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중

피터 페르디난드 드러커(1909년 11월 19일 - 2005년 11월 11일)는 오스트리아 태생의 미국인 경영 컨설턴트, 교육자, 작가로 활동한 인물로서, 그의 저작물은 현대 기업의 철학적인, 실용적인 기초를 세우는 데 기여하였다. 그는 경영학 교육의 발전을 이끌었고, 목표와 자기 통제에 의한 경영(management by objectives and self-control)이라는 개념을 만들어낸, 현대 경영학의 창시자로 통한다.

트러커의 저서와 학술 또는 비학술적인 글들은 기업, 정부, 사회의 비영리 부문에서 사람이 어떻게 조직되는가를 탐구하였다. 그는 경영의 이론과 실제라는 주제에 관한 가장 잘 알려져 있고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이자 작가 중 한 사람이다. 그는 민영화 및 탈중앙화, 일본의 경제 강국 부상, 시장의 결정적인 중요성, 정보화 사회의 출현과 평생 교육의 필요성을 포함한 20세기 후반의 주요한 흐름을 예언하기도 했다. 1959년에는 "지식 노동자"라는 용어를 만들어냈고, 그후 지식 노동자의 생산성이 앞으로의 경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의 이름이 들어간 세 개의 연구소가 있다: 미국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의 그러커 연구소(Drucker Institute)와 the Peter F. Drucker and Masatoshi Ito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중국의 the Peter F. Drucker Academy. 해마다 그의 고향인 비엔나에서는, 그의 업적을 기념하여 세계 피터 드러커 포럼(Global Peter Drucker Forum)이 열린다.

생애

드러커는 오스트리아-헝거리의 "자유주의적 분위기의" 루터교 집안에서 자랐다. 어머니 캐롤라인 본다이(Caroline Bondi)는 의학을 공부했으며, 아버지 아돌프 그러커(Adolf Drucker)는 변호사이자 고위 공무원이었다. 드러커는 오스트리아 비엔나의 카스그라벤(Kaasgraben)이라는 작은 마을에서 태어났다. 지식인, 고위 공무원, 과학자들이 그의 집에 모여 새로운 사상에 대해 토론을 하곤 했다. 그들 중에는 슘페터(Joseph Schumpeter), 하이예크(Friedrich Hayek), 미제스(Ludwig von Mises)와 이모부인 한스 켈젠이 포함되어 있었다.

1927년 되블링 김나지움(Döbling Gymnasium)을 졸업한 뒤에 1차 세계대전 이후의 비엔나에서는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독일 함부르크로 이주하여 처음에는 안정적인 목화 무역 회사에서 견습생으로 일을 하다가, 뒤에 Der Österreichische Volkswirt(The Austrian Economist)라는 잡지 기자로 일했다. 그후 프랑크프루트로 옮겨서 Daily Frankfurter General-Anzeiger 신문에 취직했다. 프랑크푸르트에 있었던 1931년에는 Goethe University Frankfurt에서 국제법과 공법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33에, 드러커는 독일을 떠나 영국으로 갔다. 런던에서, 그는 보험 회사에서 일하다가, 그 뒤 개인 은행의 경제 분석관(the chief economist)으로 자리를 옮긴다. 한편 프랑크프루트 대학에서 알고 지내던 도리스 슈미츠(Doris Schmitz)와 다시 연락이 되어서, 두 사람은 1934년에 결혼하였다. 드러커 부부는 미국으로 영구 이민을 하며, 그곳에서 드러커는 프리랜서 작가, 기업 컨설턴트, 대학 교수 등으로 일하였다.

1943년, 드러커는 미국 시민권을 획득하였다. 그 뒤 그는 교수로서 뛰어난 업적을 남기는데, 1942~1949년에는 베닝튼 컬리지(Bennington College)에서 정치학과 철학을 가르쳤고, 1950~1976년 사이 22년 동안 뉴욕 대학에서 경영학을 가르쳤다.

