奴婢

개요

노비는 한반도의 과거 신분제 사회에서 다른 사람에게 예속되어 있던 천민 사회 계급을 가리킨다. 노(奴)는 남자 종을, 비(婢)는 여자 종을 가리킨다.

남의 집이나 나라에 몸이 매이어 대대로 천역에 종사하던 사람으로서 흔히 종이라고도 불렸다.

역사

고대 한국에서 노비는 생구(生口)로 불리었는데 그 수는 매우 적었던 것[1]으로 보인다. 이 시기에 노(奴)는 그 이후와 달리 신하(臣)를 가리키는 용어였다. 이는 고구려의 장군이었던 손대음이 당 태종에게 투항할때 "노(奴)가 항복을 원한다."라며 자신을 노(奴)라고 지칭했던 것[2]에서 알 수 있다.

근세 사회인 조선 시대에 특히 노비에 대한 대우가 열악했다. 이는 이전 시대인 고려 시대와 비교해서도 그러하다.

우선 고려 시대의 노비 이름은 만적, 금강, 평랑 등 불교식 이름[3]이었다. 하지만 조선 시대의 노비 이름은 두꺼비, 마당쇠 등 동물이름이나 심지어는 개똥이 등의 동물 배설물에서 따온 이름으로 불렸다.[4]

노비들은 이름 뿐만 아니라 법적, 제도적 측면에서도 엄청난 고통을 받았다. 특히 세종이 1422년에 제정한 노비고소금지법에 의하면 노비가 주인을 고소하기만 해도 목이 잘렸다.[5]

폐지

1894년 갑오개혁으로 신분제가 폐지되며 노비 또한 해방되었다.

개요

  1. 이영훈, 한국경제사I, 2016, 일조각, p109
  2. 이영훈, 한국경제사I, 2016, 일조각, p108
  3. 이영훈, 《세종은 과연 성군인가》[Ebook], 백년동안, 2018
  4. 이영훈, 《세종은 과연 성군인가》[Ebook], 백년동안, 2018
  5. 이영훈, 《세종은 과연 성군인가》[Ebook], 백년동안,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