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호남 지역의 경제적 낙후를 해결하려는 요구와, 국내 자동차 업계 특히 현대자동차의 고질적인 악성 노동쟁의 문제의 해결이라는 두 가지 요구를 결합시켜 새로운 노사 상생 모델을 만들려는 시도였다.

현대자동차의 평균 임금에 한참 못 미치는 연봉 3천만 원으로 일하는 노동자들로 완성차 업체를 광주에 만들겠다는 취지였다. 원래 광주시가 제안한 '완성차 사업 투자 협약서(안)'은 애초 최저임금조차 만족시키지 못하는 수준이었다. 저 연봉에는 기본급·직무급·법정수당과 시간 외 근로수당까지 포함한 개념이었던 것이다.[1]

당연히 민주노총과 산하 금속노련의 격렬한 반발을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었고, 매력적(?)인 발상과 조건에도 불구하고 사업 추진 자체는 산 넘어 산, 첩첩산중, 가시밭길이라는 표현을 다 동원해도 부족할 정도로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1. [https://news.joins.com/article/23138699 광주가 그르친 광주형 일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