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번째 줄: 5번째 줄:


== 한자의 제자(製字)원리 ==
== 한자의 제자(製字)원리 ==
한자의 형성 과정을 크게 여섯 가지로 나눠 육서(六書)라고 한다. 후한의 허신(許愼)이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한자를 상형, 지사, 회의, 형성, 전주, 가차 등 여섯으로 나누어 한 설명이 현재 육서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 기초가 되었다.
한자의 형성 과정을 크게 여섯 가지로 나눠 육서(六書)라고 한다. 후한의 허신(許愼)이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한자를 상형, 지사, 회의, 형성, 전주, 가차 등 여섯으로 나누어 한 설명이 현재 육서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 기초가 되었다. 육서는 다음과 같다.
 
*상형(象形)
{{인용문|二曰象形。象形者,畫成其物,隨體詰詘,日月是也。<br><br>두번째는 상형이라고 한다. 상형이라고 하는것은, 그림이 물건이 되며, 모양에 따라 굽는데, 日과 月이 이와 같다.}}
자연에서 볼 수 있는 형태를 글자로 사용하는 것을 상형이라고한다. 대개 부수(部首)가 상형자이다
*지사(指事)
{{인용문|一曰指事。指事者,視而可識,察而見意,上下是也。<br><br>첫번째는 지사라고 한다. 지사라고 하는것은, 보는 것으로 아는것이 가능하고, 고찰하면 그 뜻이 나타나는데, 上과 下가 이와 같다.}}
지사는 상형과는 다르게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낸다.
*회의(會意)
{{인용문|四曰會意。會意者,比類合誼,以見指撝,武信是也。<br><br>네번째는 회의라고 한다. 회의라고 하는것은, 글자를 늘어놓아 뜻을 합치고, 보이는 것을 나타내는 것인데, 武와 信이 이와 같다.}}
한자의 80%가 회의자라고 한다.
*형성
 
*전주
*가차


== 한자 문화권 ==
== 한자 문화권 ==

2021년 4월 10일 (토) 16:45 판

한漢.png

개요

중국에서 만들어져 오늘날까지 쓰이는 문자. 표의문자(表意文字)이며 문자 그대로 한족(漢族)의 문자(文字)이다.

한자의 제자(製字)원리

한자의 형성 과정을 크게 여섯 가지로 나눠 육서(六書)라고 한다. 후한의 허신(許愼)이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한자를 상형, 지사, 회의, 형성, 전주, 가차 등 여섯으로 나누어 한 설명이 현재 육서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 기초가 되었다. 육서는 다음과 같다.

  • 상형(象形)
二曰象形。象形者,畫成其物,隨體詰詘,日月是也。

두번째는 상형이라고 한다. 상형이라고 하는것은, 그림이 물건이 되며, 모양에 따라 굽는데, 日과 月이 이와 같다.

자연에서 볼 수 있는 형태를 글자로 사용하는 것을 상형이라고한다. 대개 부수(部首)가 상형자이다

  • 지사(指事)
一曰指事。指事者,視而可識,察而見意,上下是也。

첫번째는 지사라고 한다. 지사라고 하는것은, 보는 것으로 아는것이 가능하고, 고찰하면 그 뜻이 나타나는데, 上과 下가 이와 같다.

지사는 상형과는 다르게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낸다.

  • 회의(會意)
四曰會意。會意者,比類合誼,以見指撝,武信是也。

네번째는 회의라고 한다. 회의라고 하는것은, 글자를 늘어놓아 뜻을 합치고, 보이는 것을 나타내는 것인데, 武와 信이 이와 같다.

한자의 80%가 회의자라고 한다.

  • 형성
  • 전주
  • 가차

한자 문화권

  • 정체자 문화권(중화민국(타이완 및 실효 일대), 홍콩, 마카오)
  • 간체자 문화권(중화인민공화국 대륙 본토)
  • 간체자를 사용하나 정체자도 사용하는 문화권(싱가포르, 말레이시아)
  • 한자와 자국의 문자를 같이 사용하는 국가(일본)
  • 과거에 한자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쓰지 않는 국가(대한민국, 북한, 베트남, 몽골)

한국, 베트남,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은 2천년 이상 중국과 함께 한자 문화권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단어의 상당수가 한자를 바탕으로 한다. 다만 1948년 이후 북한은 강력한 한글 전용 정책을 펴서 일상생활에서는 거의 한글만을 쓰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박정희의 제4공화국이 한글전용을 실시함으로써 성명(姓名), 학술용어, 동음이의어(同音異意語)나 축약어 등 한자어의 뜻을 특별히 강조할 때 병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한글을 쓴다.

현재는 중국과 중화권 국가(타이완, 싱가포르 등)를 빼면 일본만이 일상에서 한자를 자국의 문자처럼 사용한다.

연관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