1971년에는 캘리포니아로 가서,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당시에는 Claremont Graduate School)에서, 재직 중인 전문가들을 위한 미국 최초의 경영자 MBA 프로그램 중 하나를 시작했다. 1971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클레어몬트에서 사회 과학 및 경영학 교수로서 재직했다. 1987년,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 경영 대학원은 그를 기념하여 the Peter F. Drucker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으로 이름을 바꿨다(그후 다시 the Peter F. Drucker and Masatoshi Ito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로 변경됨). 1999년에 그는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에 the Drucker Archives를 설립하였다. 이 아카이브는 2006년에 드러커 연구소(the Drucker Institute)가 되었다. 그는 92세였던 2002년까지 학생들을 가르쳤다. 그는 그 뒤에도 기업과 비영리 단체의 컨설턴트로 계속해서 활동하였다.

드러커는 2005년 11월 11일 캘로포이나주 클레어몬트에서 고령으로 사망하였다. 네 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기술 분야의 창업가인 Nova Spivack은 드러커의 손자이다. 드러커의 부인 도리스 여사는 2014년 10월 103세의 나이에 사망하였다.

업적과 철학

초기에 영향을 준 사람들

초기에 드러커에게 영향을 준 사람으로는 아버지의 친구였던 오스트리아 경제학자 슘페터(Joseph Schumpeter)가 있다. 그는 그러커에게 혁신과 창업가 정신의 중요성을 심어주었다. 드러커는 케인즈(John Maynard Keynes)로부터는 아주 다른 종류의 영향을 받았다. 그는 1934년에 캠브리지 대학교에서 케인즈의 강의를 들은 바 있다. 드러커는 이런 글을 남겼다: "나는 그 방에 있던 케인즈를 비롯한 모든 경제학자들이 상품의 움직임에 관심이 있다는 사실을 갑자기 깨닫게 되었다. 반면 나는 사람의 행동에 관심이 있었다."

그후 70년 동안, 드러커의 글은 숫자 계산이 아니라 인간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의 책은 기업이 사람들로부터 최선의 것을 이끌어내는 방법, 거대한 조직들로 구성된 현대 사회에서 어떻게 노동자들이 공동체 의식과 존엄성을 느낄 수 있는가에 대한 가르침으로 가득 차 있었다. 기업 컨설턴트로서 드러커는 종종 자신도 그렇게 불리었음에도 불구하고 'guru(전문가)'라는 말을 싫어했다. 한번은 이렇게 말을 하기도 했다: "그동안 오랫동안 얘기해 왔지만, 'guru'라는 말은 'charlatan(허풍선이, 뻥쟁이)'이라는 말이 기사 제목에 들어가기에 너무 길어서 쓰는 것 뿐이에요."

젊었을 때는 그는 두 개의 글을 썼다 — 하나는 독일 철학자인 Friedrich Julius Stahl에 관한 글이고, 또 하나는 The Jewish Question in Germany라는 글인데, 둘 다 나치에 의해 금지되어 소각되었다.

기업 사상가

기업 사상가로서의 드러커의 경력은 1942년에 시작되었다. 초창기에 정치와 사회에 관한 글을 쓰면서 드러커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기업 중 하나였던 GM(General Motors)의 내부 운영 과정을 관찰할 기회를 가졌다. 유럽에서의 경험으로 인해 권위라는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던 차였다. GM의 행정 분야 실세였던 도널슨 브라운(Donaldson Brown)에게 이러한 생각을 전하자, 브라운은 그를 초청해서 소위 "정치적 감사"라고 할만한 일을 하게 하였다. 이는 2년에 걸친 이 기업에 대한 사회과학적 분석 작업이었다. 드러커는 모든 이사회 모임에 참석하는가 하면, 직원들과 인터뷰도 하면서, 생산과 의사 결정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렇게 해서 나온 "기업의 개념"(Concept of the Corporation)이라는 책을 통해 GM의 다중사업부 구조(multidivisional structure)라는 개념이 대중화되었고, 이에 관한 다양한 논문과 컨설팅, 그리고 서적 출판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GM은 그 결과에 그다지 만족해하지 않았다. 드러커는 고객 관리, 딜러 관리, 직원 관리 등에 관한 정책을 재점검할 것을 제안해 둔 상태였다. 기업 내부에서는 드러커의 조언이 너무 과도하다고 판단했다. 나중에 드러커는 그때의 상황을 이렇게 묘사하였다: "존경받는 경영자였던 GM의 Alfred Sloan 회장은 그 책의 내용에 너무 기분이 상해서 본인이 이 책에 대해서 언급을 하지 않는 것은 물론 그가 있는 곳에서 다른 사람이 이 책에 대해 언급하는 것도 허락하지 않을 정도였다."

