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글편집 요약 없음
12번째 줄: 12번째 줄:


==면암 최익현(崔益鉉)의 각자==
==면암 최익현(崔益鉉)의 각자==
항일지사로 알려진 면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582 최익현(崔益鉉, 1834 ~ 1907)]도 같은 취지의 표현을 약간 달리한 각자를 두 곳에 남겼다. 기봉강산(箕封江山)의 箕는 기자(箕子)를 뜻하며, 홍무(洪武)는 명나라 태조 주원장의 연호이다.  
항일지사로 알려진 면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7582 최익현(崔益鉉, 1834 ~ 1907)]도 같은 취지의 표현을 약간 달리한 각자를 두 곳에 남겼다. 기봉강산(箕封江山)의 箕는 기자(箕子)를 뜻하며, 홍무(洪武)는 명나라 태조 주원장의 연호이다. 소화(小華)는 소중화(小中華)로 조선을 작은 중국이라고 자부하던 용어이다. 이때 중국은 청나라 아닌 망하고 없는 명(明)나라를 가리킨다.
* [http://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82290 ‘대명일월 소화강산(大明日月 小華江山)’]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읍 감정리 두류단(頭流壇)
* [http://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82290 ‘대명일월 소화강산(大明日月 小華江山)’] 전라남도 신안군 지도읍 감정리 두류단(頭流壇)
* [http://www.edasan.org/sub05/board04_list.html?bid=b54&page=39&ptype=view&idx=1589 '기봉강산 홍무일월(箕封江山 洪武日月)'] 흑산면 예리 천촌마을 지장암(指掌岩)  
* [http://www.edasan.org/sub05/board04_list.html?bid=b54&page=39&ptype=view&idx=1589 '기봉강산 홍무일월(箕封江山 洪武日月)'] 흑산면 예리 천촌마을 지장암(指掌岩)  

2019년 1월 20일 (일) 13:32 판

대명천지 숭정일월(大明天地 崇禎日月)은 조선후기 사대부들의 망하고 없는 중국 명(明)나라에 대한 한없는 흠모를 요약 표현한 말이며, 바위에 각자로 새겨져 남아있다. 숭정(崇禎)은 명나라 마지막 황제 의종(毅宗)의 연호이다.

대명천지 숭정일월(大明天地 崇禎日月) 각자

이 각자는 송시열(宋時烈, 1607~1685)이 화양동 계곡에 새긴 것이 널리 알려져 있으나, 채득기(蔡得沂, 1604~1645)가 새긴 것이 시기적으로 그보다 약간 앞서는 것 같다.

채득기(蔡得沂)가 새긴 상주 경천대 각자

송시열(宋時烈)이 새긴 화양동 계곡 각자

면암 최익현(崔益鉉)의 각자

항일지사로 알려진 면암 최익현(崔益鉉, 1834 ~ 1907)도 같은 취지의 표현을 약간 달리한 각자를 두 곳에 남겼다. 기봉강산(箕封江山)의 箕는 기자(箕子)를 뜻하며, 홍무(洪武)는 명나라 태조 주원장의 연호이다. 소화(小華)는 소중화(小中華)로 조선을 작은 중국이라고 자부하던 용어이다. 이때 중국은 청나라 아닌 망하고 없는 명(明)나라를 가리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