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나라별 관련문서 등록현황을 보여주는 문서이다.
나라별 관련문서 등록현황을 보여주는 문서이다.
   
   
== add==
==Test==
{| class = "wikitable"
<span style = "column-count : 3; -moz-column-count : 3; -webkit-column-count : 3">test문서 </span>
|-style = "vertical-align : top;"
 
| style = "height : 100px; width : 100px; text-align : left;" | ㅏ
{| class="wikitable"
| style = "height : 100px; width : 100px; text-align : center;" |
|-
| style = "height : 100px; width : 100px; text-align : right;" |
! style = "column-count : 3; -moz-column-count : 3; -webkit-column-count : 3"| 컬람카운트 !! 표 제목 !! 표 제목
|-style = "vertical-align : middle;"
|-
| style = "height : 100px; width : 100px; text-align : left;" |
| 예시 || 예시 || 예시
| style = "height : 100px; width : 100px; text-align : center;" | 이자형
|-
| style = "height : 100px; width : 100px; text-align : right;" | 에프
| 예시 || 예시 || 예시
|-style = "vertical-align : bottom;"
|-
| style = "height : 100px; width : 100px; text-align : left;" | 지
| 예시 || 예시 || 예시
| style = "height : 100px; width : 100px; text-align : center;" | H
| style = "height : 100px; width : 100px; text-align : right;" | 나는
|}
|}


==Test==
# <div style="vertical-valign: middle; text-align: center;">{{국기 미국}}[[미국]]</div>
style = "column-count : 3; -moz-column-count : 3; -webkit-column-count : 3">
# [[파일:가봉 국기.jpg|26px|링크=가봉]]
# <div style="valign : middle;">{{국기 미국}}[[미국]]</div>
# [[파일:중국 국기.jpg|26px|링크=중국]]
 
#
# [[파일:가나 국기.jpg|26px|링크=[[대한민국]]
# [[파일:가봉 국기.jpg|26px|링크=[[일본]]
# {{}}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style= "border-top:0;border-bottom:9; border-left:0; border-right:0; background:gold; "
!+style= "border-top:0;
| 보더 0 9 9 9 골드
border-bottom:9;
border-left:0;
border-right:0;"
| ■●
|}
|}


37번째 줄: 28번째 줄:


==HTML5 글자태그==
==HTML5 글자태그==
{{접기}}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접기}}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h#- (#:숫자) 제목표시 숫자가 작을수록 커짐
h#- (#:숫자) 제목표시 숫자가 작을수록 커짐


75번째 줄: 66번째 줄:
<mark>Hello 마크펜</mark>
<mark>Hello 마크펜</mark>


<p>(paragraph:문단) 태그내용을 하나의 문단으로 표시해줌(앞과 뒤의 줄바꿈이 자동으로 일어남)
<p> p태그 (paragraph:문단) 태그내용을 하나의 문단으로 표시해줌(앞과 뒤의 줄바꿈이 자동으로 일어남)
H<p>e</p> l234567
H<p>e</p>
<p>l</p>o


<br/>(break) br ㅡ 줄 바꿈
<br/>(break) br ㅡ 줄 바꿈
86번째 줄: 76번째 줄:


*우리나라조은나라 <hr/> 수평줄다음에  우리나라
*우리나라조은나라 <hr/> 수평줄다음에  우리나라
{{접기 끝}}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틀hr
---- 빼기줄 4개로 hr 기능 않됨
 
{{접기 끝}}
ㅡㅡㅡㅡㅡㅡㅡㅡㅡ


== cite 챕터==
== cite 챕터==
<cite style="display: block; text-align: right;"> —&thinsp;>
<cite style="display: block; text-align: right;"> —&thinsp;>
테스트중입미다
테스트중입미다ㅡcite tag
<cite>
</cite>


{{접기}} 3개의 2레벨 제목을 접기
{{접기}} 3개의 2레벨 제목을 접기
==1 틀 등록방법==
==1 틀 등록방법==
; 입력
; 입력
<code>
<code>
<p>집에 돌아가면, 학수고대하던 간식을 먹을 수 있었다. 일이 없어서 컴퓨터를 켜서 이 웹 일기를 적고 있다. </p>
<p> cord p 태그 ㅡ 집에 돌아가면, 학수고대하던 간식을 먹을 수 있었다. 일이 없어서 컴퓨터를 켜서 이 웹 일기를 적고 있다. </p>
<p>오늘은 전에 샀던 자료도 참고해서 위키백과에 항목을 하나 올려보고자 한다. 일단 몇시간 소요될려나...</p>
<p>오늘은 전에 샀던 자료도 참고해서 위키백과에 항목을 하나 올려보고자 한다. 일단 몇시간 소요될려나...</p>
</code>
</code>
; 출력
; 출력
<div style="border:#000 2px dashed;padding:1em">
<div style="border:#000 2px dashed;padding:1em">
<p>집에 돌아가면, 학수고대하던 간식을 먹을 수 있었다. 일이 없어서 컴퓨터를 켜서 이 웹 일기를 적고 있다. </p>
<p>"border:#000 2px dashed;padding:1em"ㅡ 집에 돌아가면, 학수고대하던 간식을 먹을 수 있었다. 일이 없어서 컴퓨터를 켜서 이 웹 일기를 적고 있다. </p>
<p>오늘은 전에 샀던 자료도 참고해서 위키백과에 항목을 하나 올려보고자 한다. 일단 몇시간 소요될려나...</p>
<p>오늘은 전에 샀던 자료도 참고해서 위키백과에 항목을 하나 올려보고자 한다. 일단 몇시간 소요될려나...</p>
</div>
</div>


