등을 쓰는데 일본에서는 이걸 신자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