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 (→‎역사)
잔글 (→‎역사)
14번째 줄: 14번째 줄:
은나라는 [[탕왕]]이라는 자가 [[하나라]]라는 전설상<ref>하나라는 문헌상의 기록은 존재하나 아직 유적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2021년)까지 공식 역사로 인정되지 않고있다. 반면, 은나라는 그것의 유적 [[은허]]가 발굴되어서 역사로 인정받는다.</ref>의 왕조를 무너뜨리고 기원전 16세기경 건국되었다.
은나라는 [[탕왕]]이라는 자가 [[하나라]]라는 전설상<ref>하나라는 문헌상의 기록은 존재하나 아직 유적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2021년)까지 공식 역사로 인정되지 않고있다. 반면, 은나라는 그것의 유적 [[은허]]가 발굴되어서 역사로 인정받는다.</ref>의 왕조를 무너뜨리고 기원전 16세기경 건국되었다.


은나라는 [[주나라]]에 의해 기원전 1046년에 멸망하게 되며 거의 600년간 존속한 국가이다.
은나라는 주왕(紂王)의 시기에 [[주나라]]에 의해 기원전 1046년에 멸망하게 되며 거의 600년간 존속했다.


=정치와 사회=
=정치와 사회=

2021년 7월 14일 (수) 13:28 판

한자: 殷(은)[1]
한자: 商(상)[2]

본 문서는 은나라가 표제어이지만 상나라도 병기되고 있습니다.

개요

은나라 또는 상나라는 고대 중국에 존재했던 국가이다. 정식국호는 상나라이나 BC13세기에 상나라의 황제 반경(盤庚)이 수도를 은허로 천도하고 이후 주나라에 의해 멸망할때까지 230년간 은허가 수도였기에 은나라라고도 불리운다.

명칭

은나라 사람들은 스스로를 상(商)이라 불렀고 이는 그들의 시조인 설(偰)이라는 자가 상에 봉해졌기 때문이다. 또한 은나라의 갑골문에는 은(殷)이라는 글자는 등장하지 않는다.

즉 이는 이집트가 외지인에 의해 이집트라 불리지만 이집트인들 스스로는 케메트(KeMeT)라 불렀듯이 은나라라는 명칭은 외지인들이 쓰고 후대 중국에서 불리게된 명칭이고 상나라라는 명칭은 본인들이 사용한 명칭이다. 해당 문서에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은나라를 사용하지만 상나라라는 명칭도 함께 사용한다.

역사

은나라는 탕왕이라는 자가 하나라라는 전설상[3]의 왕조를 무너뜨리고 기원전 16세기경 건국되었다.

은나라는 주왕(紂王)의 시기에 주나라에 의해 기원전 1046년에 멸망하게 되며 거의 600년간 존속했다.

정치와 사회

은나라는 왕과 신이 일치하는 제정일치 사회였고 또한 신(神)의 권위에 기반한 신권정치를 시행하였다. 왕은 제사를 주관하고 점(占)을 통해 국사를 결정했으며 전쟁시 정벌을 주도하는 등 막강한 권력이 있었다.

왕의 아래에는 귀족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왕과 씨족으로 연결되어 왕족을 구성하고 있었다. 이들은 노예를 부릴 권리와 전쟁시 장군으로 활약하는 등 국가의 중요한 일을 담당했다.

관직은 문(文), 무(武), 사(士)로 구분되었으며 이는 이후 주나라의 봉건 시스템에 영향을 주게된다.

은나라는 중후기에 청동기 시대로 들어서는데 이때 사용된 청동기 유적들이 다수 발견되었다. 청동기의 보급은 계급을 형성시켰으며, 백성들은 농민, 수공업자, 목축업자로 크게 세 부류로 나뉘어져 있었고 이들의 대다수가 노예였다.

문화

은나라는 국사를 결정할때 거북이의 등껍질(甲)이나 짐승의 견갑골(骨)에 글자를 새겨 점을 보았는데 이것을 갑골문이라 부르며 한자의 기원이 된다.

은나라의 유적인 하남(허난)시의 정주상성(鄭州商城)은 둘레 7km, 높이 5m, 폭 20m의 당대로서는 세계사적으로도 거대한 건축물에 속한다. 이는 은나라의 사회가 백성을 전쟁에 동원할 뿐만 아니라 건축사업에도 동원될 수 있을만큼 통일되어 있었음을 의미한다.

TMI

  • 상나라의 "상(商)"이라는 글자는 장사하다, 상업 등의 의미도 있는데 이는 은나라가 멸망한 뒤 은나라의 유민들이 떠돌아다니며 상업에 종사한 것에서 유래된것으로 보인다.

각주

  1. 후대에 불린 명칭
  2. 본인들이 사용한 명칭
  3. 하나라는 문헌상의 기록은 존재하나 아직 유적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2021년)까지 공식 역사로 인정되지 않고있다. 반면, 은나라는 그것의 유적 은허가 발굴되어서 역사로 인정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