===2 틀:국기===
===2 틀:국기===
{{Extern:http://wiki.nex32.net/_media/wiki/dokuwiki-128.png}}
[Extern:http://wiki.nex32.net/_media/wiki/dokuwiki-128.png]


==3 특수기능==
==3 특수기능==
{{#ifexpr:{{REVISIONSIZE}}<1100|이 글은 토막글입니다.|이 글은 토막글이 아닙니다.}}
{{REVISIONSIZE}} REVISIONSIZE
 
{{#ifexpr:{{REVISIONSIZE}}<1000|이 글은 토막글입니다.|이 글은 토막글이 아닙니다.}}
 
__TOC__


[[__TOC__]]
#__TOC__
[[#TOP]]
[[#TOP]]
{{접기 끝}}
{{접기 끝}}
124번째 줄: 121번째 줄:
----
----


[quote="인용대상"]인용 구문[/quote]
<nowiki><quote="인용대상">인용 구문</quote></nowiki>
 
<quote="인용대상">인용 구문</quote>
<quote="인용대상">인용 구문</quote>


<googlemap3 width="90%" height="400px" type="hybrid" zoom="12" lat="34.66488" lng="135.4493" helper="on">
<googlemap3 width="90%" height="400px" type="hybrid" zoom="12" lat="34.66488" lng="135.4493" helper="on">
</googlemap3>
</googlemap3>
둘다 인요 출처 뵤시안됨<br>


{{인용문|그의 이웃 여인들이 그에게 이름을 지어 주되 나오미에게 아들이 태어났다 하여 그의 이름을 오벳이라 하였는데 그는 [[다윗]]의 아버지인 이새의 아버지였더라|룻기 4장 13절~17절}}
{{인용문|그의 이웃 여인들이 그에게 이름을 지어 주되 나오미에게 아들이 태어났다 하여 그의 이름을 오벳이라 하였는데 그는 [[다윗]]의 아버지인 이새의 아버지였더라|룻기 4장 13절~17절}}
{{인용문|룻기 4장 13절~17절}}


{{인용문2|그의 이웃 여인들이 그에게 이름을 지어 주되 나오미에게 아들이 태어났다 하여 그의 이름을 오벳이라 하였는데 그는 [[다윗]]의 아버지인 이새의 아버지였더라<br>
룻기 4장 13절~17절}}


{{NUMBEROFUSERS}}
 
{{NUMBEROFUSERS}} ♥NUMBEROFUSERS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LOCALYEAR}},{{지역년}} - (한국시간 기준) 현재 해.
{{LOCALYEAR}},{{지역년}} - (한국시간 기준) LOCALYEAR  지역년


{{LOCALMONTH}}
{{LOCALMONTH}}, {{지역월}} - (한국시간 기준) LOCALMONTH 지역월,  뒤에 2를 붙이면 강제로 두 자리 숫자로 표현됩니다.
{{지역월}} - (한국시간 기준) 숫자로 표현한 현재 달. 뒤에 2를 붙이면 강제로 두 자리 숫자로 표현됩니다.


{{LOCALMONTHNAME}}, {{지역월이름}] (한국시간 기준) 달 이름으로 표현한 현재 달. 한국어의 경우는 숫자+월 표시로 간단하게 표현됩니다.
{{LOCALMONTHNAME}}, {{지역월이름}] - (한국시간) LOCALMONTHNAME 지역월이름.  
한국어의 경우는 숫자+월 표시로 간단하게 표현됩니다.


{{LOCALDAY}}, {{지역일}} (한국시간 기준) 현재 날. 역시 뒤에 2를 붙이면 강제로 두 자리 숫자로 표현됩니다.
{{LOCALDAY}}, {{지역일}} (한국시간) LOCALDAY 지역일. 역시 뒤에 2를 붙이면 강제로 두 자리 숫자로 표현됩니다.
{{LOCALDAYNAME}}, {{지역요일}] (한국시간 기준) 현재 요일 이름을 출력합니다.
 
{{LOCALDAYNAME}}, {{지역요일}} (LOCALDAYNAME 지역요일) 이름을 출력합니다.


예시 : {{지역년}}년 {{지역월이름}} {{지역일2}}일, {{지역요일}}. 입력
예시 : {{지역년}}년 {{지역월이름}} {{지역일2}}일, {{지역요일}}. 입력
160번째 줄: 165번째 줄:


{{NUMBEROFEDITS}} 편집한 모든 횟수
{{NUMBEROFEDITS}} 편집한 모든 횟수
{{사용자수}}, 사용자수
{{사용자수}}, 사용자수


167번째 줄: 173번째 줄:


{{접기 끝}}
{{접기 끝}}
[[분류:활동적인 사용자 집계에서 제외할 사용자]]

2020년 8월 12일 (수) 15:18 판

개요

나라별 관련문서 등록현황을 보여주는 문서이다.

