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기억연대(약칭 정의연)는 구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韓國挺身隊問題對策協議會, 약칭 정대협)[1]의 개명한 이름이다. 일제시대 위안부 문제에 대한 대책을 마련한다는 취지로 설립했으니 정신대와 위안부를 혼동한 명칭 때문에 단체 이름을 바꾸었다. 실제 위안부 출신 할머니들에게는 큰 도움을 주지도 않았고, 강한 반일 종북적 정치 성향을 드러내기도 했으며, 모금한 막대한 자금과 정부 지원금의 용처에 대해서도 논란이 불거졌다.

윤미향

윤미향 부친이 최근까지 주변에 상주하며 관리

위안부 할머니 장례 지원의 내막

정의연의 위안부 할머니 장례 지원도 유족이 없는 경우는 성대한 장례식을 마련하여 막대한 조의금을 받았으나 그 사용처는 불분명하다. 반대로 유족이 있는 경우는 장례 지원도 거의 하지 않아, 유족 때문에 조의금을 자신들이 마음대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는 홀대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김복동·안점순 장례비 모금 두고 “개인계좌라면 횡령 의심” 의혹 제기돼
조의금은 기부금품법 대상 아냐, 고인 뜻 따라 장학금 줘도 돼
윤미향 “모금·집행 전혀 문제 없다”

김복동 할머니의 경우

행안부-서울시 “계획서 낸적 없어”… 장학금 사용도 사전공지 안해
희망측 “어쩌다 보니… 주내 등록” 윤미향 개인계좌로 金조의금 받아
오늘부터 5일장 2월 1일 서울광장~일본대사관 행진하는 노제


곽예남 할머니의 경우

문재인 대통령이 2018년 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 했다. 문 대통령이 생전의 곽예남 할머니(2019년 3월 사망)의 손을 잡고 있다. 곽 할머니 휠체어를 미는 이가 당시 정의기억연대 이사장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당선인이다. [사진 청와대]
정의연 "피해자 장례비는 여가부 지원기준에 따라 지원"
정의연, 장례지원으로 2017~2019년 2140여만원 지출 공시
지난해 3월 세상을 떠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故) 곽예남 할머니의 딸 이모씨(46)는 15일 뉴스1과의 통화에서 "정의기억연대에 장례 지원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고 말했다. 정의기억연대(정의연)는 장례비용으로 지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총 2140여만원을 사용했다고 홈페이지에 공개해왔다.


이씨는 "할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윤미향씨에게 연락해 장례 지원을 요청했지만 정의연에서는 도와줄 방법이 없다며 거절했다"고 밝혔다. 이어 "정의연에서 여성 2명이 와서 20만원의 조의금을 건넨 것이 전부며, 윤미향씨에게는 따로 5만원의 조의금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이씨는 "결국 제가 장례비 1800만원 정도를 자비로 지불했다"며 "정의기억연대에서 따로 장례절차를 진행한 것도 아니다"고 밝혔다.

윤미향의 위안부 할머니 장례 조의금 유용 의혹

이용수

"LA 기림비 여성 인권의 상징 될 것

함께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