그러커는 경영학이 "교양 과목(a liberal art)"이라고 가르쳤다. 그는 자신의 경영학적 조언을 역사, 사회학, 심리학,철학, 문화, 종교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융합적으로 제시하였다. 또, 그는 개인 부문의 기관까지 포함한 모든 기관이 전체 사회에 대해 져야 할 책임이 있다고 생각했다. 1973년의 "Management: Tasks, Responsibilities, Practices"에서 드러커는 "사실 현대 사회에서는 경영자 집단 말고는 지도자 집단이 없다. 만약 주요 기관, 특히 기업의 경영자들이 공공선에 대해 책임지지 않는다면, 다른 누구도 할 수도 없고 하려 하지도 않을 것이다."라고 썼다.

드러커는 손이 아니라 정신을 가지고 일하는 사람들의 영향력이 점점 커지는 것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상사나 동료보다 특정 주제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지만 거대 조직 속에서 다른 사람들과 협력해야 하는 그런 직원들에게 관심을 가졌다. 드러커는 이 현상을 단순히 인간 발전의 전형으로서 찬미하는 대신 그것을 분석하고 그것이 조직 경영에 관한 일반적인 생각에 어떻게 도전하는지 설명하였다.

그의 접근법은 20세기 후반의 점점 성숙성을 더해가고 있던 기업 세계에서 상당한 효과를 발휘했다. 그때 이미 거대 기업들은 기본적인 생산 효율과 대량 생산의 관리적 위계 구조를 완성한 상태였다. 기업의 경영자들은 회사의 경영 방법을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드러커는 조직이 정체하지 않도록 그들의 믿음에서 헛점을 찾아내는 것이 자신의 역할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는 공감을 통해 이 일을 해나갔다. 그는 독자들이 선의를 가진 지적이고, 이성적이고, 부지런한 사람들이라고 가정했다. 만약 그들의 조직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그는 이것이 대개 낡은 생각, 문제를 바라보는 협소한 눈, 내부의 오해 때문일 거라고 믿었다.

그는 최고 경영자들과의 개인적인 관계를 기반으로 대규모 컨설팅 기업을 만들었다. 그는 전쟁에서 폐허가 된 조국을 재건하려는 전후 일본의 새로운 기업 경영자들 사이에 전설이 되었다. 그는 GM, Sears, General Electric, W.R. Grace, IBM 등의 최고 경영자들에게 조언을 제공했다. 또, 미국 적십자, 구세군 등 비영리 기관에게도 경영 컨설팅을 제공했다. 남미의 개발도상국에 대한 투자 촉진을 위해 세계적인 다국적 기업들이 세운 Adela Investment Company이라는 회사의 고위 경영자들도 그의 조언에 크게 의존하였다.

저작

드러커의 39권의 책은 36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이것들 중 두 권은 소설이고, 한 권은 자서전이다. 일본 회화에 관한 서적의 공저자이기도 하고, 경영을 주제로 여덟 편의 교육용 영화를 만들었다. 또, 월스트리트저널에 10년 동안 정기 칼럼을 썼으며, Harvard Business Review, The Atlantic Monthly, The Economist에도 기고를 많이 했다.

그의 작품은 특히 일본에서 인기가 있는데, "What If the Female Manager of a High-School Baseball Team Read Drucker's Management(고등학교 아구부 여자 감독이 드러커의 경영학 책을 읽는다면 어떻게 될까)"라는 소설(주인공이 그의 책을 활용해서 엄청난 효과를 거두는 스토리)이 출판한 이후 그 인기는 더욱더 올라갔다. 이 책은 애니메이션과 실사 영화로 제작되기도 했다. 그의 일본에서의 인기는 W. Edwards Deming의 인기와 비교할 수 있을 정도이다. 1980년대 후반, Ross M. Brown은 완전히 새로운 New Religion 이론을 최초로 제안한 피터 드러커와 Ferrel Heady의 공적을 인정한 바 있다. 이것은 기원후 1,000~14000년 사이에 있었던 폴리네시아인의 이주는 온화한 기후 조건하에서 발생한 ciguatera 중독 사태를 해결하고자 하는 명백한 "대중" 경영 및 관리 노력에 의해 가속화되었다는 이론이다.

