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중

정치학에서, 롤백은 주로 정권 교체를 통해 그 나라에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하려는 전략을 말한다. 반면, 봉쇄 정책은 그 나라의 팽창을 막는 정책을 말하고, 데탕트는 그 나라와의 긴장을 완화하는 정책을 말한다.

롤백에 관한 학술적 논의는 대부분 냉전 시대에 미국의 대소련 정책으로서의 롤백 정책을 다룬다. 1950년의 한국 전쟁과 1961년의 쿠바 사태 때도 롤백이 시도되었지만, 둘 다 성공하지 못했다. 미국의 지도자들은 1953년 동독의 반정부 폭동과 1956년의 헝거리 혁명 동안에도 롤백 전략의 사용에 대해 논의하였으나, 소련과의 전면전 위험을 피하기 위해 선택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1943년 이탈리아, 1945년 독일, 1945년 일본, 200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정권의 제거, 2003년 이라크 후세인 정권의 제거가 미국에 대해 적대적인 정부에 대한 '롤백'의 예이다. 롤백이 정권을 교체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때는 "레짐 체인지"(regime change; 정권 교체)라고 불리기도 한다.

2차 세계대전

2차 세계대전 당시에 미국의 전략적 언어로서의 롤백은 이탈리아, 독일, 일본에서와 같이 적을 완전히 전멸시키고 그 나라를 정복하는 정책을 의미했다.

냉전

1940년대 후반에도 제임스 번햄(James Burnham) 같이 소련에 대항해 군사적 롤백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주장한 전략가들이 있었다. 1950년의 한국 전쟁에서는 트루만 행정부가 북한에 대해 이 전략을 취했다. 1953~1956년에도 동유럽 지역에서 롤백 전략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했으나, 그렇게 하지 않기로 결정되었다.

미국은 군사적인 롤백 전략보다는 주로 공산주의 정권의 합법성을 부정하는 심리전을 펼치면서, 반군을 지원하는 전략을 선택했다. 이러한 시도는 1945년에 발틱 3국과 우크라이나의 독립군에게 무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시작되어, 1940년대 후반에는 좌우 대립이 극심했던 그리스 내전에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 또, 1949년에, 영국과 미국은 알바니아 공산 정권에 대항하기 위해 특수 요원을 파견하기도 하였다.

트루먼 행정부는 소련을 주적으로 간주하고, 전쟁 없이 비군사적 방법을 통해 어떻게 동구권에서 소련을 몰아낼 것인지 논의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이 정책은 실패했다.

롤백 전략이 가장 크게 성공을 거둔 예는 1980년대에 아프가니스탄에서 소련을 철수시킨 일이라고 할 수 있다. 1992년에는 구 소련에 의해 지원받던 친소 정부가 무너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