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1937년 이후로  Cheka-OGPU-NKVD (KGB 전신) 소속이었다.<ref name="st"/>
1937년 이후로  Cheka-OGPU-NKVD (KGB 전신) 소속이었다.<ref name="st"/>


발라사노프 게라심 마르띄노비치 : 2등 서기관, 북조선 주둔 소련군사령관 정치고문, 미소공동위원회 소련대표, 소련외무성 소속.<ref>[http://db.history.go.kr/id/fs_010r_0010_0010_0040 해외사료총서 10권 쉬띄꼬프일기  >  쉬띄꼬프 일기(번역)  >  쉬띄꼬프 일기 Ⅰ부  >  1946년 9월 9일] 한국사데이터베이스</ref>
==각주==
==각주==
<references/>
<references/>

2018년 9월 12일 (수) 21:17 판

게라심 마르티노비치 발라사노프(Герасим Мартынович Баласанов, Gerasim Martynovich Balasanov, 1903~1976)는 해방 직후 평양 소련군정의 핵심 인사로 당시 계급은 대좌(대령)였다.[1][2] 1946년 3월 20일 덕수궁(德壽宮)에서 개최된 미소공동위원회에 참석하러 서울에 온 적이 있고[3], 1947년에도 왔었다.[4]

1937년 이후로 Cheka-OGPU-NKVD (KGB 전신) 소속이었다.[2]


발라사노프 게라심 마르띄노비치 : 2등 서기관, 북조선 주둔 소련군사령관 정치고문, 미소공동위원회 소련대표, 소련외무성 소속.[5]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