피터 드러커는 2001년에 The Essential Drucker라는 책도 썼다: 이 책은 그 이전 6년 동안 피터 드러커가 경영학에 대해 쓴 작품을 모아놓은 첫 번째 권이었다. 이 책에 모아놓은 정보는 1954년의 The Practice of Management부터 1999년의 Management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까지 그 이전에 발견할 것들의 모음이었다. 피터 드러커는 '일관성 있고 매우 포괄적인 내용을 담은 경영학 입문서'로서 이 책을 소개하기도 했다. 또, 그는 경영의 의심스러운 결과에 대해 숙고하는 경향이 있는 가능성 있는 창업가들이 자주 묻는 질문(FAQ)에 답하기도 한다.

핵심 사상

그는 경영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상적 지도자로 여겨지는데, 대부분의 작품에 공통적으로 흐르는 사상이 있다.

  • 탈중앙화와 단순화. 그는 지휘 통제 모델(command and control model)을 낮게 평가하였고, 기업은 탈중앙화를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드러커는 기업이 필요 이상의 제품을 생산하고, (아웃소싱이 더 좋은 선택인 상황에서도) 필요하지도 않은 직원을 채용하며, 피해야 할 경제 부문으로 확장하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했다.
  • 1959년의 The Landmarks of Tomorrow라는 책에서 제시한 "지식 노동자"라는 개념. 그때부터 지식 기반 노동의 중요성이 전세계적으로 점점더 증가해 왔다.
  • "블루칼라" 노동자의 죽음을 예언. 미국 자동차 산업의 변화가 이 예언의 정확성을 입증하였다.
  • "아웃소싱"의 개념. 그는 기업의 앞방과 뒷방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기업은 자신의 핵심 사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활동, 즉 앞방 활동에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뒷방 활동은 그 활동을 앞방 활동으로 여기는 다른 회사에게 맡겨져야 한다는 것이다.
  • 비영리 부문의 중요성. 그는 이를 제3 부문이라고 불렀다; 민간 부문과 정부 부문이 각각 제1, 제2 부문이다. NGO는 세계적으로 많은 나라의 경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거시 이론에 대한 뿌리깊은 회의주의. 그는 모든 경제학파가 현대 경제의 중요한 측면들을 설명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 미시경제학의 유일한 초점이 가격이라는 점에 대한 비판. 그는 가격이 제품의 실제적인 기능을 보여주지 못하기 때문에 그것으로부터 제품의 실제 기능을 계산하는 방법을 발견하려는 시도를 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 노동자에 대한 존중. 드러커는 노동자가 채무가 아니라 자산이라고 믿었다. 그는 지식으로 무장한 노동자야말로 현대 경제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이며, 혼합형(하이브리드) 경영 모델이야말로 기업에 대한 노동자의 가치를 증명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가르쳤다. 사람이 조직의 가장 소중한 자원이며, 경영자의 역할은 사람들이 일을 할 수 있도록 준비시켜주고 그들에게 일할 자유를 주는 것이라는 관점이 이 철학의 핵심이다.
  • "소위 정부의 질병"이라는 것에 대한 믿음. 그는 정부가 사람들이 원하거나 필요로 하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해 줄 능력도 안 되고 그럴 의지도 없는 경우가 많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성격이 정부의 형태에 내재하는 것은 아니라고 믿었다. The Age of Discontinuity라는 책의 "정부의 질병"(The Sickness of Government)이라는 장을 보면,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이 분야를 지배했던 대중 경영 이론인 New Public Management(새로운 대중 경영)의 기초를 제시하였다.
  • "계획적인 포기"의 필요성. 기업과 정부는 과거에 성공을 거두었던 것들이 현재 상황에는 쓸모가 없다는 점을 간과하고 그것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