Test

test문서

컬람카운트 표 제목 표 제목
예시 예시 예시
예시 예시 예시
예시 예시 예시
  1. 가봉 국기.jpg
  2. 중국 국기.jpg
보더 0 9 9 9 골드


HTML5 글자태그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h#- (#:숫자) 제목표시 숫자가 작을수록 커짐

Hello h1

Hello h2

Hello h3

i-(italic의 약자) 기울어짐 Hello i태그

b(-bold의 약자)b 태그 굵게표시 Hello

em-(emphasize의 약자) 글자를 기울어서 강조시킴 Hello em태그

strong- 글자를 기울고 굵게함 Hello strong

small - 글자를 작게함 Hello

sub - (subscript)아래첨자 Hello 아랫첨자


sup - (superscript)윗첨자 Hello sup윗첨자

ins- 밑줄글자. 내용의 추가를 나타냄 del- 취소선글자. 내용의 삭제를 나타냄

Hlleo 취소선글자 Hello 밑줄글자

mark 내용을 마크펜으로 칠한것처럼 강조해줌 Hello 마크펜

p태그 (paragraph:문단) 태그내용을 하나의 문단으로 표시해줌(앞과 뒤의 줄바꿈이 자동으로 일어남) H

e


(break) br ㅡ 줄 바꿈 안녕하
십니까

hr/ - (horizontal rule) hr 수평줄 config.php에 $hr_type='fancy';라고 하면 가로선의 굵기가 지원됩니다.

  • 우리나라조은나라
    수평줄다음에 우리나라
틀hr
빼기줄 4개로 hr 기능 않됨

ㅡㅡㅡㅡㅡㅡㅡㅡㅡ

cite 챕터

— > 테스트중입미다ㅡcite tag

3개의 2레벨 제목을 접기

1 틀 등록방법

입력

cord p 태그 ㅡ 집에 돌아가면, 학수고대하던 간식을 먹을 수 있었다. 일이 없어서 컴퓨터를 켜서 이 웹 일기를 적고 있다.

오늘은 전에 샀던 자료도 참고해서 위키백과에 항목을 하나 올려보고자 한다. 일단 몇시간 소요될려나...

출력

"border:#000 2px dashed;padding:1em"ㅡ 집에 돌아가면, 학수고대하던 간식을 먹을 수 있었다. 일이 없어서 컴퓨터를 켜서 이 웹 일기를 적고 있다.

오늘은 전에 샀던 자료도 참고해서 위키백과에 항목을 하나 올려보고자 한다. 일단 몇시간 소요될려나...

2 틀:국기

[Extern:dokuwiki-128.png]

3 특수기능

5632 REVISIONSIZE

{{#ifexpr:5632<1000|이 글은 토막글입니다.|이 글은 토막글이 아닙니다.}}

#TOP

blockquote

인용문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박스. 표와 달리 내부에 목록을 비롯한 다른 명령어 사용이 가능하다.


<quote="인용대상">인용 구문</quote>

<quote="인용대상">인용 구문</quote>

<googlemap3 width="90%" height="400px" type="hybrid" zoom="12" lat="34.66488" lng="135.4493" helper="on"> </googlemap3>

둘다 인요 출처 뵤시안됨

그의 이웃 여인들이 그에게 이름을 지어 주되 나오미에게 아들이 태어났다 하여 그의 이름을 오벳이라 하였는데 그는 다윗의 아버지인 이새의 아버지였더라
― 룻기 4장 13절~17절
룻기 4장 13절~17절
그의 이웃 여인들이 그에게 이름을 지어 주되 나오미에게 아들이 태어났다 하여 그의 이름을 오벳이라 하였는데 그는 다윗의 아버지인 이새의 아버지였더라
룻기 4장 13절~17절


513 ♥NUMBEROFUSERS

ㅡ ㅡ ㅡ ㅡ ㅡ ㅡ ㅡ  ㅡ

2024,2024 - (한국시간 기준) LOCALYEAR 지역년

06, 06 - (한국시간 기준) LOCALMONTH 지역월, 뒤에 2를 붙이면 강제로 두 자리 숫자로 표현됩니다.

6월, {{지역월이름}] - (한국시간) LOCALMONTHNAME 지역월이름. 한국어의 경우는 숫자+월 표시로 간단하게 표현됩니다.

2, 2 (한국시간) LOCALDAY 지역일. 역시 뒤에 2를 붙이면 강제로 두 자리 숫자로 표현됩니다.

일요일, 일요일 (LOCALDAYNAME 지역요일) 이름을 출력합니다.

예시 : 2024년 6월 02일, 일요일. 입력

특수기능2

15,693, 문서수

15,693 문서 숫자

35,805 모든문서수

35,805 틀,파일을 포함한 문서수

144,989 편집한 모든 횟수

513, 사용자수

513 현재 사용자 숫자

0 활동적인 사용자 숫자를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