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즈에서의 D 드라이브


개요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의 OS에서 시스템 드라이브인 C 드라이브 다음으로 지정되는 저장소이다.

C 드라이브(C:)가 시스템운영체제가 설시되고 기타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설치되는 곳이다. D 드라이브(D:)는 주로 데이타 파일인 문서, 사진, 영상 등이나 설치 프로그램 파일등을 저장하는 곳으로 사용한다.

만일에 있을 바이러스의 공격으로 부터 데이타를 보호용할 목적으로 D 드라이브를 사용한다. 보통은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부팅을 못하게하기 위해서 C 드라이브의 부팅정보를 파괴하는데, C 드라이브가 부팅이 되지않더라도 D 드라이브는 살아 있어서 윈도우를 다시 설치하기만하면, 중요한 데이타고 있는 D 드라이브는 안전하다. 그래서 데이터 백업용 드라이브로도 많이 사용하는 곳이다.

상세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는 CD-ROM 드라이브로 주로 사용되었다. 이후 하드 디스크가 대용량화되면서 파티션을 두 개 이상으로 나누어 놓는 것이 대세가 되었고, 이에 따라 CD-ROM 드라이브는 E 드라이브 등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2010년대 중반 이후로는 CD-ROM 드라이브가 사장되고 SSD가 보편화되면서 C 드라이브는 SSD로, D 드라이브는 하드 디스크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C 드라이브가 운영체제 및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파티션이라면 D 드라이브는 문서, 영상, 사진 등, 여러 자료들을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파티션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귀찮다는 이유로 C 드라이브 용량을 먹는 다운로드 폴더에 자료를 저장하는 경우가 많다.

200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는 하나의 저장 장치를 C 드라이브와 D 드라이브로 분할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2010년대 중반 이후로는 SSD와 하드 디스크를 각각 C 드라이브와 D 드라이브로 파티션을 설정하여 사용한다. 주로 낮은 저장 용량(2 TB 이하)을 가진 SSD를 C 드라이브, 높은 저장 용량(3 TB 이상)을 지닌 HDD를 D 드라이브로 사용한다. 2020년대 이후로는 SSD를 여러 개 장착하거나 아예 SSD만으로 구성하는 경우도 흔하다.

자료를 D 드라이브로 저장한다면 백업이 쉬워진다. C 드라이브만 있다면 윈도우를 다시 설치하기 전에 자료들을 USB 드라이브나 외장 하드 디스크 등으로 백업해야 해서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귀찮아지지만 D 드라이브에 자료를 저장해놓는다면 이러한 백업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어진다. 다만 실수로 D 드라이브를 포맷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1] 만약 윈도우 설치 화면에서 실수로 파티션을 날려버렸다면, 절대로 D 드라이브가 있었던 하드 디스크를 건드리면 안 된다. 일단 D 드라이브의 파티션이 없는 상태에서 윈도우를 설치한 뒤, TestDisk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파티션을 복구할 수 있다. 만약 포맷을 해버렸다면 복구 가능성이 낮아지지만, 포맷을 할 때 빠른 포맷으로 진행했고 그 뒤에 다른 파일을 저장하지 않았다면 그나마 복구 가능성이 있다. 빠른 포맷이 아닌 일반 포맷으로 했거나[2] 다른 파일을 저장했다면 복구 가능성이 0%다. 그리고 SSD의 경우 TRIM 기능이 작동한 이후에는 복구가 불가능해지니 즉시 윈도우 PE등으로 부팅해서 복구를 해야 한다.

상당히 용량을 많이 잡아먹는 소프트웨어라면 저장 용량이 적은 C 드라이브 대신 D 드라이브로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게임, 신작 게임마다 수십 GB씩이나 잡아먹기 때문에[3] D 드라이브에 설치하기도 한다.




여담

C 드라이브는 운영체제가 들어가는 드라이브이므로 무조건 필요하지만, D 드라이브는 없어도 아무 문제가 없다[4]. 저장할 공간이 작은 C 드라이브 대신의 보조장치 역할만 하기 때문이다. D 드라이브는 주로 자료를 많이 담는 드라이브라 그런지 랜섬웨어들이 주로 노리는 드라이브이다. 컴퓨터 운영체제를 파괴하는 게 목적인 바이러스들과 해커들은 C 드라이브를 공격한다.


c드라이브에 윈도우 설치가 된 것은 경로의존성에 의해서 그리 된 것이다. 원래 컴퓨터는 저장매체를 하드디스크가 아닌 테이프나 플로피 디스크를 썼다. a,b에는 원래 플로피 디스크를 할당했다. 초창기에는 하드디스크는 매우 고가에 장비였고, 채용된 컴퓨터도 당연히 별로 없었다. a,b에 플로피 디스크를 할당하고, c드라이브에 하드디스크를 할당한게 굳어져서 플로피디스크 자체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현재에도 c드라이브가 마이크로소프트 도스나 윈도우에 한해서 윈도우가 설치된 드라이브가 된 것.

문자 할당을 안하는 리눅스나 맥에서는 물론 해당되지 않는다. 옛날에는 도스 대신 자체 독자규격의 컴퓨터를 밀었던 일본의 pc98등에서도 c대신 설치 드라이브는 a문자를 썼다.



분류:컴퓨터

  1. 윈도우 설치 화면에서는 D 드라이브가 첫 번째 파티션으로 오고 C 드라이브가 두 번째 파티션으로 오는 경우가 있으며, 물리적인 드라이브가 3개 이상이면 순서가 뒤섞이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혼동하기 쉬워 데이타를 날리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위도우 사용시 평소에 데이타 드라이브 이름(예: data-hdd)을 설정해 두는 것이 좋다. 더 안전한 방법은 별도의 hdd인 경우 윈두우 설치한 후 데이타가 있는 하드디스크를 연결하는 것이다.
  2. 윈도우 설치 화면에서 포맷을 하면 빠른 포맷으로 된다.
  3. 예를 들자면 오버워치나 배틀필드, 콜 오브 듀티 같은 FPS 게임들.
  4. 용량 관련 문제만이 존재할 수도 있지만 선택 사항이다.