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라심 마르티노비치 발라사노프(Герасим Мартынович Баласанов, Gerasim Martynovich Balasanov, 1903~1976)는 해방 직후 평양 소련군정의 핵심 인사로 당시 계급은 대좌(대령)였다.[1][2] 1946년 1월 16일부터 2월 5일까지 서울에서 열린 미소공동위원회 예비회담에 참석했고[3], 3월 20일 덕수궁(德壽宮)에서 개최된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에도 참석했다.[4] 1947년에도 서울에 왔었다.[5]

1937년 이후로 Cheka-OGPU-NKVD (KGB 전신) 소속이었다.[2]


발라사노프 게라심 마르띄노비치 : 2등 서기관, 북조선 주둔 소련군사령관 정치고문, 미소공동위원회 소련대표, 소련외무성 소속.[6]


1945년까지 주일 소련대사였으며, 1945년 11월 블라디보스톡을 거쳐 평양으로 왔다. 소련 제25군의 정치 고문이다. 영어와 한국어를 할 줄 알며, 일본말은 유창했다.[7]


<광복 5년사 쟁점 재조명><1부>⑬소련은 왜 일사불란했나 동아일보 2004-11-14

레베제프의 보좌진 중 가장 중요한 사람은 게라심 발라사노프 대령이었다. 아르메니아에서 빈농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국가보안위원회(KGB)의 전신인 국가공안부(MGB) 소속으로, 일본 주재 소련대사관에서 근무하면서 ‘극동전문가’라는 평가를 받았다. 거기에 힘입어 그는 MGB의 북한지부장으로 임명됐다.

MGB 요원으로 서울 주재 소련총영사관의 부영사라는 대외직명을 가지고 활동하던 아나톨리 샤브신도 발라사노프의 지휘를 받았다.

서울의 소련 부영사였던 아나톨리 샤브신은 1946년 7월 영사관 폐쇄로 평양으로 가서 발라사노프의 부관이 되었다.


각주

  1. Баласанов, Герасим Мартынович
  2. 2.0 2.1 Balasanov, Gerasim Martynovich Stalin's Secret Police : 위 글의 구글 영역
  3. 북조선 주둔 소련군사령부와 남조선 주둔 미군사령부 대표자협의회의 결과보고서 한국학중앙연구원
  4. 美·蘇共同委員會 (李元卨) > Ⅴ. 第1次 美·蘇共委의 開幕 國史館論叢 第11輯 (국사편찬위, 1990-07-15)
  5. 共委 蘇대표단 일행, 작일 空·陸 양로로 離京 자유신문 1947년 10월 22일
  6. 해외사료총서 10권 쉬띄꼬프일기 > 쉬띄꼬프 일기(번역) > 쉬띄꼬프 일기 Ⅰ부 > 1946년 9월 9일 한국사데이터베이스
  7. Members of Soviet Delegation: G. M. Balasanov RG 332, USAFIK, XXIV Corps, G-2, Historical Section, Box No. 72, U.S.-U.S.S.R. 3rd Year: AG Transcripts (Radio) Sept.-Nov. 1947 thru U.S.-U.S.S.R. Relations 3rd Year: Electricity, Communism (3 of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